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긴 시간 강의해주신 양파링님께 감사의 말씀 전합니다. ^^
서울과 경기 수도권 비교평가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해주셔서 개념이 잡히게 되었습니다.
1단계 가치(입지가치, 상품가치, 선호도)
2단계 가격(저평가 여부, 투자금)
3단계 리스크(전세 세팅, 공급물량)
땅의 가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좋은 상품성(연식, 단지규모, 구조, 브랜드 등)이 필요하고
그 상품성은 시간이 지나면서 그 가치가 줄어들기에 결국 땅의 가치로 귀결된다는 것.
강남과 멀어질수록 장거리 출퇴근을 감수할 만큼의 만족요인이 있어야 수요를 끌어들인다는 것
다시 한번 통감하게 되었습니다.
현장의 가격은 네이버 시세(호가)와 같지 않다는 것 유념하겠습니다.
그리고 서울 수도권 투자 시 부대비용에 대해서 다시 한번 언급해주셔서 좋았습니다.
7억 집을 산다면 전세 못 뺐을 때 7억 2000만원 정도는 있어야 한다는 것. (수리비는 +@)
그리고 내 잔금 여력이 7억이라고 해서
7억 아파트만 볼 게 아니라 가격이 더 높은 단지도 봐야 한다는 것도 유념하겠습니다.
그리고 갈아타기에 대한 부분도 인상 깊었습니다.
저평가된 서울 구축을 잘 찾아보겠습니다.
그리고 수지, 평촌, 광명 이 세 곳을 앞마당으로 만든다면
구축아파트의 위상 비교(상승장 최고가)를 꼭 해보고 싶습니다.
그리고 용인 수지구에 대해 관심이 많았으나
선뜻 첫번째 앞마당으로 하기엔 조금 부담스러웠는데
관심 있던 수지구에 대해 알려주시니 좋았습니다.
수지구가 왜 수요가 많은지 알게 되었습니다. (너무 좋은 교통과 학군)
그리고 입주장이 주는 기회에 대해서 인사이트를 얻었습니다.
입주 직전~초반에 던지는 매물, 리스크 피하기,
세금 혜택을 위해 팔고자 하는 2년차 단지 매물에 대해서도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댓글
내일의서경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