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월 300만원 직장인이 서울 내집마련 하는 법
자음과모음, 너나위, 코크드림

3주차: 실행 – 계획을 실행하는 능력과 과정
📌 목적
✅ 집값과 시기
매수 기준은 시기보다 가격의 합리성(PIR, 전세가율)
✅ 인구 감소와 집값
✅ 시장 원인 3가지, 결과 1가지
심리/정책 ➡ 집값 등락
✅ 현황
✅ PIR (Price to Income Ratio)
✅ 전세가율
✅ 적절한 매수 시기 판단 기준
분류 | 전략 |
---|---|
수도권 서울 출퇴근권 | 무조건 매수 고려 |
광역시 신축 | 신중 매수, 낡은 집 피하기 |
지방 소도시 | 매수 지양 |
📌 자금 구성별 매수 전략
상황 | 종잣돈 | 월소득 | 대출 가능 | 예산 | 지역/매물 예시 |
1 | 1.3억 | 300 | 2억 | 3.3억 | 면목한신, 평촌한가람, 산본주공 등 |
2 | 2억 | 600 | 4억 | 6억 | 강동 길동우성 |
3 | 2.5억 | 700 | 5억 | 7.5억 | 관악 성현동아 / 안양신축 |
4 | 3억 | 700 이상 | 6억 | 9억 | 영등포 삼환아파트 |
5 | 7억 | 유주택자 | 6억 | 13억 | 삼성 래미안 (갈아타기) |
6 | 5천 | 300 이하 | 2억 미만 | 2억 | 갭투자형 징검다리 (아실 활용) |
✅ 단계별 접근
✅ 갈아타기 플랜
예시:
✅ 종잣돈 3억, 월 저축 1000만원 (2025년 12월 내집마련 예정, 이때까지 예상 종잣돈 3억, 이후 월저축 1천만원)
다짐
나는 서울 중하급지 내집마련을 통해 첫번째 징검다리를 놓는다. 7-10년 사이에 강남으로 최종목표를 이룬다!!!
1. 가격 조건
2. 입지 조건
3. 단지 규모 & 아파트 상태
4. 하락률
항목 | 내용 |
---|---|
매매가 | 8.2억 |
전세가 | 4.9억 (전세가율 59%) |
갭 | 3.3억 |
하락률 | -7% |
역세권 | 도보 가능 |
세대수 | 451세대 |
강남 | 45분 |
✔ 장점: 가격 안정적, 역세권, 적당한 하락률
✖ 단점: 준신축은 아님 (2013년식)
항목 | 내용 |
---|---|
매매가 | 8.8억 |
전세가 | 5.8억 (전세가율 66%) |
갭 | 3억 |
하락률 | 0 (조금 아쉽지만 안정적) |
역세권 | 도보 가능 (휘경동) |
출퇴근 | 강남 1시간 27분 / 회사 1시간 27분 |
세대수 | 299세대 |
기타 | 브랜드 아파트, 2021년식 준신축 |
✔ 장점: 신축, 역세권, 전세가율 높고 갭 적절
✖ 단점: 가격이 다소 높고, 하락률이 없음, 세대 300세대 미만
항목 | 내용 |
매매가 | 약 7.1억 |
전세가 | 약 4.1억 (전세가율 약 59%) |
갭 | 약 2.9억 |
하락률 | -16% 수준 |
역세권 | 외대앞역 도보 약 8분 |
세대수 | 1318세대 |
강남역 소요 시간 | 약 55분 |
→ 갈아타기 전 단계 혹은 실입주 + 전세 안정성 고려 시 유효한 선택지
전농우성 (7.3억, 전세 4.5억, 갭 2.8억, 하락률 -19%, 1,234세대)
✔ 장점: 갭 적정, 하락률 너무 매력적, 가격 부담 적음, 1차 실거주 또는 징검다리로 적합
✖ 단점: 역이 너무 멀다(도보로 불가)
✖ 단점: 역이 너무 멀다(도보로 불가)
(동대문구의 34개 아파트를 조사하고 작성함)
🔷 강의 후기
당장 12월에 전세 만기로, 내집 장만이 너무 간절하고, 아직까지는 꿈만 같지만 너나위님의 강의를 1강만 듣고도 여기까지 추론이 가능해졌다. 한달 후 나의모습, 실전반까지 강의를 수강후 꼭 내집 마련을 했으면 좋겠다. 준비된 자에게 기회가 온다는데, 12월의 나에게 금전운(목표한 3억 마련), 재물운(내 맘에 드는 내집마련)이 있기를 바란다.
댓글
JENNY9012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