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기초반 55조_1Y1M] 재테기 2주차 후기

 

회사 연말정산을 할때면 모든 항목에 대해 관심이 많았습니다.

누구는 많이 받는데 나는 적고, 유튜브 찾아보아도 제대로 이해도 안되고..소득공제, 세액공제

청약과 보험, IRP 연금저축은 있다는 건 알았지만, 그것이 이렇게 큰줄은 몰랐다.

 

예전에 연말정산 세액을 해준다고 은행을 통해서 연금저축펀드를 진행을 했었습니다. 코로나 시기도 있었고 수익률은 낮았습니다. 그렇게 IRP, ISA, 연금저축이 절세에 좋다고 주변에 들었지만 이전에 본 수익률을 생각했을 때 어차피 비슷할거라 생각을 했었습니다.

 

그때 제대로 공부를 했더라면 현재 미국장의 상승에 따라 올라가고 교육때 말씀해주신 지각비가 크게 와닿았습니다.

강의를 통해 연금저축 펀드와 IRP, ISA 항목에 대해서 크게 알게 되었고 최대로 절세하기 위해 계좌 투자금의 분배도 다시 정립했습니다.

 

또한 투자에 대한 생각을 옳바른 방향으로 알려주시는 것에 와닿았습니다.

장기투자, 일전에 장기투자를 할 확신도 없어 용돈 벌이로, 그렇다고 큰 수익도 아니고 자잘한 수익과 손실이 반복했어서 주식은 잊고 살았습니다. 주변은 다들 장기투자하는 분들도 없었고 그것이 맞다는 것을 알려주시는 분은 없었습니다.

 

장기투자 실행을 하면서 결과를 데이터로 분석해서 보여주신 것과 그렇게 행하는 것이 맞다는 것은

 

저에겐 자산을 형성하기 위해 적립식 투자와 장기투자에 대한 복리효과를 생각한다면

장기투자가 옳은 것이구나에 대해 다시금 깨달았습니다.

그것이 맞다고 옳다고 경험해보지 못한 저이기에 단지 실행하려합니다. 다만 기준대로

 

또한 각각의 상황에 맞춰 설명을 해주시는 것과 단기간 목돈을 불리기 위한 가이드라인은 좋았습니다

 

 1. 나의 상황 (월 추가 투자금을 어떻게 활용을 해야할지)
 

기준 = 연금저축 IRP 최대 900 + ISA 25

 

연금저축 + IRP (1800만원 한도 _ 900만원 납입한도 추가 가능)

CASE1 (월 75만원 연금저축 추가 납입 + ISA 75만원 추가 납입)

 

CASE2  연금저축과 IRP 최대 900 + (ISA 연 2000만원 한도_ 월 140만원 추가 납입 가능)

 

 

 

 2. 단기간 목돈 불리기

 -. 적립식과 거치식

거치식 좋다. 하지만 투자하기에 금액을 한번에 넣기엔 손실에 대한 리스크는 난 맘이 좁아서 안절부절하지 못할 것이다.

→ 무엇이 좋은지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필요하단 말씀이 있었다.

적립식과 거치식을 통해 월초 한번에 금액을 나눠서 진행하려한다.

 일단 공부를 다 마치기 전까진 그 기간엔 믿음을 가지고 기다리면서

 

재테기 하면서 돈을 어떻게 하면 더 벌지 이것도 좋지만 지키면서 돈을 모아가는 것에 대해 자산형성을 더 배우고 느끼는 것같다. 그렇기에 좋다.

조급하게 하지 않고 그저 내가 할수 있는 것에 집중하고 묵묵히 한다면 내가 원하는 미래에 조금이나마 가까워 지지 않을까 싶다. 그럼에도 내가 우선순위로 생각하는 기준에 맞춰서 돈을 너무 쫓으려 하지도 소중한 것도 놓치지 않을 것이다.

나의 행복한 미래를 쫓자

 


댓글


1Y1M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