나에게 와닿았던 점 : 내 상황에 맞는 전략이 따로 있다는 것. 
완벽한 전략이란건 없다. 무조건 내 상황에 맞게, 그리고 현재 경제 흐름에 맞게 전략을 최선인 선택을 모색해야한다. 

적용해보고 싶은 점 : 내 상황에 가장 최선인 선택을 잘 판단해보기 
거주분리인지 내 집마련인지 

 

 

 <구매해야하는 범위>

서울 / 수도권 : 서울 1시간 내 접근 가능한 신축. 환경양호 구축

광역시 : 입지와 상품성 모두 뛰어난 신축, 최상급 구축

지방 중소도시 : 도시가 젊으며 입지와 상품성 모두 뛰어난 선호

항목위험한 녀석들유리한 녀석들
서울1.전고점보다 오른 녀석들은 위험반등폭이 크게 없는 것 

 

내 집 마련을 잘 한다는 것은 ? → 시기와 상황에 맞게 전략을 짜야함

  1. 구매 시기 (25년 : 무리해서라도 사도 괜찮은 시기)
  • 시기 : 집 사기에 나쁘지않은 시기 (가격이 전고점 대비 15-20% 하락)
  • 대상 : 사람들이 몰리는 지역 내 선호도가 높은것 (상급지 혹은 그외 비교적 좋은 연식)
  1. 상황
  • 무주택 - 예산 충분 : 범위 내 내집마련 실행 - 예상 불충분 : 소득 높이거나 거주-보유 분리
  • 1주택 - 예산 충분 : 범위 내 갈아타기 실행 - 예산 불충분 : 소득 높이기 or 거주 - 보유 분리
     

대출

월 저축액의 (120~150까지 곱하면 대출받을 수 있는 금액이 나옴)

  • 월 200저축 x 120 → 2억 4천
  • 월 200저축 x 150 → 3억

3억 (종잣돈) + 3억 (대출) ⇒ 6억~7억

https://aptgin.com/root_main
 

내 집 마련 vs 거주 분리 vs 투자

  1. 월급은 많지만 돈은 많지 않은 사람 → 거주 분리 추천
  2. 적은 돈으로 시세차익 → 투자 
     

거주와 보유의 분리 실전!

1단계 : 현재 종잣돈 파악 (종잣돈 - 보유 현금 + 전세금 - 임차보증금)

2단계 : 후보 단지 물색

  • 지역별 매매, 전세 매매-전세 시세파악
  • 종잣돈 + 1억 이내 매매 - 전세인 서울 재역 확인
  • 전용 84이하 시세표 작성
  • 네이버 부동산 필터 이용하여 후보 단지 리스트 정리 *제일 중요 (하루 2시간)

3단계 : 매수 여부 결정

  • 매수 가능 단지 임장
  • 실겨주 후보 단지와 비교하여 최종 선정

4단계 : 매수 및 임대

  • 세가 들어있는 경우 : 매매가 - 현 보증금 지급 후 명의 이전
  • 세가 들어있지않은 경우 : 매매 이후 전세 임대 진행 (잔금 가능 여부 체크)

     

매매- 전세 갭을 보는 것이 아니라, 매매가가 싼걸 찾아야함

전세가가 낮으면 매매가도 낮은 경우가 있다! - 이부분은 신용대출을 써서라도 사도 괜춚! 매매가가 낮은 걸 찾아야함 → 전세가는 더 올라갈수있다

 


댓글


레인메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