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강의 후기 [제목]은 가장 인상 깊었던 내용으로 표현해보세요!
50대 후반이 되도록, 늘 생각만 많고, 행동하지 않는 저를 위한 따끔한 강의
이과생인 저에게 딱 맞는 원리원칙 “저.환.수.원.리”
나도 할수있을까..? 할수있겠지.? 나도 할!수!이!따!!! “저.환.수.원.리” 원칙만 지키자!!
모든 걸 동시에 잘 할 수 없다. 목표를 뾰족하게 선택과 집중. 포기할 건 포기하자!
안전지대에서 성장지대로 나아가려면 공포지대를 통과해야만 한다. 가즈아~~!
중요하지 않고 시급하지도 않은 문제는 하지 않기! 제발!!
어제보다 하나라도 나아진 나 자신을 칭찬하자! 자책하지 말고!!
1강 3일만에 완강 => 2강 2일만에 완강. Wow~~ 칭찬해 나자신!!
가장 큰 반대는 “나자신” 과거에 대한 후회는 버려! 현재를 잘살도록 바꾸자!!
강의중 통계자료들이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의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에 다 있었네.. 헐..지금이라도 안게 어디야!!
통화량 물가 변화는 10년에 2배 증가 => 전세가도 유사하다 => 자본을 가지자!!
부동산 투자 기준
1) 전세가 변동률
10년 중 보통 상승 5년, 보합 3년, 하락 2년 => 역전세 잠이 안온다. 전세는 절대 많이 올리지 마라!
2) 수요와 공급
입주물량 많으면 역전세 가능성 있으므로, 2,3년 후까지 주변 입주물량 확인하기 ("부동산지인")
적정공급량 = 인구수 * 0.5%
========================================================================
9. 너바나 투자원칙 “저.환.수.원.리”
1) 저평가여부 (가치 > 가격) : 수요 많고, 입지독점성 있는 곳. 비교투자, 앞마당을 넓혀가라.
무릎(허리) 이하에서 사야한다.
2) 환금성 : 아파트! (단, 나홀로 / 3층이하/ 세대수 적은 아파트는 환금성 낮다)
3) 수익률
수익률 = 수익금 / 투자금(매매가-전세가)
72의 법칙 (원금이 2배가 되는 기간) = 72 / 수익률 : 수익률이 정말 중요!!
적정목표 수익률 : 투자 1년차인 나는 “잃지 않는 것”!!! / ~10년차 : 연 10% / 10년차~ : 연 20%
4) 원금보전
최악의 손실 대비 : 그래도 전세가율 (서울 50~70%) 이하로 떨어지지는 않는다.
가치 있는 부동산(전고점 대비 20% 이하 하락수 했으면 존버하자!!
5) 리스크관리
가장 큰 Risk “역전세” => 전세보증금 10%는 현금 보유, 전세가 인상은 5% 이내로!!
나의 가장 큰 Risk “무지!!” => 열심히 공부하고 과제 잘하자!!
========================================================================
10. 부동산 전망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맞아도 우연일 뿐이다. 그냥 파도를 수영하는 것
1) 상승할 때 시나리오 : 내가 수익을 얻으려면.. 부동산이 있어야 한다
2) 하락할 때 시나리오 : 단도 투자!! 를 하자 (떨어질때 조금 떨어지고 오를 때 많이 오르는 투자)
3) 투자자 단계
나의 상태 파악 : (현재) 3 우량주 투자(똘똘한 한채) => (앞으로) 5. 가치투자 (성장가치투자)
11. 언제 투자할까?
원금보존 확신만 있다면 많은 경험 (매수/ 매도) 하라.
누군가는 주저할 때, 누군가는 도전한다.
“Not 완벽주의 But 완료주의”
12. 부동산 세금
1) 종합부동산세
: 人별, 부부사이 별도, 법인 대신 차라리 가족 명의를 이용하자. (명의분산 40억 이하)
2) 취득세
: 조정대상지역 2주택 8% / 비조정대상지역 2주택까지는 동일
3) 양도소득세
: 조정대상지역 2주택 2년이상 보유 : 기본세율+20% / 비조정대상지역 : 기본세율
* 조정대상지역 (서초, 강남, 송파, 용산)
연봉 1억 이상 직장인도 세금 40%를 낸다.
나의 무지에 의한 막연한 세금 두려움 => "부자는 세금이라는 대가를 반드시 치뤄야 한다."
씨앗을 뿌리지 않으면 열매도 없다. No Pain No Gain
“비용을 치르고 편익을 택한다. 공짜는 없다. 세금을 두려워하지 말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