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망구 99님의 3주차 강의를 듣고,
같은 중소도시이지만 지방의 특색에 대해 이해하는 과정도 중요하다는 걸 알게됐다.
E,F지역의 경우 그냥 지방 중소도시의 특징을 적용했다면
아마 임장을 가게되더라도 헷갈려했을 것같다.
낮은층에 준 구축인데 왜 가격이 비싸지? 하고 말이다.
중소도시에도 학업을 중요시 하는 곳이 있다는 것을 알고
투자 상황에 중요한 요소로 봐야겠다.
그리고 지역 이야기를 하시면서 계속 그 지역의 천장 가격에 대해 알려주시려고 하셨다.
반복해서 알려주신다는 것은 중요하다는 의미겠지?
임장을 가게되면 나는 가격이 잘 안 외워져서 생활권 별로 단지임장을 하고
그 중 단지 선호도가 높은 것같은 곳의 가격을 기억한다.
그리고 매물임장한 단지는 가격이 머릿속에 남는다.
그런데 이렇게 하면 몇몇단지의 가격만 기억이 나고
주변 단지들은 생각이 잘 나지 않는데 그 지역의 전체적인 가격을 대략이라도 외워야겠다.
강의의 마지막쯤 시세트래킹을 잘하면 다른 지역과의 비교평가를 할 수 있다고 이야기하시는데
가격을 알아야 비교평가를 할 수 있으니 강조하시는 거라 생각한다.
기대 수익과 리스크에 대한 이야기가 내가 투자에 제대로 적용해야할 부분같다.
이번 지투기를 수강하면서 강사님들이 대부분의 지역이 절대가가 싸다고 이야기 해주시는데
진짜 집을 사러가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았다.
하지만 지금 나의 상황을 수치로 나타내서 내가 투자를 할 수 있는 상황인지 아닌지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게 하셨다.
내가 수치적으로 계산해서 다 준비가 되어있는지
마지막으로 용기까지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가 있음을 말해주시니
이성적으로 내가 투자할 수있는 상황인지 점검해보게 된다.
더 준비하며, 리스크르 감수 할 수 있고 기대수익이 큰 상황이 왔다고 판단될 때 투자를 할 것이다.
리스크가 작을 수록 기대수익이 크다. 리스크가 클 수 록 기대수익이 크다.
그리고 난 아직까지 시세트레킹을 하지 않고 있었다.
작은 앞마당이 생겨도 시세 트래킹을 꼭해라 하시는데 지금까지 나는
앞마당도 아니고 반마당인데, 아직 시작한지 얼마되지않았는데, 라는 생각이 머릿속에 있었고 미루어왔던 일이다.
시세 트래킹의 정찰병을 세우고 누구도알려주지 않는 나의 투자시기를 내가 직접 찾아야겠다.
BM : 시세 트레킹 시작하기.
댓글
리제100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