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재테기5기 26조 진이어스] 재테기 2강 후기 - 베타투자로 ETF 가보자~!

  • 25.02.16

돈이 알아서 굴러가는 시스템으로 1억 모으는 법 - 재테크 기초반

안녕하세요 진이어스입니다.

 

먼저 수강생들의 우상향 하는 삶을 진심으로 지지해주시고 가이드를 주신 광화문금융러님 감사합니다!

 

주식투자는 전혀 관심없었고, 오히려 회의적으로 보던 제 관점을 완전히 바꾸게 된 2강이었습니다.

강의를 들은 후, 알파투자로 부동산 + 베타투자로 연금저축계좌를 활용한 ETF 투자를 병행하는 것으로 정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 꼭 가져갈 핵심 메세지와 바로 실행할 점을 남겨보면,

[2강의 핵심 메세지]

  1. 결정세액 확인하고, 연금저축계좌에 월 납입금액 산출해서 투자하기!!
  2. ISA 계좌에서 일반형(서민형)에 맞춰 월 25(or 45)만원 투자하기
  3. 매월 정해진 날짜에 매수를 실행한다!!

 

[적용할 점]

only 연금저축 계좌 활용 + ISA계좌는 우선 개설만.
내 연금저축 금액 : 기존 유지(월급에서 빠지는 부분 + 회사 지급액) (세제 13.2%)
아내 연금저축 금액 : 결정세액 확인해서 얼마 넣을지 계산(세액공제 되는 한도 만큼 저축) (세제 16.5%)

 


아래는 제가 기억하고 싶은 내용 정리하며 마무리합니다^^

- p.99~100에 나온 연금저축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들이 나한테 적용할 수 있는 가장 큰 부분임.

 

- 베타투자의 절세 전략을 통해 알파투자를 접근하는게 초보자에게 가장 합리적인 투자 접근이다

 

- 연금저축계좌 + ISA계좌를 동시에 활용하는 것이 가장 절세하면서 저축할 수 있는 최고의 조합.

 

- 연금저축계좌는 노후대비용으로만 사용하는게 아님.

 

- p.15 ~  MTS 계좌 개설 및 사용 방법 떠먹여줌ㅋㅋ. p26까지는 연금저축계좌 관련. p27 ~ 29는 ISA 계좌 관련.

 

- NAV(ETF의 실시간 가치)보다 지나치게 비싸게 사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니 매수 전 반드시 확인해야함!!

 

- NAV 확인하고 괴리율 1% 안에 들어오는 가격으로만 매수를 하도록 기준을 잡자

 

- 실부담비용율이 낮은 브랜드의 ETF를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이 되는 것.

 

- 세금은 미리 준비했느냐, 아니냐에 따라 실제 많은 세금을 내야 될 상황이 됐을 때 큰 차이가 난다.

 

- 결정세액이 얼마인지를 보고, 연금저축 계좌에 얼마 넣을지를 고려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 결정세액이 부족해서, 세액공제 한도에는 들어가지만 세액공제를 못받은 금액에 대해서는 아래 2가지로 이용 가능
1. 비과세로 자유롭게 인출 가능하다
2. 세액공제를 이월해서 받을 수 있다

 

- 절세 13.2%와 건보료 8% -> 21.2%의 수익이 나는것과 같기때문에 필요할때 중도인출에서 16.5%를 토하더라도 결국 4.7%의 수익이 난 것과 같다고 볼 수 있다?!

 

- 세액공제 받지 않은 원금이 가장 먼저 빠지게 된다. 
즉, 연금저축계좌에 많이 저축해서 세액공제 안받는 금액이 많이 세이브돼있으면 아무 조건 없이 인출 가능하니까 충분히 의미가 있다.

 

- ISA계좌로 투자를 안하더라도, 무조건 빨리 개설하는게 좋다. 만기 3년을 채워야 세제 혜택을 볼 수 있으니까, 그 기간을 빨리 채워놓을수록 선택권이 늘어나는 것.

 

- 미국 S&P500 ETF는 강남아파트와 같은 가치투자와 같다. 우상향의 힘을 믿고 계속 쌓아가야 할 주식인 것.

 

- 적립식투자로 시작해야 꾸준히 오래 투자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단, 거치식이 투자 성과가 더 좋을 확률이 높기떄문에 이 장점까지 고려해서 -> 적립식 + 거치식의 방식을 혼합하면 3년간 3천만원을 투자한다고 가정했을때, 1년에 천만원씩 적립식+거치식의 혼합형으로 투자를 하는 것을 추천

 

 

 

 

 


댓글


진이어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