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모헤입니다.
오늘은 마지막 4주차 강의 후기를 써보려고 합니다.
4주차는 제주바다님께서 지난 지역에 대해 복습해 주시고
D/E 지역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셨습니다.
그간 배운 내용들을 상기시킬 수 있는 시간이어서 좋았습니다.
특히 E지역은 제가 관심을 갖고 임장을 가고 있는 지역이어서
더욱 집중이 잘 되었으며 이해도도 높았던 것 같습니다.
배운 지역을 전체적으로 복습하는 시간에는 확실히 각 지역마다
주의 깊게 봐야 하는 요소들이 다르고 그 이유에 대해 파악을 해야만
실패하지 않는 투자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비슷한 인구 규모를 가진 지역이라도
어떤 지역은 학군 등의 이유로 분명한 입지가 존재하지만
다른 지역은 특별한 입지 요소가 없어 신축이면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이는 단순히 비슷한 규모의 지방이면 비슷한 경향을 보일 거라는
일반적인 생각을 깰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또한, 각 지역의 입주 물량과 어디에 입주 하는지 등의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투자 지역의 특성을 이해하고 면밀히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지방 투자는 전국에 앞마당을 많이 만들수록 유리하다고 합니다.
당연한 얘기겠지만 앞마당이 많아야 적절한 비교 평가가 가능하고
가치 대비 저평가 되어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역을 파악할 때
인접 지역과의 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옆 동네와 서로 수요를 주고 받는 동네인지
아니면 일방적으로 빼앗기는 동네 인지를
알아야 투자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공급!
언제 공급이 되는지 확인해야 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시점 앞뒤로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이해하고
어느 정도 버퍼를 두고 투자를 해야 한다는 말씀은
꼭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제가 임장 갔던 지역에 가장 좋은 생활권은
현재 가격이 많이 싸지 않다고 판단했는데
제주바다님께서도 비슷하게 언급해 주셔서
제 판단이 어느 정도 일리는 있다고 생각했으며
공부하고 있는 이 구는 투자할 만한 아파트가
많지는 않다 라고 생각했습니다.
B.M
입주 캘린더 작성하여 입주 시점 앞뒤로 여유를 두고 risk 파악하기
착공 물량 확인하기
시세트래킹 하기
마지막까지 열정적으로 강의해주신 강사님들
열심히 조를 이끌어 주신 조장님
각자의 생업에 충실하며 남는 시간 허비하지 않고
열의를 가지고 투자공부하는 조원분들 감사합니다.
덕분에 저도 멱살잡혀 완벽하진 않지만
끝까지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모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