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이번 지기 3강강의는 망구99님의 강의였어요.
비슷한 인구수와 지역 특징을 가진 D/E지역을 분석한 강의였어요.
이미지만 갖고 갔던 지역을 망구님을 통해 알게 되어서 뭔가 강의가 끝난 후에는 친숙해진 느낌까지 들었어요.
다음에 정말 그 지역을 방문하면 망구님의 강의장표를 가져가서 진짜 그런지 눈으로 귀로 발로 체득하고 싶더라구요.
특히 망구님의 강의는포인트를 집어서 말씀해 주시고 임보도 어떻게 해석하고 볼 수 있는지를 알려주셔서 제가 이제껏 써왔던 임보에 대해 한번더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지역의 입지 요소와 인구에 대해서 보는 방법에 대해서도 복잡하지 않아서 강의에 나온 D/E지역에 대해서 관심이 많이 생겼어요.
망구님은 중소도시의 사이클이 모두 다르고 다 다른 이유는 공급과 관련되어 있다는 중요한 말씀을 하셨어요.
사이클이 왜 다른지 그 지역의 앞마당을 늘리면 알 수 있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는데 좀 더 자세히 왜 그런지 지표를 보여주셔서 이해가 빨리 되었어요. 그리고 공급에 대해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그럼에도 투자가 가능한 지역을 찾을 수 있고 그것에는 선호도!! 가 큰 영향을 미친다는 이야기를 해주셨어요. 잊지말자 선호도!!
그리고 지난 자모님 코칭이나 강의에서도 나온 좋은 걸 싸게 사는게 가장 중요함을 다시 한번 알 수 있었어요.
근데 좀더 상세히.. 왜 중요한지뿐만 아니라 어떻게봐야하는 리스크와 기대수익을 통해 감당가능한지 각각 개개인의 상황에 대입하여 해석하고 대비해야 함을 배웠어요. 주변에 00아파트를 00가격에 샀을 때 내 상황과 맞지 않는 물건을 구매할 경우에는 나를 망하게 하는 방법일수도 있다는 말씀을 듣고 뭉퉁그려서 보면 안된다는 생각을 하였어요. 그리고 남의 투자 물건을 보고 나도 욕심낼게 아니라 나의 투자여력을 제대로 알고 있어야 함에 대해 중요하다는 점을 깨달았답니다.
저는 아직 앞마당도 적고 투자금도 적어서 늘 리스크 대비와 잔금 여력에 대해 걱정하고는 했어요. 리스크가 있어도 의사결정할 때 방법이 있다는 이야기를 여러 강의를 통해 들어왔지만 이상하게 그래도 막연했어요. 결국 대출들을 일으킬 수 있는 나의 여력이 중요한 것은 아닌가? 라는 생각!! 혹은 담보대출을 받더라도 내가 살고 있는 집의 절대가 대비 나오는 것이기에 얼마 되지 않는다는 생각들을 해왔는데요 망구님 강의를 들으니 상황에 맞는 리스크 대비 방법이 있음을 좀 더 알 수 있었어요. 그리고 임장을 하면서 임보와는 다른 분위기를 형성하는 곳을 어떻게 해석하고 받아들이는지를 알 수 있어서 너무 좋았어요.
마지막으로 시세트래킹!!
이제껏 정말 적은 앞마당으로 시세트래킹을 한다고 목실감에 쓰곤 했는데... 정말 제대로 알지 못하고 하였음을 알 수 있었어요.
망구님은 어쩜 기준을 그렇게 딱딱 깔끔하게 알려주시는지 진짜 너무 감사했어요.
결국 시간과 돈 , 노력 등을 써서 만든 앞마당을 만든채로 두면 다 잊어버리고 가격이 머리에 남지 않는다는 말씀이 강하게 와닿았어요. 제 방식대로 시세트래킹을 하며 그냥 흐름만 보려던 저를 반성하게 했답니다. 이번 임장지의 앞마당이 생기면 얼른 시세트래킹을 다시 제대로 만들어서 지난 앞마당과 함께 망구님이 알려주신 기준대로 작성하여 해야겠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습니다. 내 시간 , 노력, 돈!! 결국 잃지 않는 투자로 가는 지름길이 아닌가 생각이 들었어요.
나의 리스크+기대수익+감당가능 여력에 대해 체크하자
기준에 맞는 시세트래킹을 작성하자
나만의 행복스위치를 찾자
댓글
아뜰리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