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온오프입니다.
지방투자 기초 3강에서 망구99님이 P지역과 G지역에 관해 설명해주시고
임장보고서를 쓸 때 어떤것에 중점을 두고 써야 하는지와 시세트래킹의 중요성에 대해 말씀해주셨습니다.
망구님의 임보양식과 원페이지 정리를 BM하고 있는 사람으로써 기대를 많이 하고 있었는데 역시 너무나 명확하고 자세한 내용으로 강의 해주셔서 좋았습니다.
지금 다른 중소도시를 임장하고 있는데 같이 비교를 할 때 이 지역들의 전세가율이 높아서 뭔가 싶었는데 이 부분에 대해 궁금증을 좀 해소할 수 있어서 좋았고 도시마다 특징이 다르고 그것을 이해하고 제대로 분석해야 좋은 투자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진리를 다시 한번 명심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공급 부분에서 평소 궁금하던 점을 해소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저도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그래프는 붙여놓고 그래서 여기서 뭘 어떻게 분석을 해야하는거지? 공급이 많아서 리스크 대비를 해야한다는 건 알겠는데 구체적으로 뭘 어떻게? 스스로에게 이런 질문을 하며 머리를 쥐어뜯는 날의 연속이었는데 이번 임보에서는 망구님의 강의내용을 참고하여 조금 더 분석에 힘을 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시세트래킹의 중요성에 굉장히 강조해주셨는데 사실 귀찮았던게 사실입니다..ㅠ
시간과 돈과 노력을 들여 앞마당은 만들어 놓고 시세트래킹에 소홀했었는데 망구님의 말씀을 듣고 반성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바로!! 시세트래킹 단지 파일을 열어서 지역 정렬부터 다시 하고 들쑥날쑥했던 시세트래킹 날짜를 딱 정해서 하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결과를 낼 수 있는 방법은 꾸준함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되새겨 봅니다.
좋은 강의 해주신 망구99님께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BM)
1. 입주 캘린더 장표 추가하기
2.미뤄놨던 앞마당 시세트래킹 하기 -> 단지 추려내기 & 매월 시세트래킹 날짜 정하기
댓글
오오 온오프님 저도 매전지수공급 그래프 부분은 분석법을 몰라의문이었는데, 튜터님 강의 통해 궁금증 많이 해소했어요! 온오프님의 임보 넘 멋져요~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 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