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사이클러 입니다.
드디어 마의 3주차가 지나갔습니다...ㅋㅋㅋ
이번주는 바쁜스케줄을 병행하면서 약간 힘들었네요
이번 망구님의 강의는 D,E지역에 대한 지역 뿌시기 강의였습니다.
지투반 동료들중에 이번강의 지역으로 임장을 간 동료들이 있었는데
부럽더라구요! ㅋㅋ
얼른 C지역 임장을 끝내고 D,E지역으로 달려가고 싶었습니다 ㅋㅋ
#지역 해석
강의를 듣기 전엔
왜 두지역을 같이 알려주시는걸까?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제가 너무 좁은시야에서 지역을 해석하려한 것 같습니다.
망구님처럼 더 넓은 시각에서 지역의 연관성과 인구규모 등
공통적인 부분을 연결지어 지역 분석을 하려 노력해야겠습니다.
#입지분석 : 인구
저는 항상 입지분석을 할때 너무 직관적으로 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입지분석 요소들이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
투자자 관점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해석해야 하는지가 핵심인데,
임장보고서 페이지수를 늘리기만 급급했던 것 같아요.
특히, 인구파트에서 인구가 많으면 많을수록 좋은거지!
라고 단편적으로만 해석해왔는데,,,,
망구님의 강의를 듣고
인구가 비슷한 중소도시에서
인구가 좀 더 적긴하지만, 수요가 있는 인구의 질적인 측면이
더 좋은 지역이라는 해석을 할 수도 있구나를 배웠습니다.
그리고 "인구감소 = 집값하락" 이라는 연결성에 대한 오해가 풀렸는데요.
인구가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서
중소도시를 투자관점에서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도 배울 수 있었습니다.
BM. 중소도시 사이클을 이해하고, 선호하는 단지를 싼가격에 사는것에 집중하자
#리스크와 기대수익
아직 1호기가 없는 제겐 "리.스.크"라는 단어가 정말 무서운데요....
망구님의 강의로 리스크와 기대수익의 관계에 대해 깨달았습니다.
중소도시의 경우 개별적인 사이클을 가지고 따로따로 가격이 움직이고,
이러한 사이클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이 바로 공급물량 인데요.
따라서 투자적인 관점에서 공급물량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리스크 대비에 대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리스크와 기대수익 중 어느것이 내상황에 더 큰 비율을 차지할까 생각해보고
상황에 따라 용기를 낼지 vs 시세트래킹으로 기다릴지!
결정하는 연습을 충분히 해야겠습니다.
BM. 내 상황에 맞는 기대수익이 큰 투자 물건을 우선순위로 뽑기
#시세트래킹
망구님의 강의를 들은 지금...
앞으로 시세트래킹을 꼭 하도록 하겠습니다...ㅋㅋㅋ
나중에 하지뭐... 한번에 하지뭐,,,
하며 항상 미루기만 했는데,,,
망구님의 뼈때리는 말씀에 반성하게 됩니다..
앞으로는 시세트래킹을 통해
힘들게 시간과 돈을 들여만든 앞마당을
의미있는 앞마당으로 만들도록 해야겠습니다...
BM. 앞마당 시세트래킹 한달에 한번씩 꼭 하기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