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반스쿨 중급반 4주차는 주우이님께서 투자지역 선정하는 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강의를 해주셨고, 질의응답을 통해 수강생들의 고민을 해결해 주셨습니다.
현재 나의 종잣돈과 저축 가능액에 맞는 투자처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3월에 서울투자기초반을 수강하려고 했지만 나에게 맞는 투자처는 지방이 맞다고 판단되어 3월에 부산광역시 임장을 하기로 결정을 하였습니다. 서울투자기초반 강의는 6월에 수강하기로 잠시 미뤄두고 5월까지는 지방 임장에 집중하려고 합니다.
- 서울, 수도권, 지방의 시세 흐름을 알고 내 상황에 맞는 지역을 선정할 수 있다.
- 종잣돈과 저축 가능액에 맞는 투자우선순위를 정하고 의사결정을 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 수도권과 지방의 사이클이 차이나는 이유는 지역의 크기 차이, 수요의 차이, 전세가율의 차이 때문인다.
- 지방 광역시의 경우 종잣돈 1억 정도에서 투자 가능하며, 중소도시는 5천만원 정도에서 투자 가능하다.
- 서울 4급지 이상은 3억 이상, 수도권 4급지 이상은 2억 이상으로 투자 가능하며, 입지독점성이 높은 곳을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
- 종잣돈 1억 이상/1년 저축 가능액 5천~1억인 사람의 경우 수도권, 종잣돈 3천~1억 미만/1년 저축 가능액 5천만원 이하인 사람의 경우 지방을 투자할 수 있다.
- 수도권에서 투자 단지 찾는 순서는 1) 입지독점성 확인, 2) 전세가율 확인, 3) 내 투자금으로 가능한 지역 확인, 4) 저평가 단지 찾기, 5) 투자 단지 선택 순이다.
- 금액대별 가장 좋은 아파트를 파악하기 위해서 5순위 시세표를 활용한다.
- 지방에서 투자 단지 찾는 순서는 1) 인구수 많은 곳 확인, 2) 전세가율 확인, 3) 입주물량 확인, 4) 저평가 단지 찾기, 5) 투자 단지 선택 순이다.
- 수도권과 지방 비교평가하는 방법은 가격의 흐름이 비슷한 지역을 전고점의 높이로 찾고, 더 많이 오를 수 있는 곳인지 전고점을 비교하여 기대수익으로 비교평가를 하여 검증한다.
- 목표 달성을 위해 3개월 동안 투자목표를 정하고(3월), 시세트래킹을 하며(4월), 5순위 시세표(5월)를 만든다.
- 현재 종잣돈과 1년 저축 가능액을 고려하여 우선적으로 지방투자에 집중하여 가장 좋은 단지에 투자한다.
- 3월에 투자목표를 정하고(원씽), 임장을 최소 4회, 임장보고서를 1개 작성하며 책을 4권 읽는다.
- 4월에 앞마당 시세트래킹을 하고(원씽), 임장을 최소 4회, 임장보고서를 1개 작성하며 책을 4권 읽는다.
- 5월에 5순위 시세표를 만들고(원씽), 임장을 최소 4회, 임장보고서를 1개 작성하며 책을 4권 읽는다.
- 6월에 서울투자기초반 수강을 통해 수도권으로 임장지역을 확장하며, 수도권/지방 비교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단지 비교한다.
4주차 강의를 통해 매월 고민했던 임장지역과 강의 수강에 대한 진로를 결정할 수 있는 시간이 된 것 같습니다. 우선, 지방에 집중하여 임장 및 임장보고서를 통해 아는 지역을 늘려 나가야 겠다고 다짐하였고, 6월 이후 서울투자기초반을 통해 수도권에 도전하려고 합니다!! 주우이님 말씀처럼 해내겠습니다!!
열반스쿨 중급반 4주차 마지막 강의를 해주신 주우이님! 고생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