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 보이는 것이 좋으면 좋은 공무원 도시 A

지방투자 기초반 - 소액으로 돈 되는 지방 1등 아파트 찾는 법

 

저에게는 광주는 웬지 낯선 동네입니다. 

그리고 주위에서 광주에 임장가는 분들이 잘 없었는데 예전 열중 조장님이 광주를 가시길래 ‘광주도 가시네? 잘하는 분이시니 뭔가 이유가 있을 거야’ 라고 생각했는데 강의 들어보니 역시나 광주를 가야 할 이유가 있었다고 것을 알았습니다. 강의에서 느낀 점과 적용점을 적어 보겠습니다. 

 

 

1. 지방은 인구수가 적을수록-신축, 중심지에서 가까운 곳 부터 하라.

지방은 투자범위를 좁게 보라.

--지방은 입지보다 환경을 따라 사람들이 거주지 선택한다

 

2. A 도시는 연식이 아주 중요하다.

 

3. 지방투자 3가지 기준

수요가 많은 지역, 건물가치가 큰 단지, 선호도 고려하라 

 

4. 지방은 땅의 힘이 크지 않다. 수도권 땅의 힘이 크다.

 특히 A도시는 외곽이라도 빈 땅에 새 아파트를 지으면 사람들이 그 지역으로 옮겨갈 수 있다.

 

입지의 힘이 크지 않으므로 환경, 연식의 비중을 높여 생각해야 한다.

 

 

5. 일자리의 중요성은 다른 지역에서 인구를 유입하는 요인이 된다. 하지만 종사자 수와 대기업수가 적다고 지역 경쟁력이 낮은 것은 아님

 

6. A도시는 광역시 중 아파트 비중이 제일 높으므로 투자범위를 좁혀야 한다. 사지 말아야 할 것은 절대 사지 말아야 한다. 잘 골라야 한다.

 

7. A도시를 이해하고 아파트 가격을 맞출 수 있다면 다른 도시 아파트 매수가 아주 쉽다. 

 

8. 서울은 강남과 비슷한 지역을 투자하면 되지만 A도시는 직주근접의 의미가 없다. 그래서 환경, 학군이 중요하다.

 

9. A도시의 중심지역의 구축아파트 오르지 않는 지역이 있다. 정말 좁은 의미로 디테일하게 보아야 한다. 

 

10. 직주근접보다 다른 요인으로 부촌이 형성

커뮤니티(사람) 그리고 로케이션(위치)를 보아야 한다.

 

 

적용점은

  1. 단지를 보되 아주 디테일하게 보자. 퉁쳐서 그 지역을 보면서 단지까지 지역과 함께 평가하지 말자.

 

2. 최대한 신축을 보자.

 물론 선호하는 지역에는 구축 투자도 당연하지만 

 선호도를 면밀하게 보아야 한다.

 구축 투자가 자신 없으면 신축을 보자.

 

3. 직주근접보다 학군과 환경을 보자.

그들만의 세상 커뮤니티를 보고 투자해야겠다.

 

4. 땅의 힘이 크지 않다는 것을 명심하자. 

 선호하는 지역이라고 무턱대고 구축 사면 손해를 볼 수도 있다.

 

이 적용점을 잘 지켜 임장과 투자를 해야겠다.

 

 


댓글


달의여신user-level-chip
25. 04. 10. 00:12

바다님~ 솔직 담백한 후기 남겨주셨네요. 유디님 말씀처럼 적용점을 잘 지켜 성공적인 투자를 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 우리 바다님~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