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반스쿨 중급반 4주차 강의후기_우선 지방으로 가자!! [열반스쿨 중급반 43기 14조 락끼]

열반스쿨 중급반 - 계약부터 전세까지 실전투자 A to Z

열반스쿨 중급반 4주차는 주우이님께서 투자지역 선정하는 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강의를 해주셨고, 질의응답을 통해 수강생들의 고민을 해결해 주셨습니다.

현재 나의 종잣돈과 저축 가능액에 맞는 투자처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3월에 서울투자기초반을 수강하려고 했지만 나에게 맞는 투자처는 지방이 맞다고 판단되어 3월에 부산광역시 임장을 하기로 결정을 하였습니다. 서울투자기초반 강의는 6월에 수강하기로 잠시 미뤄두고 5월까지는 지방 임장에 집중하려고 합니다.

 

  • 4주차 강의를 통해 인상 깊었던 점은,

 

  1. 서울, 수도권, 지방의 시세 흐름을 알고 내 상황에 맞는 지역을 선정할 수 있다.
  2. 종잣돈과 저축 가능액에 맞는 투자우선순위를 정하고 의사결정을 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3. 수도권과 지방의 사이클이 차이나는 이유는 지역의 크기 차이, 수요의 차이, 전세가율의 차이 때문인다.
  4. 지방 광역시의 경우 종잣돈 1억 정도에서 투자 가능하며, 중소도시는 5천만원 정도에서 투자 가능하다.
  5. 서울 4급지 이상은 3억 이상, 수도권 4급지 이상은 2억 이상으로 투자 가능하며, 입지독점성이 높은 곳을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
  6. 종잣돈 1억 이상/1년 저축 가능액 5천~1억인 사람의 경우 수도권, 종잣돈 3천~1억 미만/1년 저축 가능액 5천만원 이하인 사람의 경우 지방을 투자할 수 있다.
  7. 수도권에서 투자 단지 찾는 순서는 1) 입지독점성 확인, 2) 전세가율 확인, 3) 내 투자금으로 가능한 지역 확인, 4) 저평가 단지 찾기, 5) 투자 단지 선택 순이다.
  8. 금액대별 가장 좋은 아파트를 파악하기 위해서 5순위 시세표를 활용한다.
  9. 지방에서 투자 단지 찾는 순서는 1) 인구수 많은 곳 확인, 2) 전세가율 확인, 3) 입주물량 확인, 4) 저평가 단지 찾기, 5) 투자 단지 선택 순이다.
  10. 수도권과 지방 비교평가하는 방법은 가격의 흐름이 비슷한 지역을 전고점의 높이로 찾고, 더 많이 오를 수 있는 곳인지 전고점을 비교하여 기대수익으로 비교평가를 하여 검증한다.
  11. 목표 달성을 위해 3개월 동안 투자목표를 정하고(3월), 시세트래킹을 하며(4월), 5순위 시세표(5월)를 만든다.

 

  • 투자에 적용하고 싶은 점은,

 

  1. 현재 종잣돈과 1년 저축 가능액을 고려하여 우선적으로 지방투자에 집중하여 가장 좋은 단지에 투자한다.
  2. 3월에 투자목표를 정하고(원씽), 임장을 최소 4회, 임장보고서를 1개 작성하며 책을 4권 읽는다.
  3. 4월에 앞마당 시세트래킹을 하고(원씽), 임장을 최소 4회, 임장보고서를 1개 작성하며 책을 4권 읽는다.
  4. 5월에 5순위 시세표를 만들고(원씽), 임장을 최소 4회, 임장보고서를 1개 작성하며 책을 4권 읽는다.
  5. 6월에 서울투자기초반 수강을 통해 수도권으로 임장지역을 확장하며, 수도권/지방 비교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단지 비교한다.

 

4주차 강의를 통해 매월 고민했던 임장지역과 강의 수강에 대한 진로를 결정할 수 있는 시간이 된 것 같습니다. 우선, 지방에 집중하여 임장 및 임장보고서를 통해 아는 지역을 늘려 나가야 겠다고 다짐하였고, 6월 이후 서울투자기초반을 통해 수도권에 도전하려고 합니다!! 주우이님 말씀처럼 해내겠습니다!!

 

열반스쿨 중급반 4주차 마지막 강의를 해주신 주우이님! 고생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함께하는가치user-level-chip
25. 03. 04. 22:59

강의완강 고생하셨습니다💛 앞으로의 투자생활도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