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보라우유] 분양권도 꼭 같이 봐야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연보라우유입니다 :)

 

오늘은 센쓰튜터님과의

반모임 & 반임장을 통해

“분양권 투자”에 대해 배운점이 있어

함께 나누어보려고 합니다.

 

지금까지는

“분양권은 돈이 많이 들어가잖아~”라고만 생각하며

투자로 진지하게 고려하지 않았었는데요.

 

지금 시장에서는 정말 싸게 나오는 분양권들이 있기 때문에,

분양권도 빼놓지 않고 시세지도를 따고

투자로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분양권 투자시 장단점과

주의할 점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분양권 투자의 장단점

 

 

분양권 투자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장점

  1. (매물에 따라) 초기 투자금이 적게 들어갈 수 있다
  2. 취득세가 당장 들어가지 않는다

 

단점

  1. 조합원 매물의 경우, 초기 투자금이 많이 들어갈 수 있다
  2. 시장이 어떻게 될지 예측할 수 없어, 전세가가 낮아질 수 있다 (= 최종 투자금이 많이 들수있다)

 

 

 

Q. 분양권 투자시, 초기 투자금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분양권 투자시 초기 투자금은 

아래와 같이 계산될 수 있습니다.

 

* 초기 투자금

= 계약금(분양가의 10%) + 옵션 계약금(옵션의 10%~20%) + 프리미엄 + 중도금 대출이자(매수인 부담일 경우)

 

의왕시의 26년 입주단지 분양권을 기준으로

초기 투자금을 계산해보겠습니다.

 

 

초기 투자금

= 6,580(분양가의 10%) + 0(분양옵션의 10~20%) + 5,000 + 중도금 대출이자(매수인 부담인 경우)

 

그래서 위 분양권 매수시

초기 투자금은 1억1580만원+알파가 됩니다.

 

 

 

Q. 분양권 투자시, 취득세는 언제 내나요?

 

 

분양권에 대한 취득세를 납부하는 시점

분양권 취득시점 (X)

분양계약서상 잔금 납부 시점 (O)

입니다.

 

그래서 분양권 취득시,

당장은 취득세를 내지 않을수 있는데요.

 

여기서 주의해야할 사항은,

취득세 중과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분양계약서상 잔금 납부 시점 (X)

분양권 취득시점 (O)

의 주택수에 달렸다는 점입니다.

 

만약 2주택자인 상태에서 분양권을 매수하면,

잔금 납부 시점 전에 나머지 2개를 모두 팔았다고 해도

분양권 매수 시점의 주택수(3주택) 기준으로

취득세가 부과됩니다.

 

 

 

분양권 투자에서 중요한 것

 

 

분양권 투자를 할때 결국 중요한 것은,

“분양권의 단점들을 감수할만큼 가격이 싼가?”

입니다.

 

그리고 분양권의 경우

네이버 부동산에 올라와있는 것보다

현장에 직접 방문했을때 좋은 매물이 있는 경우가 많으니

적극적으로 현장을 활용해야 합니다.

 

 

 

분양권까지 놓치지않고 섭렵할

1등 투자자 여러분들을 응원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댓글


장으뜸user-level-chip
25. 02. 27. 23:19

분양권♡ 새로운 시각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유부님!

조카인user-level-chip
25. 02. 28. 10:43

히야

부마니user-level-chip
25. 02. 28. 23:29

오오 연부님 너무 좋아요!! 리마인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