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스리쓰리입니다.
이번 지기 3강은 이번달 제가 임장지와 다음달 임장지로 고려하고 있는 지역에 대해서 알려주셔서 너무나 좋았습니다.
특히, 임보 관련하여 참고를 많이 했던 망구님이 등장하셔서 또 좋았어요!
강의에 쓰인 자료도 어찌나 깔끔하고 명료하게 만드셨는지,,, 또 한번 반했습니다.ㅎㅎ
사정상 이번 강의를 듣고 지역 임장을 시작하게 되었는데요,
헤매지 않을 수 있어서 도움이 되었지만, 아무래도 정답을 알고 가는 느낌이기는 했습니다.
그래도, 직접 그 지역을 가보지 않으면 강의 내용을 흡수할 수 없을테니,,,! 안가본 지역도 가고 다시 복습해야겠습니다.
어떤 지역은 우리가 알고 있는 기본적인 이론과 맞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럴 때에는 이유를 찾고 받아들여 가격을 이해야하는 과정이 어렵기만 합니다.
저는 특히 중소도시를 임장할 때에 그러한 경우를 많이 느껴왔는데요,
이번 강의에 있던 지역처럼 그러한 특색이 강한 지역은 '왜'라는 의문점을 자꾸만 가지면서 찾아가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더 적극적으로 지역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자세가 스스로에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또, 강의 내용 중에서 '우리는 ETF 투자가 아니라 단지 각각에 투자하는 것이다'라는 말씀이 와닿았습니다.
가끔 고민에 지치고 결정이 어려울 때엔, 인구 많은 도시면 괜찮지! 공급없는 지역이면 안심이지!
이러한 생각을 하고는 했었는데, 각각의 개별 단지에 대한 선호도를 더 깊게 파악하고 고민해야한다는 것을 다시 깨닫습니다.
마지마으로 공급에 대한 리스크가 많은 지역에 대한 투자를 할 때에는 어떠한 관점으로 결정을 내려야하는지 알려주셨습니다.
무조건 공급만 피하는 것을 기준으로 임장지를 선택해 왔었는데요,
사실 공급리스크가 있는 곳이야 말로 절대적 가격이 싸다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일 겁니다.
그러한 지역간 가격비교를 통해 공급이 없는 지역은 상대적으로 비싸다는 결론으로 투자결정을 미뤄왔기도 했구요.
리스크가 큰 곳은 두려우니 피해야한다는 결론만 내리기도 해왔습니다.
리스크 대응와 기대수익에 대해서 고려해볼 수 있는 예시를 말씀해주셔서 충분히 잘 이해가 되었고,
앞으로의 투자 결정에 있어서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이번주 강의도 감사합니다! :)
[BM] 공급리스크를 더 꼼꼼하게 파악하고 기대수익도 계산해 보기
댓글
스리쓰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