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3주차 강의후기

23.11.28

3-1강 후기


현재 내가 가능한 종자돈으로 투자할 수 있는 단지에 대해 알려주시니 조금 더 관심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천안 지역을 임장하고 있지만 40만 도시에 임장하게 될 시 어떻게 접근하면 되는지 엿볼 수 있는 강의였다.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입지를 분석하고 선호도를 찾아내는 것이다. 또한, 각 입지에 인구와 직장과 같은 요소를 분석 시 어떤 것에 초점을 맞춰야 되는지도 엿 볼 수 있었다.


BM : 지도위에 입지 요소 및 등급 표기하기


3-2 강 후기


지방 중소도시에 대해 입지분석을 할때 수도권과 광역시와는 달리 개별성이 뚜렷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각 지방 중소도시 마다 선호하는 것이 다르고 어떤 도시는 '학군'에 대한 수요가 크고 또 다른 도시는 '신축&택지'에 대한 수요가 크다는 것을 보며 정말 수도권과는 다른 선호도를 가지는 것이 다시한번 느낄 수 있는 강의 였다. 또한, 여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임장을 하면서 내가 조사했단 것이 실제로 맞는지 검증까지 해야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BM : 지방의 각기 개별성이 강하고, 사전조사하는 것을 임장을 통해 검증을 하자


3-3,4 강 후기


지방 중소도시에 대해 각 생활권에 대한 가격을 볼 수 있었다. 해당 강의를 보면서 지금 내가 임장 중인 곳과 가격 비교를 할 수 있었다. 사실 인구수로는 현재 임장중인 지역이 훨씬 많지만 조금 떨어지는 생활권에 어떤 동네와 비슷하구나 라는 것을 생각하면서 들을 수 있었다. 자연스럽게 비교평가가 되었으며 지속적으로 지역을 늘려 나가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BM : 자연스러운 비교평가를 위해 지속적으로 앞마당 늘려나가자


3-5강 후기


공급을 구체적으로 해석하는 방법과 현재 해당 지역의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사실 임보작성 시 대충 어느정도 입주가 된다. 여기서 멈췄지만 투자 시에는 어디의 위치에 얼마나 들어오며 전에 비슷한 선례가 있을 시 영향을 얼마나 끼치는지 유추하면서 봐야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또한 저평가 아파트와 저가치 아파트에 대해서 간략하게 가격 그래프를 보며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을 알 수 있었다.


3-6강 후기


시세트래킹을 해야 한다는 것에 대해 명료한 설명과 당위성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내 시간과 돈을 들여 하는 이 행위에서 시세 트래킹을 하지 않는 것은 정말 하지말아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BM : 시세트래킹은 숙제가 아니고 반드시 투자를 위해 해야되는 것이다.



댓글


성공할사나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