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미와] 독서후기_몰입_체계적이며 과학적인 몰입의 방법

12-13p

    • 몰입 상태에서는 한가지 목표를 위하여 자기가 할 수 있는 최대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
    • 지극한 몰입상태에 이르면 내내 그생각만 하고 , 그생각과 함께 잠이 들었다가 그 생각과 함께 잠이 깬다.
    • 이때에는 문제 해결과 관련된 새로운 아이디어가 끊임없이 떠오른다.
    •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솟구치고 호기심이 극대화 된다. 즐거움이 뒤따른다.
    • 바로 사고하는 즐거움이다. 사고하는 즐거움은 작은 노력으로도 고도의 몰입 상태를 지속할 수 있게하는 원동력이다.ㅏ
    • 몰입을 통해서 집중하고 능력을 최대한 발위하며 자신감과 즐거움을 느껴 긍정적인 루프를 가지는 것이 몰입. 이책의 핵심이다.

21p

    • 최선을 다하면 실패해도 아쉽거나 후회스럽지 않다는 점이다.
    • 무수한 실패도 문제 해결을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 저자가 말하는 대로 이정도 몰입을 한다면.. 정말 실패해도 후회스럽지 않을 것 같다.
    • 그저 글로 최선을 다해야 후회가 없다는 말을 이해하고 있었는데, 다양한 사례와 몰입의 개념을 엮어서 말씀해주시니 나도 이런 몰입을 하며 살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33p

    • 엔트로피가 자연스럽게 증가하는 경향에 맞서 이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을 하지 않으면 우리는 타락이나 쇠퇴의 길로 빠지게 된다.
    • 인생에서 가치 있는것, 당신이 소망하고 이루고 싶은 것, 당신이 누리고자 하는 것은 모두 오르막이다. 문제는 사람들 대부분 꿈은 오르막인데 습관은 내리막이라는 사실이다.
    •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 그것을 바꾸기 위해서는 의도적이 노력이 필요한것이 당연하다.

36p

    • 본능을 거스르고 기꺼이 오르막을 오를 수 있는 메커니즘은 이방법 밖에 없다.
    • 반드시 오르막 혹은 힘든시간 후에는 짜릿한 성공을 경함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어야 한다.
    • 따라서 우리는 어던 일을 하더라도 최선을 다하되, ‘혼신으로 노력했고 지긋지긋했다’라는 경험을 피해야한다. 대신 ‘ 혼신으로 노력했지만 좋았다’라는 경험을 해야한다. 그래야 다시 혼신을 되풀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오르막을 오르는 것이 성취와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한다.
    • 그렇다면 그것이 억지로 하는 것이아닌. 나의 자발적인 오름이 어야하고, 그 과정자체가 의미있는 시간이어야한다.
    • 스스로 발전함을 느낀다면 그 오름이 힘들지 않을 것 같다.
    • 요즘 독서와 업무, 그리고 운동에서 그러한 점을 조금씩 느끼는 것 같아서 와 닿는 문장이었다.

60p

    • 칙센트미하이는 ‘몰입은 의식이 경험으로 꽉 차있는 상태다. 이때 각각의 경험은 서로 조화를 이룬다. 느끼는 것, 바라는 것 새각하는 것이 하나로 어우러지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 삶을 훌륭하게 가꾸어주는 것은 행복감이 아니라 깊이 빠져드는 몰입이라고 단언한다.

66-67p

    • 후회와 괴로운 마음으로 일과를 마감할 때는 아직 실패하지 않는 내일이 있고 내일부터는 최선을 다하겠다는 다짐이 유일한 위로가 되었다.
    • 그러다가 실패한 한달 뒤에는 다음 달이 있고, 실패한 한 해 뒤에는 그다음 해가 있지만, 실패한 인생 뒤에는 그 다음 인생이 없기 때문에 위로를 받을 방법이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 그렇다면 최선이란 무엇인가. 최선의 삶이란 어떻게 사는 것인가?
    • 내일의 기회로부터 인생의 마지막까지 연결시켜 생각한 저자의 생각에 큰 충격을 받았다.
    • 맞는 말이다. 실패한 인생뒤에는 다음이 없다. 후회로 가득차더라도 돌릴 방법이 없다.
    • 후회하지 않을 인생을 살기 위해서 나는 어떻게 해야할까?
    • 이 답을 나는 찾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81p

    • 인생에 마지막 순간에 후회를 한다면 그것은 실패한 인생이다.
    • 어떻게 살아야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 후회하지 않을까?

84p

    • 인생을 장작에 비유하면 장작이 100%타서모두 재가 되어 없어지면 아무런 후회가 없을 텐데, 5%만 타고 95%가 전혀 타지 않은채 폐기되지 않을까 두려운 것이다.
    • 인생에 후회가 없으려면.. 실패한 인생이 아니려면. 100% 불태워봐야한다. 그리고 그것은 몰입으로 이룰 수 있다는게 저자의 생각이다.

85p

    • 열심히 일하면 남들보다 2배 이상 잘하기도 힘들지만 열심히 생각하면 남보다 10배, 100배 아니 100까지도잘할 수 있는 것이다.
    • 이른바 work hard 에서 think hard의 패러다임으로 일하는 방법 자체를 바꿔 탄 것이다.
    • 일할떄도 생각을 먼저하고 행동하자..단순히 열심히 일하는 것은 생산성도 적고, 나에게 도움도 안된다.

92p

    • 내 삶의 행로를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바꾸려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무의식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93p

    • 주인공(스포트라이트) :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 의식
    • 어두운 무대 위 : 암묵기억 (의식과 연결)
    • 관객 : 무의식 (장기기억)

95p

    • 계속 생각한다는 것은 그 문제를 계속 의삭의 무대위에 올려놓는 것이다.
    •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때는 그 문제를 무대위에 충분히 오랫동안 올려두어야한다.
      • 멀리 떨어진 무의식과 연결되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108p

    • 몰입은 오르막을 오르는 과정이다.
    • 중요한 것은 결과에 집착하지 않는 것이다.
    • 결과에 대한 걱정을 몰입을 방해한다.
    • 결과에 대한 걱정보다.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중요하다.
    • 성공에 대한 경험이 문제를 풀 수 있다는 자신감을 준다.

2장 본격적인 몰입을 시도하기 위하여

118p

    • 왜는 한가지 원인으로 생각을 집중시켜 수렴적 사고를 유도하지만
    • 어떻게는 여러가지 가능성을 열어두어 발산적 사고를 유도한다.

131p

    • 고난도 문제를 푸는 경우 명상하듯이 생각의 속도를 충분히 줄여줘야 한다.

144p

    • 분명한 것은 연속해서 생각하면 몰입도가 올라간다는 것이다.

155p

    • 자투리 시간마다 문제에 대한 생각의 끈을 놓지 않으니 실마리가 항상 생깁니다.
    • 나도 자투리 시간마다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문제의 원인을 찾아보자.
    • 실제로 조금씩 지하철에서, 잠들기전 등등 해보니 아이디어들이 떠오른다.
    • 특히 눈을 감고 선잠형태로 했을때 아이디어가 많이 떠올라서
    • 작게 메모할 수 있는 노트를 샀다.

170p

    • 수면이 부족하면 낮에 두뇌에 활동으로 쌓인 노폐물인 베타아밀로이드나 타우 단백질 등이 축적되는데 이 물질들은 신경세포를 파괴하고, 치매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 이것들은 잠자는 동안 뇌척수액에 의해 제거된다.

173p- 175

    • 필요한 것은 몰입이지 걱정, 스트레스, 또는 위기감이 아니다.
    • 선잠 상태에서는 의식 깊은 곳까지 문제에 대한 생각이 들어가게 되어 문제와 관련된 깊으 ㄴ아이디어가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선잠 상태에서는 장기기억이 활성화 딘다.

189p

    • 창의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각성보다 이오나상태가 유리하고 잠이든 상태가 더 유리하다.
    • 잠이 든 상태에서는 아세틸콜린의 분비가 증가하고 전두엽의 억제가 풀리기 때문에 장기기억 인출에 유리하다.
    • 잠이 든 상태에서 천재의 뇌 상태를 활요하려면 잠이 든 상태에서도 그 문제를 생각해야 한다.
    • 낮에 아이디어가 우연히 떠오르는 이유는 수면중 단기기억에 필요한 물질이 감소하기 떄문
    • 수면중에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아이디어가 떠오르지만 잠에서 깨면 잊어버리는 것
    • 그러다가 낮에 생각이 떠오르는 것

226p

    • 몰입은 산만한 상태에서 높은 집중도로가는 행위다. 결코 저절로 이루어질 수 없고 반드시 어떤 힘이 작용해야한다.
    • 그 힘은 기대감, 즐거움, 쾌락인 긍정적인 보상이고 위기감, 불퀘감 혹은 고통이 부정적인 보상이다.
    • 긍정적인 보상과 부정적이 보상이 유도하는 목적 지향성은 우리 뇌가 작동하는 기본 매커니즘이다.
    • 그러므로 몰입에 들어가려면 목적지향을 이용해야한다.
    • 내가 이 행위를 하는 이유를 명확히 알고 그것에 대한 긍정/부정적인 보상이 있다면 몰입을 잘 할 수 있다.

229p

    • 자신의 목표로한 문제가 중요하다고 생각할 수록 그리고 반복해서 생각할수록 몰입하기 쉬워진다.
    • 나폴레옹 힐은 상상력이야 말로 잠재의식을 창조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했다.
    • 매일 규칙적으로 자신의 목표를 명확히 하려는 다짐이나 생각을 하는 행위 자체가 주어진 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킨다.
    • 확언이 어떻게 현실이 되는지. 잠재의식에 들어가고, 생각하고, 몰입하게 되기때문일까.

232p

    • 항성 어디서나 자신의 일에 대해 습관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자신의 일에 대한 성취 동기가 높고 좋은 결과를 얻는다.

244p

    • 쾌락을 추구하기전에 고통을 겪는 방법을 제안한다.
    • 독서, 글쓰기, 공부, 운동, 찬물샤워등 고통스러운 활동을 먼저하면 반드시 그에 대한 보상으로 기쁨과 쾌락이 뒤따른다.
    • 고통을 먼저 선택하면 저축한 도파민을 사용하는 것과 같아서 더 큰 보상으 ㄹ얻을 수 있다는 원리다.
    • 고통스러운 일이 보상으로 돌아온다.
    • 엔트로피를 감소시키는 일은 결국 나를 발전시키고 보람과 보상을 준다.

262p

    • 내가 어떤 활동을 하느냐, 무엇을 생각하느냐에 따라 주어진 일에 대한 시냅스 형성이 영향을 받고 그 결과 주어진 일에 대한 나의 감정이 변화한다. 이와 깉이 내가 나를 바꿀 수 있다.

271-273p

    • 오늘 하루 나느 ㄴ얼마나 가치있는 시간을 보냈는가. 오늘 하루 내가 한일들은 어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활동은 얼마나 가치있는 것이었나?
    • 이런 일상이 반복된다면 인생의 마지막 순간 나는 자신의 삶에 대하여 만족할 수 있겠는가?
    • 서서히 다가오는 죽음에 대하여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은
    • 살아있는 동안 가장 삶다운 삶을 사는 것이다.
    • 죽음과 가장 반대되는 삶을 살아야하는 것이다.
    • 하루하루 생동감 넘치고 삶의 희열로 꽉찬 그리고 작지만 내가 가진 모든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는 그러한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이다.
    • 왜냐하면 살아 있음이 나의 유일한 기회이기 때문이다.

335p

    • 부는 불편한 삶을 편리하게 해주기는 하지만 행복을 보장해주지는 않는다.
    • 행복을 돈으로 살 수 는 없다.
    • think hard 패러다임에서는 보장되지 않은 미래의 행복을 위해 현실을 희생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행복하게 산다.
    • 미래의 행복을 담보로 현재를 저당 잡히는 것이 아니라 행복을 누리면서도 그 결과가 보다 확실한 미래의 성공을 보장하는 것이다.
    • 일이 삶의 수단이 되는 것보다 그 자체가 삶의 목적이 되어야 보다 의미있고 삶다운 삶을 살 수 있다.
    • 깊이 생각하지 않고 주어진 일을 밤새워 열심히 하면 자신이 발전하기 보다는 소모된다는 느낌을 갖는다.
    • 자나깨나 자신의 일을 분석적으로 생각하면서 일하는 think hard의 패러다임에서는 자신의 능력이 빠르게 발전하고 열정과 호기심이 발달한다.

359p

    • 약한몰입 1단계 : 이완된 상태에서 느긋하고 쉬는 듯이 생각하는 슬로우 싱킹]
    • 약한몰입 2단계 ; 생각으 지속함 10분- 10시간

373p

    • 월요일 아침에 출근 준비를 할때도 출근글에도 업무에 대한 생각을 하는 것.
    • 이는 업무와 관련된 시냅스를 의도적인 몰입을 통해서 활성화 하는 것이다.

416p

    • 몰입8계명
    • 명확한 목표를 세운다.
    • 사전 지식을 공부한다.
    • 몰입시간을 확보한다.
    • 이완된 상태에서 한다.
    • 잠은 꼭 잔다.
    • 선잠을 활용한다.
    • 규칙적인 운동은 필수
    • 답이 보이지 않아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댓글


다미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