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투자 기초반 3강 강의 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4기 46조 모헤]


안녕하세요~

모헤입니다.

어제 업무관련 일 때문에 마감기한에 강의후기를 쓰지 못했습니다.

마감기한까지 과제를 완료 못했다는 생각때문에 기분은 썩 좋지 않지만

그래도 늦었지만 조금이나마 강의 후기를 남겨 보려고 합니다.


이번 강의는 망구99님께서 D/E 지역을 함께 설명해 주셨습니다.

먼저 이 두 지역을 함께 알면 좋은 이유에 대해서 설명해 주셨고,

각 지역의 입지분석을 통해 비슷한 점과 차이점이 있음을 설명해주셨습니다.


세 번째로 두 지역의 가격 분석을 해주셨습니다.

먼저 공급부분을 설명해 주셨는데 이 부분부터 저에게 가장 많이 도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이 두 지역은 공급이 많은 편입니다.

공급이 많을 때는 아 공급이 많으니 다른 지역을 알아봐야지가 아니라

공급이 많으니 어떤 관점으로 이 지역을 공부하고 투자를 진행해야 하는지 배울 수 있었습니다.


비슷한 공급물량이 있는 시기를 보고 앞으로의 미래 전세가, 매매가를 예측해야합니다.

단순히 공급이 많다고 포기할 것이 아니라 과거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고

왜 저런 현상이 발생했는지 분석하여 예측하기 어려운 미래 상황을

가장 높은 확률의 결과로 판단하여 투자에 임해야 성공적인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공급이 많을 때 캘린더에 기록해서 전세가에 영향을 줄 것인지 판단해야 하는 것을 배웠습니다.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 해제 되었을 경우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배울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투자 포인트 부분에서 중소도시 공급이 많은 곳들은

어떤 투자 포인트로 접근해야 하는지 배울 수 있었습니다.


D/E 지역은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그만큼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단지를 선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리스크를 판단하고 최악의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 다음 기대수익을 계산해보고, 손익을 따져 투자가능여부를 판단해야할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같은 지역이라도 본인의 상황에 따라 투자여부가 달라질 수 있는점을

꼭 기억해서 투자 가능여부를 판단해야 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시세트레킹을 해야하는 이유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

시세트레킹이 중요한 것은 몇 번 들었었지만 앞마당 지역 시세트레킹을 제대로 하지는 않았습니다.

투자에 정말 중요한 부분인 것을 인지하고 앞으로는 꼭 시세트레킹을 해야겠다고 다짐합니다.


B.M

리스크와 기대수익의 관계 어떤게 더 큰지 판단하는 연습해보기!

시세트레킹하기!


감사합니다.






댓글


우리의봄user-level-chip
23. 11. 30. 17:57

강의후기 작성하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 꼼꼼히 복기하신만큼 벤치마킹사항 잘 적용하시길 응원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