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 [지기 27기 51조 저스뚜잇]

  • 25.04.06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안녕하세요, 

매 순간 JUST DO IT 하고 싶은

저스뚜잇입니다.

즐거운 벚꽃 임장이 

기다리고 있는 4월

 

 

지방투자기초반의 1주 차 강의는

권유디님께서 진행해 주셨는데요.

 

 남들이 보지 않은 지역에서

기회를 잡을 수 있어야 합니다

 

소액으로 가능한 가치 있는 단지를 직접 찾는 법을 안다

‘지방 투자 기준’ 과 ‘가치 판단 기준’을 명확히 안다

내 투자금으로 진짜 적용할 수 있는 실전형 지식을 배우고 적용한다

 

  세 가지를 파트로 나눠

 C지역의 지역 분석과 함께

지방 투자에 대한 모든 것을 알려주셨습니다.

 

각 파트에서 중요하게 느낀 부분과

적용할 점을 위주로 정리하여

후기로 남겨보겠습니다.

 


 

  지방투자 기준

 

"투자는 기준으로 하는 겁니다.

투자 기준에 들어오는 것 중에

 가장 좋은 것을 하면 됩니다."

 

가장 좋은 것,

쉬운 듯 하지만

우리가 매주 임장을 가며

평일 저녁에 졸린 눈을

비비며 임보 작성을 하는 이유입니다.

 

사람들이 좋아하는 단지는 어떻게 알까?

 

수요가 있는 단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해 주시고

지역마다 어떻게 적용하면 좋을지

많은 예시를 들어주셔서

선호도 판단에 적용해볼 수 있었습니다.

 

 지방 투자 기준 3가지와 주의 점 BM

 1. 수요가 많은 지역

(→단, 비싸다면 투자 하지 않는다)

2.건물 가치가 큰 단지

(→단, 구축 수요(땅의 가치)를 파악하여 투자한다.)

3. 선호도 고려

(→단, 커뮤니티 형성을 이해하고 공감한다.)

 

지역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 중 하나가

유디님께서 말씀하신

‘공감’의 한 부분인데요.

 

이 단지는 도대체 왜 비싸지..?

 

왜 비싸지? 라는 생각보다

이 지역 사람들은 이런 요소를

선호하는구나로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각 지방의 개별 지역 마다

거주민들이 거주하러 오는 수요의

핵심 요소를 파악하는 것부터

제대로 파악해야겠다 느꼈습니다.

 

이 단지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니즈는 무엇일까?

에 집중하며 답을 내려보는 한 달의

시간을 보내보겠습니다.

 


 

모르는 지역에서 단지 별 선호도를 파악하는 방법

 

부동산은 선호도로 시작해서

선호도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위에서 언급하듯이 부동산 투자는

내가 할 수 있는 것에서

 가장 좋은 것을 선택하면 되는 게임입니다.

 

권유딘미께서 처음 떨어지는 임장지에서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꿀팁들을

제시해 주셨습니다.

 

선호도 파악 방법  BM

1.전화임장

2.커뮤니티

 

월부에서 투자 활동을 하면 할수록

전임과 매임의 중요성을 느끼고 있는 요즘입니다.

 

‘이 지역은 사장님들 분위기가 안 좋아’

'매물 예약 할 때 어차피 전화 할 테니까'

‘부동산에 직접 가서 물어보면 되지 않을까?’

 

등등 여러 생각으로 주어진 환경이 아니면

먼저 손을 놓게 되는 루틴이 바로 전화 임장인데요.

 

확실히 전임이 부족한 한 달엔

단지 분석도 최종 1등에 대하나 확신도

디테일하게 잘 해내지 못한 것을 느낍니다.

 

이번 달 임장지는 2호기 투자 가능성이

있는 지역으로 어느 달 보다 치열하게 

선호도 파악에 집중해야 합니다.

 

주3회 이상 전화 임장을 통하여

해당 단지의 선호 요소 파악에 힘 써보겠습니다.

 


 

 단계 별 성장 방법

 

앞마당 10개 이상인 분들은

이전 보다 1.5배 상향 목표를 갖고

성장해 나가셔야 합니다.

 

업무가 많고 피곤하다는 핑계로

이번 달은 지난 만큼만 하자

안일하게 가져간 태도에 반성을 했습니다.

 

정말 투자가 하고 싶다면

해서는 안될 생각이었습니다.

 

제대로 하려는 마음으로

정신 바짝 차릴 수 있게

마지막까지 응원 주신 권유디 튜터님,

감사합니다

 


댓글


저스뚜잇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