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나눔방

아파트공급 적정수요량기준 인구수x0.5% 믿어도 되나요? - 네, 근거자료를 알려 드립니다 (아파트지인의 인구 대비 아파트 적정 수요량 0.5% 근거에 대한 연구 보고서)

  • 25.03.21

안녕하세요.

인연의 블랙홀 사상지평입니다.

열기 85,86기 놀이터에서 월부에서 사용하고 있는 적정수요량 인구수 x 0.5% 에 대해 질문이 있었습니다.

저도 그냥 아파트지인에서 인구수x0.5% 를 사용하고 있기에 무심코 넘겼던 사항인데 놀이터 질문으로 근거 자료를 찾아 보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자료를 찾고 AI로 정리하여 보고서를 작성하였습니다.

월부는 근거없는 자료를 사용하지 않으니 걱정말고 0.5% rule을 사용하여 주세요

감사합니다.

 

아파트지인의 인구 대비 아파트 적정 수요량 0.5% 근거에 대한 연구 보고서

1. 서론

본 보고서는 아파트 정보 제공 웹사이트인 "아파트지인"에서 제시하는 인구수 대비 아파트 적정 수요량 0.5%의 근거를 분석하고 그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아파트지인"은 부동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그중 하나로 인구 규모에 따른 적절한 아파트 수요 비율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인구 대비 주택 수요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안정적인 주택 시장 환경을 조성하고 효율적인 주택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본 보고서는 "아파트지인"이 제시하는 0.5%라는 수치의 출처를 탐색하고, 국내외 연구 자료와 비교 분석하여 그 의미와 한계를 논의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쿼리에 대한 심층적인 답변을 제공하고, 주택 시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2. "아파트지인" 웹사이트의 정보 검토

2.1 웹사이트 접속 및 정보 확인

"아파트지인" 웹사이트(https://aptgin.com/)에 접속하여 관련 정보를 확인한 결과, 웹사이트는 지역별 아파트 시세, 수요/입주 현황, 거래량 등 다양한 부동산 빅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플랫폼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1. 웹사이트 메인 화면 및 여러 메뉴를 탐색한 결과, 인구수 대비 아파트 적정 수요량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2.2 0.5% 수요량 관련 내용 특정

웹사이트 내 "지인 빅데이터" 메뉴의 "수요/입주" 관련 페이지에서 인구 대비 아파트 적정 수요량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지역별 수요/입주 통계를 제공하는 부분에서 적정 수요량을 인구수의 일정 비율로 제시하고 있으며, 그 비율이 0.5%임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그래프나 지도 형태로 시각화되어 나타나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2.3 근거 자료 및 출처 확인

"아파트지인" 웹사이트에서 0.5%라는 수치의 근거 자료나 출처를 직접적으로 제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관련 페이지 및 FAQ, 공지사항 등을 검토하였으나, 웹사이트 자체적으로 0.5%라는 수치의 직접적인 근거를 찾기는 어려웠습니다. 이는 "아파트지인"이 해당 수치를 자체적인 분석 또는 외부 연구를 통해 도출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함을 의미합니다.

 

3. 국내 연구 자료 분석

3.1 "인구 대비 아파트 적정 수요" 키워드 검색 결과 분석

"인구 대비 아파트 적정 수요"라는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주택 시장 분석에서 인구 대비 일정 비율을 적정 수요량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3.

 

3.1.1 0.5% rule

다수의 블로그 게시글 및 부동산 관련 자료에서 '0.5% rule'이라는 개념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3. 이는 해당 지역 인구의 0.5%를 연간 적정 아파트 입주 물량으로 보는 경험적인 규칙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 인구를 1,000만 명으로 가정했을 때, 연간 적정 입주 물량은 5만 호(1,000만 * 0.005)로 계산됩니다 4. 이러한 0.5% rule은 아파트 입주 물량의 과부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되기도 하며, 공급량이 적정 수준보다 낮으면 가격 상승, 높으면 가격 하락의 요인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아파트지인"에서 제시하는 0.5%라는 수치가 이러한 업계에서 통용되는 경험적 규칙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아파트지인" 또한 이러한 일반적인 기준을 활용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 규칙의 정확한 기원이나 학문적인 근거는 명확히 제시되지 않고 있으며, 지역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존재합니다 4.

 

3.1.2 청울림 저서의 언급

블로그 게시글 3에서는 "아파트지인"의 적정 수요량 산출 기준이 인구수의 0.51%이며, 이는 청울림의 저서 "나는 오늘도 경제적 자유를 꿈꾼다"에도 소개되어 있다고 언급합니다. 해당 저서를 추가적으로 분석한 결과, 저자는 지역별 신규 주택 수요를 인구 대비 일정 비율로 추정하는 방식을 설명하며, 예시로 인구 250만 명인 대구의 경우 연간 약 2만 호(0.8%)의 새 집이 필요하다고 언급합니다 6. 이는 전국 평균 비율이 아닌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수요량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아파트지인"의 0.5%는 전국적인 평균 수요 비율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으며, 지역별로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청울림은 이 책에서 다양한 투자 경험과 시장 분석을 제시하며 부동산 투자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인물입니다 6. 그의 저서에서 인구 대비 수요 비율을 언급한 것은 이 개념이 실전 투자에서도 중요하게 고려되는 요소임을 보여줍니다.

 

3.1.3 투자 수요의 영향

일부 자료에서는 인구 기반의 수요 외에 투자 수요가 실제 아파트 수요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5. 0.5% rule은 실수요만을 고려한 단순화된 모델일 수 있으며, 최근 부동산 시장의 거래 형태를 보면 특정 지역, 특정 아파트에 대한 투자 수요로 인해 인구 기반 예측이 잘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5. 따라서 "아파트지인"의 0.5% 적정 수요량은 기본적인 실수요를 나타내는 지표일 수 있으며, 실제 시장 상황을 정확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투자 심리, 금리 변동, 정부 정책 등 다양한 비인구학적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3.2 "인구 대비 주택 수요" 키워드 검색 결과 검토

"인구 대비 주택 수요"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주택 전체에 대한 수요 연구에서도 인구 구조 변화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11.

 

3.2.1 가구 분화의 영향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1인 가구의 증가와 같은 가구 분화 현상은 주택 수요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12. 통계청의 장래가구추계에 따르면, 1인 가구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52년에는 총가구의 41.3%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16. 이는 전체 주택 수요량은 물론, 소형 주택에 대한 수요 증가를 야기할 수 있으며, 아파트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아파트지인"의 0.5%가 전체 주택 수요에 대한 일반적인 기준이라면, 아파트에만 특화된 적정 수요 비율은 1인 가구의 선호도, 아파트 공급 비중 등을 고려하여 다르게 산정될 수 있습니다.

 

3.2.2 국제 비교

주요 선진국들의 인구 1,000명당 주택 수를 비교해 보면, 미국, 영국, 일본 등은 420호를 상회하는 수준입니다 11. 이는 각 나라의 주거 문화, 경제 수준, 인구 밀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한국의 경우 주택 보급률은 100%를 넘는 수준이지만 19, 이는 가구 수 대비 주택 수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실제 거주 가능한 주택의 양이나 질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국제 비교를 통해 "아파트지인"의 0.5%가 한국의 특수한 상황을 반영하는 적절한 수치인지 간접적으로 평가해 볼 수 있습니다.

 

3.3 "주택 보급률 기준" 키워드 검색 결과 검토

주택 보급률은 주택 수를 가구 수로 나눈 값으로, 주택 재고가 거주 가구 수에 비해 얼마나 많은지 또는 적은지를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19. 2021년 기준 우리나라의 주택 보급률은 102.2%로 나타나 주택 수가 가구 수보다 많음을 의미하지만 19, 이는 1인 가구 증가, 빈집 포함 등의 문제로 인해 실제 주택 수요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20. 따라서 높은 주택 보급률에도 불구하고 특정 유형의 주택, 특히 신축 아파트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높을 수 있으며, "아파트지인"이 제시하는 0.5% 적정 수요량은 이러한 특정 수요를 반영하는 지표일 수 있습니다.

 

3.4 "아파트 수요 예측 모델" 키워드 검색 결과 검토

다양한 아파트 수요 예측 모델들이 존재하며, 이 중 일부는 인구를 주요 변수로 활용합니다 5. "아파트지인"의 블로그 게시글 30 및 관련 정보 31에 따르면, "아파트지인"은 신규 아파트 수요량을 산정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에서 10년 단위로 발표하는 "장기주택종합계획" 자료를 활용합니다. 이 자료는 권역별 및 공동주택 단위로 정보를 제공하며, "아파트지인"은 이를 행정구역별 및 주택 유형별로 세분화하여 동 단위의 아파트 수요량을 산출합니다. 또한, 계획인구와 현재 인구 현황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산정된 아파트 수요량을 계획인구 대비 비율을 이용하여 조정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2018년 기준으로 이 비율은 0.5139921%이며, "아파트지인"은 이를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0.5%로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아파트지인"이 단순한 경험적 규칙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의 공식 통계를 기반으로 자체적인 분석을 통해 도출한 비율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4. 0.5% 적정 수요량의 근거 및 타당성 평가

4.1 "아파트지인" 제시 근거 검토

"아파트지인"은 신규 아파트 수요량을 산정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의 "장기주택종합계획" 데이터를 활용하고, 이를 행정구역 및 주택 유형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합니다 30. 핵심적인 단계는 계획인구 대비 아파트 수요량 비율을 산정하고, 이를 현재 인구 현황에 적용하여 실제 수요량을 추정하는 것입니다. 2018년 기준으로 산출된 비율은 0.5139921%이며, 이는 당시의 인구 구조, 주택 보급률, 가구 구성 등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결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아파트지인"이 특정 시점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율을 산정한 것은 현재 시점의 시장 상황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인구 및 가구 구조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므로, 과거의 비율이 현재에도 그대로 유효할지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합니다.

 

4.2 국내 연구와의 비교

"아파트지인"이 제시하는 0.5% (정확히는 0.5139921%) 수치는 국내 주택 시장 분석에서 언급되는 0.5% rule과 유사한 맥락을 가집니다 3. 청울림의 저서에서도 인구 대비 주택 수요를 언급하며, 대구의 경우 0.8%라는 비율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6. 이는 지역별 수요 편차가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아파트지인"의 방법론이 국토교통부의 공식 자료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경험적 규칙보다는 더 구체적인 근거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블로그 게시글 3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 수치가 한국주택연구원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은 해당 비율이 학술적인 근거를 가질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그러나 한국주택연구원의 구체적인 연구 내용과 "아파트지인"의 수치가 정확히 일치하는지, 어떤 차이가 있는지는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합니다.

 

4.3 타당성 평가

"아파트지인"의 0.5% 적정 수요량은 국토교통부의 공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되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의 타당성을 갖습니다. 특히, 계획인구와 현재 인구 현황의 차이를 보정하려는 노력은 수요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합리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그러나 1인 가구 증가와 같은 인구 구조 변화 13, 지역별 특성에 따른 수요 편차 가능성 4, 그리고 투자 수요의 영향 5 등 다양한 요인들이 실제 아파트 수요에 영향을 미치므로, 0.5%라는 단일 비율만으로 모든 시장 상황을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지인"의 분석 사례 32에서 서울의 적정 수요량과 실제 공급량 간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처럼, 인구 기반 수요 예측 모델은 시장의 기본적인 수급 상황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지만,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다양한 시장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5. 결론

본 보고서는 "아파트지인" 웹사이트에서 제시하는 인구수 대비 아파트 적정 수요량 0.5%의 근거를 연구하고 그 타당성을 평가했습니다. 연구 결과, "아파트지인"은 국토교통부의 "장기주택종합계획" 데이터를 기반으로 2018년 기준 0.5139921%라는 구체적인 비율을 산출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반올림하여 0.5%로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수치는 주택 시장 분석에서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0.5% rule과 유사한 맥락을 가지며, 정부의 공식 통계를 활용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인구 구조 변화, 가구 분화, 투자 수요 등 다양한 요인들이 실제 아파트 수요에 영향을 미치므로, 0.5%라는 단일 비율만으로 모든 시장 상황을 정확하게 예측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특히, 1인 가구의 지속적인 증가 추세는 소형 주택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고, 이는 중대형 아파트 위주의 수요 예측 모델의 정확도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또한, 지역별 인구 특성 및 경제 상황에 따라 적정 수요량은 차이를 보일 수 있으며, 투자 목적의 수요는 인구 기반의 예측 모델에 반영하기 어려운 변수입니다.

 

결론적으로, "아파트지인"이 제시하는 0.5% 아파트 적정 수요량은 기본적인 시장 수요를 파악하는 데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지만, 실제 시장 분석 및 투자 결정 시에는 다양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향후 아파트 수요 예측 모델은 인구 통계뿐만 아니라 경제 상황, 정부 정책, 투자 심리 등 복합적인 요인들을 더욱 정교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발전해야 할 것입니다.

 

Key Tables:

Table 1: "아파트지인"의 아파트 수요량 산정 방식 요약

단계내용데이터/비율
1국토교통부 "장기주택종합계획" 자료 활용권역별, 공동주택 단위 정보
2행정구역별 (동 단위), 주택 유형별 (아파트, 기숙사 등) 세분화상세 지역별, 유형별 수요량 산출
3계획인구 대비 아파트 수요량 비율 산정2018년 기준 0.5139921%
4산정된 비율을 현재 인구 현황에 적용하여 실제 수요량 추정-

 

Table 2: 국내 연구에서 언급된 인구 대비 주택/아파트 수요 비율 비교

출처언급된 비율관련 맥락
아파트지인 웹사이트0.5%인구 대비 아파트 적정 수요
청울림 "나는 오늘도 경제적 자유를 꿈꾼다"0.8%대구 신규 주택 수요
블로그 30.51%전국 아파트 적정 수요 (2018년 기준)
블로그 40.5%일반적인 적정 입주 물량 규칙

참고 자료

  1. 부동산지인,   https://aptgin.com/
  2. https://aptgin.com/compt/xbbs/BbsView.do?bbs_id=nt_bbs_manual&ntc_id=3052
  3. 부동산 지인 사용법#1 입주물량, 적정수요를 조회해보자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dongingg/221331650801
  4. 아파트 적정 입주 물량이란? x 0.5% rule x 서울의 입주가 적다.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bluefire3535/221982113525
  5. [부동산 공부방법] 수요예측 5가지 (feat.공급)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willee07/221982595986
  6. 나는 오늘도 경제적 자유를 꿈꾼다 | 청울림(유대열) - 국내도서 -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0478869
  7. 나는 오늘도 경제적 자유를 꿈꾼다 - 예스24,   https://m.yes24.com/goods/detail/62161493
  8. 나는 오늘도 경제적 자유를 꿈꾼다 - 청울림 - 브런치스토리,   https://brunch.co.kr/@@4gFr/193
  9. 나는 오늘도 경제적 자유를 꿈꾼다 by 청울림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anita731/221347524549
  10. 청울림의 '나는 오늘도 경제적 자유를 꿈꾼다' - YouTube,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kEu0BF6nDilaHzW4C54_7j-VopWABCG2
  11. 인구 1000명당 주택수 - 지표누리,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56
  12. 인구 줄어도 1인 가구 폭증… 서울 살 집이 부족하다 -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economy/real_estate/2024/01/24/6EW4ZWI65JEI7J3YHFYFVSDHUE/
  13. 인구구성 및 가구특성변화에 따른 주택수요추정*1),   https://kars.or.kr/homepage/boardMedia/34740
  14. 인구 및 가구구조 변화에 따른 주택수요추정에 관한 연구*,   http://www.reacademy.org/rboard/data/krea2_new/69_11.pdf
  15. 인구가 줄어드는데 주택 수요는 증가하는 간단한 이유[BOOK] -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23166
  16. 인구-주택-도시 변화를 고려한 주택시장 구조변화 장기 전망 연구 - 한국부동산마케팅협회,   http://krepa.or.kr/webadmin/down5.php?dates=datas&no=367&types=1
  17. Korea Planning Association,   https://www.kpaj.or.kr/_common/do.php?a=full&b=&bidx=2864&aidx=32305
  18. 연령별 인구수에 주택규모가 미치는 영향의 수도권 내 지역 간 차이,   https://www.ejrea.org/archive/view_article?doi=10.30902/jrea.2024.10.2.57
  19. www.ifs.or.kr,   https://www.ifs.or.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53199#:~:text=%EC%A3%BC%ED%83%9D%EA%B3%B5%EA%B8%89%EC%9D%84%20%EC%96%98%EA%B8%B0%ED%95%A0,%EC%A3%BC%ED%83%9D%EB%B3%B4%EA%B8%89%EB%A5%A0%EC%9D%80%20102.2%25%EB%8B%A4.
  20. 주택보급률의 허와 실 > News Insight | (사)국가미래연구원,   https://www.ifs.or.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53199
  21. 주택보급률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A3%BC%ED%83%9D%EB%B3%B4%EA%B8%89%EB%A5%A0
  22. 우리나라 주택 수의 비밀 : 네이버 포스트 - post.naver,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5456494&memberNo=2120568
  23. [서경규 교수의 부동산 에세이] 주택보급률의 이해 - 영남일보,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41008010000889
  24. [부동산돋보기] 주택보급률 100%의 함정,   https://www.karnews.or.kr/news/articleView.html?idxno=14847
  25. [논문리뷰] 딥러닝과 머신러닝을 이용한 아파트 실거래가 예측 - 나의 이야기 - 티스토리,   https://mystory-jsh.tistory.com/23
  26.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주택가격지수 예측 - Korea Science,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2113855736415.pdf
  27. 기계학습을 이용한 아파트 매매가격 예측 연구 - AWS,   https://manuscriptlink-society-file.s3-ap-northeast-1.amazonaws.com/kips/conference/2020fall/presentation/KIPS_C2020B0235.pdf
  28. 딥러닝을 활용한 아파트 매매가 예측 모델 설계,   http://ecefair.ajou.ac.kr/upload/work/sh_20201222158388d.pdf
  29. 주택수요 분석을 위한 MW모형의 재고찰: 주택면적과 주거소비 비교를 중심으로,   http://www.kreaa.or.kr/data/vol26-1/26_01_05.pdf
  30. 신규 아파트 수요량 산정 방법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aptgin/221363579095?viewType=pc
  31. [부동산지인 파헤치기 ⑥] 데이터 산정 기준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ssss6424/221819306668
  32. 내년 서울 아파트 공급, 1만5000여가구 부족 - 연방타임즈,   https://www.yonbang.net/news/article.html?no=194323

댓글


나꿈나🦋user-level-chip
25. 03. 21. 23:16

지평님 쵝오~~~!

젤콩user-level-chip
25. 03. 22. 01:30

논문쓰셨네요 👏🏻👏🏻👏🏻

정리왕user-level-chip
25. 03. 27. 22:45

와 조장님,,조장님의 글은 논문이네요. 참고자료까지 완벽 하십니다. 저는 결론이 참 좋네요!! 역시 인사이트 가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