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기초반 5기 84조 야보르] 강남 아파트 같은 주식 투자

강의를 듣고 난 후 내가 알고 있던 잘못된 주식 투자 방식에 대해 반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미 알고 있었지만 실천하지 못했던 것도 다시 끔 마음을 잡게 되었다.

결론은 주식 투자도 부동산 투자와 같이 생각하여야 한다.

 

좋은 자산을 꾸준히 모아가는 것!

 

사실 1주차 강의를 듣고, 2주차에서는 포트폴리오를 설계하는 가이드를 기대했다.

하지만 광금러 님이 알려준 적립식 투자가 포트폴리오를 잘 설계하는 것 보다 

더 수익이 좋다는 것은 처음 알게 되었다.

 

그리고 꾸준히 우 상향 하는 종목에 대한 매수시기에 대하여 많은 고민을 했지만,

강남 아파트 같은 주식은 매수시기의 고민보다는 적립식으로 꾸준히 모아가는 것이 장기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라는 사실도 알게 되면서 한 시름 놓게 되었다.

 

그리고 그 무엇보다도 실천이 중요하다.

55 법칙에 연장선으로 절세 계좌를 활용한 베타 투자!

내 의지가 조금이라도 더 버틸 수 있기를 바랄 뿐이다.

 

잊기 전에 기록해야 할 내용을 정리해보자.

 

  1. 절세 혜택을 최대로 활용하기
  2. 연금 저축 계좌에서 세액공제 받은 금액을 제외하고는 자유롭게 인출 가능
  3. 연금저축 + ISA 계좌 함께 활용
  4. ISA는 비과세 금액에 대한 수익을 달성했다면, 해지 후 연금 저축 계좌로 이전 (이전 비용의 10%는 추가 세액 공제, 최대 300만원)
  5. ISA → 연금 저축 계좌 이전 금액은 년 최대 납입 금액 상관없이 이전 가능
  6. ISA 계좌는 손익 통산으로 세금을 매긴다 (미국 직투 도 같음)
  7. S&P 500 종목 거치 + 적립 투자 전략
  8. 증권사 수수료 고려하여 MTS 선택
  9. 종목 선정 시, 운용 보수 및 시가 총액 규모 (기타 비용은 상장 한지 1년이 경과 되었는지 같이 확인)
  10. 분배금 → 배당금
  11. 되도록이면 iNAV 가 +- 1% 이내에 들어오는 가격으로 매수할 것
  12. 연금 저축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 수 있다.(단, DSR 측면에서 주택 담보 대출에 영향을 주는 대출을 먼저 받아서는 안된다) → 주의 사항은 강의 교제에서 확인

13. 의사결정나무 활용할 것

14. 개인 연금 받을시 1500만원 한도 - 3.3~5

5% - 넘는 금액은 16.5% 세금 매김

 

적용해 보고 싶은 점

 

  1. 절세 혜택을 최대로 활용하기
  2. S&P 500 종목 거치 + 적립 투자 전략
  3. ISA는 비과세 금액에 대한 수익을 달성했다면, 해지 후 연금 저축 계좌로 이전 (이전 비용의 10%는 추가 세액 공제, 최대 300만원)

 

다시 한번 말하지만 실천이 중요하다.

 

같은 실수를 반복하여, 후회하는 상황을 만들지 말자.

 


댓글


야보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