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안녕하세요.
똑똑하게 투자하는 우리. 똑구리 입니다.
권유디강사님의 2강을 통해 저가치와 저평가에 대해 이해하고
투자자의 관점으로 조금은 아파트를 바라 볼 수 있었던 시간이였습니다.
그리고 공급이 무엇인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확실히 이해 할 수 있었습니다.
느낀 점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흔들이는 서울 시장 상급지들이 다 올라가는 상황인것 같아 너무 기운이 빠졌다.
반대로 입지가 좋은 구축들은 올라 갔나? 4급지는 어떻게 된걸까? 라고 사고를 확장 시켜 봐야 한다.
→ 내가 투자 할 수 있는 단지에 집중하고 최선의 투자 해야한다.
서울/경기 하급지 구축이고 너무 구석지에 있는데 전세가가 올라갈까?
→ 오르네? 왜!? 아파트니깐, 아파트라는 이유 하나 만으로 실거주자에게는 빌라보다 선호도가 있구나
→ 저가치가 있는게 아니라 우선순위가 다른거다.
→ 투자자의 시선 좋다/싫다가 아니라 더 좋다/덜 좋다 로 봐야 한다.
→ 약점을 약점으로 봐야지 ‘안 좋다/투자하면 안된다’ 라는 생각을 하면 안된다.
→ 수도권 투자는 투자 우선순위만 있을뿐
잃지 않는 투자란, 싼 부동산을 사두고 보유 하는것.
지역 분석
→ 역세권이라고 다 좋은게 아니다 지하철 노선의 종류를 확인하고 어디로 갈 수 있는지 연결해보자.
→ 생활권 별 갖고 있는 선호요소에 대해 정리하기
역근처에 있는 지역, 평지로 되어 있는 지욕, 트리플역세권의 뉴타운, 언덕에 있는 지역
뉴타운이지만 연식으로 인해 가치를 잃고 있는 뉴타운
인 구
서울은 하나의 권역으로 묶여 있기 때문에 인구수로 지역을 구분하는것은 큰 의미가 없음
연령별 인구 특징은 지역의 느낌 정도로 생각하고 투자에 연결 안될 수도 있음
인구이동은 인접지역 공급시 영향을 예상 할 수 있다.
직 장
종사자수와 연봉을 통해 서울에서 직장 위상이 어느정도 인지를 확인
돈을 많이 번다고 부자일지, 종사자수와 지역의 수요 연결, 부자들이 많은 곳의 이유 확인
지역내 큰 일자리가 있는 곳과 그곳의 위상에 대해서도 확인하면 좋다.
학 군 지
서울대 진학률이 높은 일반고가 어디에 몰려 있는지가 중요함
수능 개편안에 따라 공부 잘하는 학생들이 모이는(서울대 많이 가는 고등학교)로
진학 할 수 있는 공부 잘하는 중학교가 있는 지역에 선호가 높음
상 권
주요 상권이 어디 있는지와 함께 거주 환경으로써 좋은곳이 어디인지 확인 필요
공 급
수도권은 하나의 권역으로 봐야 하기 때문에 지역간 이동이 가능함
그러기 때문에 지역내 공급 물량만 보지 말고 수도권 전체의 공급물량을 봐야 함.
공급물량보다는 심리가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비중이 큼
공급때문에 투자를 안하는 것보다는 투자기준에 들어오는 단지가 있다면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투자는 대응의 문제지 예상대로 흘러가지는 않는다.
적용할 점
직장, 학군, 환경 등 수요와 연결시켜야 한다.
→ 지역 내에서 다른 구의 외부 수요를 끌어들일 수 있는지가 중
→ 지역의 직장의 위상과 함께 지역내 큰 일자리가 있는 곳과 그곳의 위상에 대해서도 확인
→ 학군지가 정해져 있다면 지역 내에서는 학업성취률와 초등학교 입학 학생수 확인
→ 지역내 주요 선호요소별 우선순위를 정리하여 그 안에서 투자금 범위 내에서 찾음
→ 공급에 대해 조사시 평균회귀(물가)와 상승장 여부(심리), 공급물량 이 3가지를 확인
부동산 투자는 돈을 버는게 아니라 자산을 쌓아 간다는 관점에서 봐야 한다.
내가 놓친 단지에 대해 오른 가격에 대해 아쉬워 하는게 아니라 자산을 쌓지 못한 것을 아쉬워 해야 한다.
댓글
똑구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