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반 기초 수강듣는 초보자 입니다.
저평가와 환금성 기준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저평가를 따지는 기준이 전세가율 말고 다른 기준이 있는지 궁금하고,
환금성이란 내 투자금 환금 기능여부를 따지는 것인지 궁금하고 환금성 따지는 기준 떠한 궁금합니다.
많은 고견 부탁 드립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댓글
안녕하세요 건강한마음1님 ~^^ 열반기초 수강 중 저평가와 환금성 기준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아요! 문의주신 내용이 2주차 강의의 2강 '200억 부자의 투자 원칙 (너바나 레시피)'에 나오는데요~~ 교재는 47-50p 와 함께 복습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 지금 복습 가능하시니 한번 더 살펴보시고 이해 안 되시는 부분 아래 추가로 질문해주셔요 💛 그럼 화이팅입니다!!!
건강한 마음님 열반기초반 수강중이시군요 : ) 저평가는 가치대비 가격이 싼지를 보는 것으로 1. 가치가 비슷한데 가격이 싸거나 2. 가격이 같은데 더 가치가 있는 경우를 저평가라고 합니다. 이는 단지의 가치(직장,교통,학군,환경)와 가격을 비교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습니다. 반면 환금성은 내가 매도하고 싶을 때 이 집이 매도가 되는지를 의미합니다. 환금성이 좋은 아파트의 특징은 1. 저층(1-3층)이거나 탑층이 아닐 것 2.세대수가 300세대 이상일 것 등의 특징이 있습니다. 해당 내용 참고하여 강의 내용 다시 한 번 수강해보시면 좋겠습니다. 강의 화이팅입니다!
건강한 마음님 안녕하세요. 저평가를 따지는 기준은 두가지로 나뉘는데요 상대적 저평가와 절대적 저평가의 개념입니다. 절대적 저평가는 그냥 누가봐도 싼 시점이며 이럴때 대체로 매매가 치고올라가지못해 전세가율이 높게 나타납니다. 여기에 더해 상대적저평가의 경우에는 두개의 단지를 놓고 비교해보면서 어떤 단지가 더 싼지 놓고 비교해보는 과정을 통해 저평가된 부분을 고려해보는 것입니다. 환금성의 경우는 매도를 하게되면 매도가 잘되는 여부를 볼수있으며 미요미우님께서 설명해주신대로, 저층 제외(1~3층), 탑층/ 세대수 300세대이상을 대표적으로 고민해볼 수있습니다. 응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