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3주차 강의 시작과 함께 2가지 마음속으로 간직해왔던 궁금증이 전부 나오게 되어 궁금함을 참지 못하고 빨리 답을 듣고 싶은 강의 였다.
"지방 인구가 감소하는데 중소도시에 투자해도 될까요?
"D/E 지역 일자리가 빠진다고 하는데 투자해도 될까요?
강의를 통해 2가지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게되었지만 후기를 통해 남길 수가 없음으로 지방강의, 망구님 강의를 꼭 들어서 위에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면 좋겠다.
지방기초반을 들으면서 여러 중소도시/광역시의 입지분석, 환경, 공급 등에 대해 알게되면서 기존에 놀러만 다녀온 지역들을 투자관점으로 공부를 하게 되니 신기 하면서도 오랜만에 그 지역에 살고 있는 거주민 친구들에게 연락을 하면서 약속 날짜를 잡게 되었다.
이번 3주차 강의는 D/E지역에 대한 내용의 강의 였는데, 강의 내용 중 꼭 기억하고 싶어 다시듣기를 반복 하였던 내용은 D/E지역과 같이 공급량이 많을 때의 투자 대처법과 리스크관리법이었다. 결국 우리는 투자 포인트(리스크 대비 기대수익)을 이해하고, 결정 할 수 있는 투자자가 되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을 배우는 것이 핵심이고 이 강의를 들어야 하는 이유라고 생각 했다.
마지막으로 이번 강의를 통해 새롭게 배운점들을 나열해보자면,
#초등학교 학군 분석(데이터에 속지 마세요) #중소도시의 선호도 결정 요소(환경보다는 선호도)
#공급 입주캘린더(입주시기 플마 3개월까지 고려) #앞마당의 완성은 시세트래킹
#리스크 대비 기대수익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