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원씽 독서 후기 +_+

  • 25.02.16

* 독서후기 제목은 닉네임과 책 제목을 포함하여, 자유롭게 작성해주세요! :)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원씽 

2. 저자 및 출판사: 게리켈러, 제이파파산 지음, 비지니스북스 

3. 읽은 날짜: 2025년 2월 13-15일

4. 총점 (10점 만점): 10점 /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p. 18 The One Thing - 원하는 일이 어떤 것이든 최고의 성공을 원한다면 접급방법을 늘 같은 방식이어야 한다. 핵심 속으로 파고들어야 한다. ‘파고든다는 것’은 곧 자신이 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일을 무시하고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일에만 집중하는 것을 뜻한다 모든 일이 중요성이 똑같지 않음을 인식하고, 가장 중요한 일을 찾아내는 것이다. 

탁월한 성과는 당신의 초점을 얼마나 좁힐 수 있느냐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과 에너지는 한정되어 있다. (…) ‘더하기’가 아닌 ‘빼기’가 필요하다. 

p. 32 무언가를 향한 열정은 곧 어마어마한 양의 연습이나 노력으로 이어진다. 

 

제 1부 거짓말 

① 모든 일이 다 중요하다. 

p. 47 가장 중요한 일이 언제가 가장 큰 소리로 나를 부르는 것은 아니다. 

p. 48 잠시 시간을 내어 무엇이 중요한지 결단을 내리고는, 바로 그 일을 중심으로 하루 일과를 운영한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다른 이들이 나중에 하려고 하는 일을 먼저 하고, 다른 이들이 먼저 하려는 일은 뒤로, 때로는 무기한으로 미룬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언제나 뚜렷한 우선순위를 가지고 일한다. (…) 성공 목록은 잘 정돈 된 지시사항이다. 

p.51 파레토의 법칙 - 80/20 법칙은 소수의 노력이 다수의 결과로 이어진다고 말한다.  

당신이 원하는 것 중 대부분은 당신이 실천하는 몇 개의 일에서 비롯될 것이다. 

할 일 목록에서 우선순위를 정할 때 비로소 성공 목록이 된다. (할 수 있는 것과 VS 해야 하는 것) 

가장 중요한 일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 되어야 한다. 

 

② 멀티태스킹은 곧 능력이다. 

p.62  해야 할 모든 일을 하기에 시간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주어진 시간 내에 너무 많은 일을 해야만 한다고 느끼는 것이 문제다.

각종 연구에 따르면 평균 직장인들은 11분마다 한 번씩 타인의 방해를 받고, 하루 일과 중 3분의 1을 집중력을 되찾는데 사용한다고 한다. (…) 우리는 멀티태스킹을 완전히 몸에 익히고 있다고 믿지만 사실은 스스로를 미친 듯 몰아가는 것에 불과하다. 

p. 63 집중력 결핍은 인간의 본능에 속한다.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저글링 하려는 욕구는 우리의 유전자 속 깊은 곳에 들어 있을 뿐 아니라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저글링은 멀티태스킹이 아니다. 

잡고, 던지고, 잡고, 던지고 한 번에 공 하나씩이다. → “작업 전환” 

p. 65 작업 전환에는 대가가 따른다. 

  • 한번에 사용할 수 있는 두뇌 용량에는 한계가 있다.
  • 다른 작업으로 전화하는 데 시간을 보내면 보낼수록 처음의 작업으로 돌아갈 가능성은 낮아진다. 마무리 짓지 못한 일이 쌓이는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
  • 멀티태스킹의 비효율성으로 인해 매일 평균 28%의 근로시간을 낭비한다고 한다.
  • 만성적으로 멀티태스킹을 하는 사람들은 어떤 일을 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예측하는 감각이 떨어진다. 그래서 실제보다 훨씬 더 걸린다고 생각한다.
  • 멀티태스커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더 많은 실수를 저지른다. 올바르지 못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경우도 많아진다. 기존 정보가 더 중요할 때마저도 그것보다 더 새로운 정보를 선호하기 때문
  • 멀티태스커들은 수명을 단축시키고 행복을 빼앗아가는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한다. 

p.66 한 번에 두가지 일을 할 수는 있지만 한 번에 두 가지 일에 모두 효과적으로 집중할 수는 없다.  

 

③ 성공은 철저한 자기관리에서 온다.

p. 74 사실 성공은 단거리 경주다. 건전한 습관이 자리 잡을 때까지만 자신을 훈련시켜 달리는 단거리 전력질주인 셈이다. (…) 본질적으로 자기 관리를 철저히 한다는 건 자신을 스스로가 정한 방식대로 행동하도록 훈련하는 것과 같다. ‘자기관리에 철두철미’하게 보이는 사람도 실제로는 몇 가지 바람직한 습관을 만들어 확립시킨 것뿐이다. 

p.75 생각보다 훨씬 적은 자기통제력만으로도 성공할 수 있따. 그 이유는 단 하나다. 성공을 옳은 일을 해야 얻는 것이지, 모든 일을 다 제대로 해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선택적 집중 

ADHD가 있는 펠프스 - 자신에게 필요한 부분에서 선택적 집중을 발휘함. 

삶의 일부가 되도록 하나의 습관을 확립하라. → 새로운 습관을 들이는 데는 평균 66일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p. 79 올바른 습관이 무엇인지 정한 다음, 그것을 습관으로 확립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할애하고, 그것을 발달시키기 위해 필요한 모든 통제력과 훈련을 동원하라. 

 

④ 의지만 있다면 못할 일은 없다. 

p.87 의지력도 피곤함을 느낀다. 

p.96 하루라는 시간을 투자해 최고의 성과를 얻고 싶다면 의지력이 떨어지기 전에, 당신의 가장 중요한 일, 그 한 가지 일찍 해치워라. 시간이 흐르면 의지력이 흐트러지므로 가장 중요한 일을 하는데 최고의 의지력을 발휘하라. 

 

⑤ 일과 삶에 균형이 필요하다. 

p.102 기적은 항상 극단에서 일어난다. 

모든 일에 관심을 쏟으려 하다 보면 그 모든 일에 대한 노력이 부족해지고, 제대로 완수되는 일이 하나도 없게 된다. 

(…) 언제 중도를 택하고 언제 극단을 달려야 할지 아는 것이 본질적으로 지혜로운 삶을 사는 방식이다. 탁월한 성과는 바로 이와 같은 시간과의 타협을 통해 이루어진다. 우리는 본능적으로 성공이 자신이 지닌 능력의 한계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에 있다는 걸 이해하고 있지만 그렇게 멀리까지 나가면 우리 삶에서 ‘균형’이 무너지지 않을까 덜컥 겁을 내고 물러난다.

p.107 평형추처럼 반대되는 힘을 적용하여 중심을 맞춰주면 된다. ‘균형’이란 말 대신 ‘중심 잡기’라고 해보자. 

p.108 버리고, 선택하고, 집중하라. 균형이 안 잡혔다고 말하는 것은 대체로 우리에게 중요한 것, 즉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들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거나 충족되지 않았다는 뜻이다. 

p.111 우선순위에 따라 행동하면 자동적으로 균형에서 벗어나 어느 하나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게 된다. 즉, 균형을 깨뜨려야만 한다.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하기 위해서는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알고 그것부터 끝내야 한다. 무게를 맞추는 삶을 살아라. 중요한 일을 맨 앞에 두고 나머지 부분들은 기회가 닿는 대로 관심을 쏟아라.

 

⑥ 크게 벌이는 일은 위험하다.

p.116 큰 일을 두려우하면 작은 사고가 당신의 하루를 지배할 것이고, 큰 일은 결코 현실이 되지 않는다. 

닿을 수 있는 궁극적인 천장의 높이가 얼마나 되는지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큰 것이란 가능성의 도약이라는 말로 바꿔 이야기 할 수 있다. 

스스로 익숙하고 편안함을 느끼는 범위를 벗어나게 만드는 대담한 상상인 동시에 당신의 가장 큰 기회를 비춰 주는 거울과 같다. 큰 성과를 가능하다고 믿으면 기존과는 다른 질문을 던지게 되고, 다른 길을 따르게 되며, 새로운 것들을 시도할 수 있게 된다. 

p.118 성공은 생각의 크기에 비례한다. 성공하려면 행동이 필요하고, 행동은 생각을 필요로 한다. 커다란 성공의 발판이 되는 행동은 큰 생각에서 비롯된다는 점이다. 

p.125 크게 생각하고 크게 살아야만 자신의 삶과 일에서 진짜 잠재력을 경험할 수 있다. 

 

제2부 진실

p.133 내가 배운 성공의 핵심은 이렇다. 삶의 매순간마다 가장 적합한 행동을 하는 것이다. 

초점탐색 질문 

p.135 에너지와 생각, 돈을 현재 하고 있는 일 하나에만 집중 하는 것입니다. 끝장을 보겠다는 마음으로 최고가 되어야 합니다. 

인생은 질문이다. 답의 질은 질문의 질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 

질문을 하면 우리의 비판적 사고가 가동된다. 

1. 당신이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 

2. 그것을 함으로써 

3. 다른 모든 일들을 쉽게 혹은 필요 없게 만들 바로 그 일은 무엇인가?"

p.162 벤치마킹은 오늘의 성공이고 트렌드는 내일의 성공이다. 

자신만의 해답을 찾고 싶다면 다른 사람들의 연구와 경험을 공부하라. 그곳은 최고의 탐색 장소다. 

새로운 해답은 언제나 새로운 행동을 요구한다. 

 

제3부 위대한 결과 

 

p.168 직선코스로 가라. 우리 삶에는 ‘단 하나’를 실행에 옮기고 탁월한 성과를 올리는 데 필요한 간단한 공식이 잇따. 공식에 필요한 세 가지 요소는 바로 목적의식, 우선순위 그리고 생산성이다. 이 세 요소의 연결을 통해 우리는 ‘단 하나’의 원칙을 두 개의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그중 하나는 크고, 다른 하나는 작다. 

당신이 가져야 할 ‘큰 단 하나’는 목적의식이고, ‘작은 단 하나’는 그 목적의식을 행동으로 옮길 때 필요한 우선순위다. 

 

p.175 스쿠루지 이야기를 통해, 그는 우선순위가 곧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상이고, 우리가 취하는 행동에서 나온다는 것을 알려 준다. 그리고 삶이란 일련의 연속된 선택이며 우리의 목적의식이 우선순위를 정하고, 우선순위가 행동의 생산성을 결정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그리고 삶이란 일련의 연속된 선택이며 우리의 목적의식이 우선순위를 정하고, 우선순위가 행동의 생산성을 결정한다는 것을 일깨워 준다. 

 

p.182 흔들림 없는 변화의 시작 - 목적의식은 개인적 강인함, 즉 자신의 신념을 굳게 믿고 그것을 계속 지켜 나갈 수 있는 힘의 궁극적 원천이다. 탁월한 성과를 내려면 자신에게 무엇이 중요한지 알고, 매일 그것과 발맞추어 행동해야 한다. 명확한 목적의식을 가지면 인생이 더욱 또렷이 보이고, 그러면 방향에 대한 확신이 생기며, 이것은 또다시 더 빠른 의사결정으로 이어진다. 

p.190 최종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앞으로 5년 내에 내가 할 수 있는 단 하나는 무엇인가? 

5년의 목표 → 1년의 목표 → 한 달의 목표 → 한 주의 목표 → 하루의 목표 → 지금의 목표 

p. 201 생산성 → 탁월한 성과를 올리는 사람들은 그저 남들보다 오랫동안 일해서 그렇게 된 것이 아니다. 그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 내에 더 많은 일을 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을 정해 두고, 독하게 그것을 지킨다. 그들은 시간을 정해 두고 지속적으로 행동하는 것과 탁월한 성과 사이에 연관 관계가 있음을 알고 있었다. →'시간 확보'

 

p.217 '나의 단 하나의 일이 끝날 때까지 다른 모든 일은 나의 집중력을 흐리는 잡무에 불과하다."

  1. 벙커를 지어라. - 방해 받지 않을 장소
  2. 물자를 비축하라. - 커피 뽑으로 잠시 나갔다 오기만 해도…
  3. 지뢰를 찾아 없애라 - 전화기를 끄고 이메일을 닫고 인터넷브라우저에서 빠져나와라…
  4. 도움을 구하라 - 언제 시간이 나는지 미리 알려라. 

 

p.221 단 하나를 위한 세 가지 약속 

  1. 자신의 일을 완벽하게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최고의 경지에 이르고자 하는 마음가짐 → 전문가의 길을 향해 걸어라.
  2. 끊임없이 최적의 길을 찾으려 노력해야 한다. → 도전에서 목적의식으로 이동하라. 
  3. 자신만의 단 하나를 달성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하고 있다고 기꺼이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책을 읽고 난 후 느낀 점 또는 깨닫게 된 점을 적어보세요

처음 읽었을 때 가장 기억에 남는 단어는 우선순위였다. 그리고 우선순위를 잡는데 있어 일과 투자 공부 어느 것 하나 놓치고 싶지 않아 욕심을 내었던 것 같다. 그렇게 원씽에 대해 온전히 체득하지 못하고 혼돈의 시간을 보냈던 것 같다. 책에 메모 해둔 것만 보아도 사실 투자 보다는 일에 더욱 집중 되어 있었음을…ㅎㅎ 

재독하는 현 시점에서는 투자에 대한 명확한 목적 의식을 갖고 보니 원씽이라는 개념이 이보다 더 심플 할 수 없다. 

어떤 마음가짐으로 독서하느냐 그리고 어떤 물음으로 독서 하느냐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되었다.

투두리스트에서 할 수 있는 것과 해야 할 일을 구분하는 것. 큰 목적 의식을 위한 단 하나를 찾는 것! 

그리고 행동하지 않는다면 아무것도 아닌 것을…

열기반은 아주 오래 전에 한번 들었던 것 같은데 비전보드를 그려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비전보드 그리고 향후 5년 이내 이루고 싶은 것들과 그것을 위해 초점 탐색 질문으로 단 하나를 찾고 

그 원씽을 매일매일 묵묵히 실행해 나가야겠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책 내용 중 내 삶에 적용하고 싶은 점을 작성해보세요. 적용할 점은 구체적일수록 좋아요!

1. 당신이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 

2. 그것을 함으로써 

3. 다른 모든 일들을 쉽게 혹은 필요 없게 만들 바로 그 일은 무엇인가?"

 

→ 하루의 원씽을 의지력이 최상으로 발휘될 그 시간을 확보하여 가장 우선적으로 처리할 것!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책을 읽으며 기억하고 싶은 ‘책 속 문구’가 있다면 페이지수와 함께 적어보세요.

p232 매일 우리는 둘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그로 인한 결과가 평생 우리를 따라다닌다. 

최선의 선택 그리고 그에 대한 책임감에 대해 다시한번 되새겨보게 되는 문구라 정해 보았다.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댓글


레인2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