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금요일엔 시세에 진심을 담고 싶은
진심을담아서 입니다 :)
벚꽃이 피는 시기가 왔습니다!
지난 주 꽃망울이 보였는데,
조금씩 개화하고 있더라구요 :)
다소 어수선한 상황이지만
봄날씨도 느끼시며
행복한 하루 보내시면 좋겠습니다 :)
현재 시점 기준으로 지난 주 대비
증감률의 방향은 보합하는 추세로 나타났습니다.
전국적으로 매매/전세 증감률은
보합~소폭 상승하는 흐름으로
좋은 지역은 여전히 뜨거운 반면
주목을 받지 못하는 지역은 조용합니다.
4월 1주차 주택시장동향 조사결과입니다.
2025년의 13번째 KB시계열 자료입니다.
#KB시계열 #주간주택시장동향 #KB부동산 #KB통계
3월 랜드마크 시세 확인하기
(4월 랜드마크 시세는
빠르게 정리해서 공유드리겠습니다!)
서울의 매매가 상승률은 0.17%
경기도는 -0.01%로
서울은 여전히 상승, 경기도는 하락이지만
서울 매매 증감률은 조금 떨어졌고,
경기 매매 증감률은 소폭 상승
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인천 매매가 증감률은 0.00%로 보합했고
지난주에 비해서는 상승한 수치입니다.
5개 광역시에서는 부산 -0.07%, 대구 -0.04%,
대전 -0.08%, 울산 0.03%, 광주 -0.05% 로
울산을 제외한 대부분 광역시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서울은 통계 상으로는 상승하는 흐름이,
그 외 지역은 보합 내지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전국 평균 매매 증감은 0.00%로
지난 주에 비해 증감률은 떨어졌고,
가격 흐름은 보합을 나타냈습니다.
서울의 전세가 증감률은 0.07%로
지난주 대비 증감률은 증가세인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경기도는 0.02%로 상승흐름이고,
지난 주 대비 증감률은 상승했습니다.
인천의 전세가 흐름은 지난주와 비슷하였고
0.01% 정도의 소폭 상승을 보여줬습니다.
5개 광역시 전세는 부산 0.03%, 대구 -0.04%,
대전 -0.07%, 울산 0.10% , 광주 0.02%로
지난 주 이어 매매가에 비해서
안정적인 흐름을 보여줍니다.
전국적으로 전세증감은 0.01%로
지난 주와 비슷한 상승 흐름이며
지난주에 비해서 증감률은 보합했습니다.
(*KB부동산 주간 KB주택가격동향
(25.04.04)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이번주 전국의
매매 상승지역은
서울 강남구 0.58%
용산구 0.37%
서초구 0.34%
성동구 0.28%
종로구 0.26%
양천구 0.25%
광진구 0.24%
영등포구 0.22%
동작구 0.21%
과천 0.58%
매매 하락지역은
양주 -0.14%
평택 -0.13%
이천 -0.12%
고양 일산서구 -0.12%
부산 금정구 -0.26%
부산 해운대구 -0.17%
대전 동구 -0.31%
구미 -0.15%
김해 -0.15%
양주 -0.14%
제주/서귀포 -0.12%
입니다
최근 통계에 이어서 수도권 최상급지
지역들은 엄청난 상승하는 흐름이며
지방에서는 하락하는 흐름을 보여줬습니다.
특히 강남 용산 서초 등
내노라하는 입지를 보여주는 곳은
여전히 0.30% 이상의
폭등을 보여주었습니다.
강남 3구를 따라가는 위상을 가진
성동, 종로, 양천, 광진 등의 상승률도
0.20%을 상회하였습니다.
반면에 같은 수도권이더라도
외곽에 자리한 양주, 평택,이천 등에서는
이번주에도 하락을 보여줬고,
대구, 대전, 구미, 김해 등
광역시 및 중소도시 중에서도
규모가 꽤 큰 도시들이 하락했습니다.
상승하는 지역은 꾸준히 상승을,
그러지 않은 지역은 꾸준한 하락을
보여주고 있는 게 최근의 시장 모습입니다.
이번주 전국의
전세 상승지역은
서울 중구 0.24%
종로구 0.21%
강동구 0.17%
구리 0.21%
과천 0.17%
오산 0.14%
부산 남구 0.19%
울산 동구 0.15%
청주 흥덕구 0.20%
제천 0.18%
전세 하락지역은
광명 -0.13%
이천 -0.10%
부산 영도구 -0.11%
대구 서구 -0.12%
대전 동구 -0.22%
대전 중구 -0.13%
당진 -0.15%
창원 마산회원구 -0.12%
김해 -0.11%
천안 서북구 -0.11%
입니다
전세 증감은 최근 경기도에서만
상승하는 흐름이 있었는데,
지난주에 이어 서울에서도
몇몇 지역이 눈에 띄는 상승흐름을
보여주었습니다.
서울 중구, 종로구 등에서도 상승이 있었고
또한 구리, 과천의 큰 상승이 눈에 띕니다.
광명, 이천 등 외곽지역과
대전, 천안 등 입주 영향이 있는
지역도 하락했습니다.
매매 상승지역
서울 강남구 0.58%
용산구 0.37%
서초구 0.34%
성동구 0.28%
종로구 0.26%
양천구 0.25%
광진구 0.24%
영등포구 0.22%
동작구 0.21%
매매 하락지역
금천구 -0.05%
서울 안에서도 선호도가 높은
상급지 지역들은 상승을 보여줬고
상대적으로 위치/입지가 아쉬운 지역은
하락 내지 보합을 보여줬습니다.
양극화가 눈에 띕니다.
또한 지난 기조와 마찬가지로
서울에서 평균 이상 지역 분위기와 다르게
그 이하의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매매 증감률 변동이 없었습니다.
상급지를 제외하고는
가격적인 측면에서 지역 전반에
덜 반영된 느낌입니다만,
보합추세에서 조그이라도
상승으로 전환된 게 요즘 분위기입니다.
전세 상승지역
서울 중구 0.24%
종로구 0.21%
강동구 0.17%
전세 하락지역은
구로구 -0.10%
성북구 -0.05%
동대문 -0.03%
지난 주에 최상급지 상승에 이어
이번주는 중구,종로 등
업무지구와 가까운 곳과
강동구의 상승이 눈에 띕니다.
공급이 있는 동대문/성북에서는
전세지수가 지속적으로 떨어지거나
구로 등은 광명 등의 영향으로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매매 상승지역은
과천 0.58%
성남시 분당구 0.17%
성남시 수정구 0.08%
매매 하락지역은
양주 -0.14%
평택 -0.13%
이천 -0.12%
고양 일산서구 -0.12%
이번 주의 수도권 수요는 지난주에 이어
서울이 모두 가져간 모습입니다.
뜨거웠던 서울 시장 대비
경기도는 꽤 잠잠한 모습입니다.
과천의 꾸준한 상승이 눈에 띄며
그외 분당, 수정구도 많이 상승했습니다.
그에 비해 평택,양주,이천 등
경기도 외곽지역의 하락은 여전합니다.
최근 비슷한 흐름으로
입지 좋은 곳은 상승했고,
수도권 외곽 쪽은 소폭이더라도
하락하는 흐름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전세 상승지역은
구리 0.21%
과천 0.17%
오산 0.14%
전세 하락지역은
광명 -0.13%
이천 -0.10%
횡보하는 흐름이 짙던
인천/경기의 매매 흐름 대비 전세의
소폭 상승의 흐름은 눈에 띕니다.
과천은 작년 말부터 올해 내내 꾸준히 오르며
구리는 이번 주도 전세가 오르는 모습입니다.
그 외 광명, 이천 등
공급 혹은 입지, 위치가 아쉬운 지역은
하락하는 흐름을 보여줬습니다.
부산 0.03%
대구 -0.04%
대전 -0.07%
울산 0.10%
광주 0.02%
전세가격은 매매가격보다 상대적으로
더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울산의 안정적인 전세흐름도 인상적입니다.
울산은 꾸준한 상승을 보여주고 있으며,
부산과 광주의 상승전환 후
2주 연속 상승도 눈에 띕니다.
지역마다 상황은 다를 지라도
전반적으로 투자하기 좋은 시기이며,
전세가 떨어지는 지역 대부분
매매가격이 많이 조정되었습니다.
투자자 관점에서 기회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입니다.
부산 0.03%
대구 -0.04%
대전 -0.07%
울산 0.10%
광주 0.02%
전세가격은 매매가격보다 상대적으로
더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울산의 안정적인 전세흐름도 인상적입니다.
울산은 꾸준한 상승을 보여주고 있으며,
부산과 광주의 상승전환 후
2주 연속 상승도 눈에 띕니다.
지역마다 상황은 다를 지라도
전반적으로 투자하기 좋은 시기이며,
전세가 떨어지는 지역 대부분
매매가격이 많이 조정되었습니다.
투자자 관점에서 기회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입니다.
창원 -0.02%
천안 -0.06%
아산 -0.05%
청주 -0.01%
전주 0.04%
포항 -0.07%
김해 -0.15%
구미 -0.15%
원주 -0.02%
춘천 0.01%
전주, 춘천의 매매 상승이 지속적으로
중소도시 중에서는 눈에 띄며
그 외 다른 지역은 크게 보합세를 보입니다.
잠잠하던 포항, 구미의 하락세도
이번주는 상대적으로 크게 떨어졌습니다.
가격 변동이 거의 없거나
조정되고 있는 중소도시는
다른 지역에 비해서 가격적인 메리트가
여전히 있을 수도 있겠습니다.
창원 -0.06%
천안 -0.07%
아산 -0.09%
청주 0.07%
전주 0.01%
포항 -0.03%
김해 -0.11%
구미 -0.09%
원주 -0.01%
춘천 0.02%
전세를 보면 김해, 구미를 제외하면
대부분 증감률이 0.00%에서 횡보를 보입니다.
전주가 꾸준히 상승하며,
청주와 춘천도 이번주 상승했습니다.
그외 대부분 중소도시의 전세가는
매매 하락 폭 대비 안정적입니다.
매매가 서울 0.17% ↓, 경기도 -0.01% ↑
전세가 서울 0.07% ↑, 경기도 0.02% ↑
서울 매매 상승 전세 상승,
경기 매매 하락 전세 상승
(서울 매매 증감률 감소세 / 전세 증감률 증가세
경기 매매 증감률 증가세 / 전세 증감률 증가세)
인천광역시 매매 0.00% ↓, 전세 0.01% -
인천 매매 보합 전세 상승
(인천 매매 증감률 감소세 / 전세 증감률 보합세)
광역시 평균 매매 -0.05%↓, 전세 0.00% -
광역시 매매 하락 전세 보합
(광역시 매매 증감률 감소세 / 전세 증감률 보합세)
광역시 외 기타지방 매매 -0.03% ↓, 전세 -0.02% ↓
기타지방 매매 하락 전세 하락
(기타지방 매매 증감률 감소세 / 전세 증감률 감소세)
(지난주 대비
하락률 낮아짐(가격상승) ↑
하락률 높아짐(가격하락) ↓)
감사합니다 :)
※KB 시계열 활용법, 읽는 방법 :
https://cafe.naver.com/wecando7/7787174
※KB 시계열 200% 활용법(투자적용) :
https://cafe.naver.com/wecando7/11116742
<KB 시세 업데이트 일정>
※ [KB리브온] 지역별 집값 상승률(매매/전세 시계열) : 매주 금요일 업데이트
※ 전국 랜드마크(대장) 아파트 순위 및 시세 : 매월 첫째 or 둘째 주 업데이트
※ 매달 평당가와 전세가율 거래량은 아래 자료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이번달도 감사드립니다 진담님!!😀❤️
이번주도 감사합니다 ❤
이번주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