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생각보다 이해하기 쉬웠던 부동산과 나의 우려

25.02.22

돈이 알아서 굴러가는 시스템으로 1억 모으는 법 - 재테크 기초반

 내 월급을 언제 모아서 내집마련 혹은 부동산을 살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많이 했다. 특히 부동산은 한번 오르면 무섭게 오르기 시작하고, 심지어 어느 정도 안전자산이라는 인식때문에 잘 내려가지도 않는다. 그래서 연봉 4천만원도 안되는 나에게는 정말 버거워 보였다.

 

 권유디님의 강의를 듣고 부동산 투자의 구조를 알게되었다. 잘하면 정말 월급쟁이가 집을 4~5채 정도 보유할 수 있는 구조다. 투자금 5천만원으로도 시세차익, 상승된 전세금 등을 통해 억단위의 수익을 내니, 정말 신기한 구조였다. 어떻게 보면 대한민국 집값이 무섭게 치솟은 것도, 우리나라의 전세를 바탕으로 이런 투자를 할 수 있어서 그런것 같다.

 

 부동산 투자도 역시 노력없이는 안되는게 맞다. 임장과 공부는 필수다. 특히 임장은 “나도, 다른사람들도 살고 싶은 집”을 찾는 중요한 과정인 것 같다. 마냥 역세권이라고 좋은게 아니것을 공부로 알았기에 임장을 해봐야한다는 것을 알았다. 뉴스기사를 통해 공부를 해야하는 점은 오히려 맘에 들었다. 왜 그랬을까라는 고민을 해보고 이를 투자에 참고하거나 더 나아가 적용을 한다면, 실제 부동산 투자시 선택을 더 명확하게 해줄 것 같았다.

 

 여기까지는 권유디님의 강의에 대한 요약 및 소감이라면, 의문이 있다. 과연 우리나라 아파트 투자가 언제까지 유효할까? 일전에 대학에서 건축을 공부했다. 이때 공부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면 이르면 우리나라는 인구감소로 인해 2040년대 부터 아파트의 공실이 발생한다. 부동산을 맹신하는 사람에게는 정말 망상 같은 소리겠지만, 실제로 지금도 우리나라 전체 주택수는 우리나라 전체 세대수보다 많다(2022년 기준 주택보급률: 102%). 전세(레버릿지)를 통한 부동산 투자는 세입자가 있다는 전제이다. 인구가 감소하여 세입자를 못 구한다면, 해당 집을 팔 수는 있지만 제값을 바라는건 무리일지도 모른다.

 

 정말 위의 경우가 현실화 된다면, 그때는 세입자 혹은 구매자가 더 좋은 집을 더 싸게 들어갈 수 있다. 투자자는 그렇기에 더 좋은 집을 소유해야하는 것 같다. 안 그러면 위의 부동산투자 구조가 깨질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결국 신중에 신중을, 공부에 공부를 하여 부동산투자에 대해 접근해야 할 것 같다.


댓글


으니으닝
25. 02. 22. 18:08

인구 감소는 정말 중요한 문제죠 ㅠㅠ 그래서 더 공부를 하고 더 좋은 자산을 사야 하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건축 관련이 다 보니 더 체감 되실 것 같아요. 우리에게 맞는 투자는 무엇일지. 어떻게 공부하고 투자해야 할지 고민해보고 노력해봐요:) 후기 작성하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구슬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