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 제목 : 자본주의
저자 및 출판사 : EBS <자본주의> 제작팀, (주)가나문화콘텐츠
읽은 날짜 : 2025년 3월 8일~11일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금융지능 #소비마케팅 #복지자본주의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 10점 만점에 8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EBS <자본주의> 제작팀은 EBS다큐프라임 5부작 다큐에 이해를 돕기위한 디테일한 내용을 추가하여 책으로 엮어냈습니다. EBS <자본주의>는 자본주의의 기본 원리를 잘 그려냈다는 점에서 워낙 유명해서 많은 사람들이 유튜브로 접했을 것입니다.
2. 내용 및 줄거리
Part1
53p 은행 시스템에는 ‘이자’라는 것이 없기 때문에 중앙은행은 이 이자를 만들기 위해서 끊임없이 돈을 찍어낼 수 밖에 없다. => 돈의 양이 많아지지 않으면 우리가 살아가는 자본주의 사회는 제대로 굴러갈 수 없다
61p 인플레이션 후에 디플레이션이 오는 것은 숙명과도 같은 일이다. 왜냐하면 이제껏 누렸던 호황이라는 것이 진정한 돈이 아닌 빚으로 쌓아올린 것이기 때문이다.
65p 그렇다면 누가 파산하게 될까. 당연히 수입이 적고 빚은 많은 사람들, 경제 사정에 어두운 사람들, 사회의 가장 약자들이 파산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쟁’이라는 것이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시스템에는 없는 ‘이자’가 실제로는 존재하는 한, 우리는 다른이의 돈을 뺏기 위해 끊임없이 경쟁해야만 한다. 저마다 살아남기 위해 필사적으로 싸운다. 바로 이것이 우리가 매일 ‘돈, 돈, 돈’하며 살아가는 이유이기도 하다.
Part2
101p ‘금융자본주의’라는 말은 노동력을 중심으로 하던 자본주의에서 금융을 중심으로 하는 자본주의로 전환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근로자들이 회사에서 일을 하고, 일하면서 만들어내는 상품과 서비스가 부의 근원이 되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지 실제 노동력이 돈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닌 ‘돈이 돈을 만드는 사회’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183p 하지만 투자자라는 개념과는 다르게 ‘금융소비자’라는 개념을 사용한다면, 일반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처럼 상품에 문제가 있을 때 보호를 받을 수 있는 대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Part3
203p 성인이 된 우리의 소비 습관과 성향은 이미 수십 년간 진행된 ‘키즈 마케팅’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중략) 그리고 부모는 상당수가 아이들의 영향에 의해 소비하고 있다는 것은 자본주의 세상에서 살고 있는 우리가 의식하지 못했던 놀라운 비밀 중에 하나이다.
217p 자본주의는 소비를 완전히 다른 차원으로 이동시켰다. 과거에 소비라는 것은 그저 ‘필요’를 만족시켜 주는 것이었다. (중략) 잉여 생산물들이 많아지고 그것이 회전되지 않으면 자본주의에는 시스템적인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것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바로 소비를 권장하는 것, 또는 강요하는 것이다.
271p 물질에 대해서 돈을 쓰는 소비보다는 내 삶을 풍요롭게 하는 어떤 삶의 경험에 투자하는 쪽이 훨씬 더 오래 기억되고 또 그 만족감과 행복감도 오래 지속됩니다.=> 275p 내 안의 감정을 관찰하고 사람들과의 관계 개선에서 스스로의 자존감 회복하는 과정, 그 속에서 진정한 행복 찾기!
Part5
아무리 부자라도 하루에 열끼를 먹지는 않는다. => 과소소비설
372p 경제발전을 위해서는 공급이 늘어나는 데에 따라 수요가 늘어나야 된다. 그런데 만약 경제성장의 결과가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골고루 분배되지 않으면, 생산의 증가를 따라갈 수 있는 소비의 증가가 수반되지 않는다. 그렇게 되면 과잉생산이 발생하여 공황이 일어나게 된다. 한마디로 공황은 ‘분배의 불균형’에서 발생한다는 것이다. 역으로 말하면, 경제성장은 제대로 된 분배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투자를 하는 사람들의 범위가 넓어지는 것에 비해 상품은 점점 더 그 성격을 파악하기 어려워집니다. 책에서는 ‘금융소비자’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이들을 보호의 대상으로 봐야한다고 말합니다. => 투자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점에서 투자 공부를 더 열심히 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월부라는 공간도 복지자본주의의 장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지식과 경험을 나눠 시장 참여자를 늘리고 그로써 더욱 건강한 부동산 투자 시장이 형성되는 것 같습니다. => 월부가 만들어준 환경에 충실히 임하며 더 열심히 공부하기!
댓글
경제성장은 제대로 된 분배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 라는 부분이 매우 인상 깊네요! 나메리님, 꾸준히 쭉쭉 읽어나가고 계시군요! 멋집니당. 독서후기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