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아리쏭한 지방투자, 서울/수도권과는 또 다른 시각으로 접근 필요!

  • 25.04.06

첫 1호기는 지방에서 시작하고 싶어서 신청하게 된 강의. 
비교적 소액으로 투자 가능하고, 지방에 거주하고 있는지라 지방이 더 익숙하기도 했고, 수도권에 비해서는 큰 이익이 나지 않더라도 가까운 곳에서 투자 경험을 먼저 쌓고 싶었던게 지방 투자를 선택한 이유였다. 
그러나… 수도권보다 쉬울줄만 알았던 지방이 강의를 들으면 들을수록 더 어렵게만 느껴져서 살짝 당황했던..^^..ㅠㅠ.. 
투자 기준과 가치판단 기준을 명확히 알고 적용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겠다라는 생각이 들었고, 무엇보다 사람들이 어떤 환경을 선호하고 살고 싶어하는지를 파악하는게 임장 시 필수적이라고 느꼈다. 
 

[지방 투자/가치판단 기준]
- 인구수는 곧 수요, 인구수에 따라 투자 우선순위를 정할 것
- 지방은 빈 땅이 많아서 땅의 가치가 떨어진다 è 신축/신도시 선호, 학군 중요
- 지역별로 선호하는 동네, 단지, 브랜드를 파악 è전화임장/커뮤니티/경험축적/시세변화
- 지방은 공급물량이 전세가격에 절대적인 영향을 줌 è 3년 내 입주단지 위치 확인
 

[광주광역시]란,

- 광역시 중에서 경제활동 인구 비중이 높은 젊은 도시
- 광역시 중에서 소득 수준이 낮은 편
- 광역시 중에서 면학분위기가 낮음, 지역 내 상대적 비교 중요
- 자차 이용이 많음
- 연식, 환경, 사람이 중요
- 타 지역 대비 상승폭/하락폭이 작음, 안정적인 전세가 흐름
- 타 지역 대비 매우 강한 신축 선호, 구축 투자 시 입지와 선호도를 매우 까다롭게 확인

 


댓글


오공50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