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인생투자 독서후기입니다.

23.12.07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인생투자 + 우석

저자 및 출판사 : 오픈마인드

읽은 날짜 :  23.12.5.~23.12.7.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 자존감   # 생각기계   # 조급해하지말라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8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 저자는 재태크 전문작가면서, 본인의 삶의 경험을 토대로 투자에 대한 그리고 삶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서 글을 씀. 책의 내용 또한 그러하며, 투자로 성공하기 위해 지녀야 할 신념(?)들을 파트별로 설명함.


 

2. 내용 및 줄거리

 : 책은 크게 투자철할과 실전투자 두파트로 나뉘어져 있음.

전자는 투자자로서 지녀야 할 만인드에 대해 다양한 철학, 심리학 그리고 개인적 경험에 근거하여 필요 덕목들을 서술하고 있음.


실전투자에서는 투자를 접근하는 방법에대해 경제학적 여러이론들과 역사적 분석을 통해 통찰하고 있음.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나는 투자자로서의 마인드셋이 아직 부족하다고 할 수 있음.

머리와 마음이 따로노는? 이중적인 상태에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에 대해 큰 사이렌을 울려주는 느낌이었음. 특히 나의 태도에 대한 것만이 아닌, 가족들에 대한 마음가짐(태도)도 잘 설명되어 있어, 깨우치는 부분이 많았던 것 같고, 30대를 위한 조언이 많아 더욱 책의 내용이 피부에 와 닿았음.

또한 본인은 남편과 함께 읽었는데, 서로 각 파트에 대해 코멘트를 달아주고 약점과 강점이 무엇인지 서로 얘기할 수 있어 좋았음.

의지가 약해질 때마다 다시 꺼내서 보면 마음가짐을 바로 하기 좋을 것 같음.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이 책을 보면서 가족들에게 대해야 하는 태도에 대하여 많은 생각을 하게 됨. 막연하게 부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 아닌, 그 길을 위해 구체적으로 어떠한 마음가짐으로 대해야 하는지 조금이라도 깨닫게 됨.


성공에 요행은 없으며, 결국 부던하게 노력해야만 얻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듦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 000 (전자책인 경우 전자책이라고 작성 부탁드립니다😊)

: p 168 국제정세를 읽을 줄 아는 사람은 쉽게, 크게 번다.


"전체를 알고 부분을 알고, 부분을 알고 전체를 알아야 한다. 그리고 부분이 전체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알아야 한다"


이 파트를 읽으면서, 숲을 보는 방법에 대해서 특히, 어떠한 방식으로 그런 능력을 키울수 있는 지 궁금했습니다.

책에서는 구체적인 방법은 제시되어 있지 않은 듯 하고, 다만 외신을 구독한다 정도를 확인했습니다.

물론 저자가 다독을 통해 다양한 철학책과 경제학책 등을 섭렵한 것도 통찰력을 키우는 데 큰 몫을 한 것도 같습니다.


저는 살면서 철학책도 한번 읽어본 적 없고, 경제학은 학부수준으로 공부한게 다입니다.

세계경제나 흐름, 심지어 국내경제에 대한 흐름도 잡기 어렵더라구요..



경제신문을 보라고 하는데 막연히 어떤방식으로 봐야할지 조금 막막하긴합니다.


노하우? 가있으면 공유하고 싶습니다.



p151 지식인들이 자본주의에 비판적인 진짜이유


소위 저는 20대에 팟케스트를 들으면서, 촛불혁명 등 좌파적 색채를 지닌채 10년 넘게 살아왔습니다.

현재도 그 근본은 변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이런 저의 신념이 요즘 부동산 공부나 투자등 자본주의를 체감(?)하며, 조금씩 무너져 가는 기분이 들곤 합니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진보주의의 가치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들진 않습니다. 이렇듯 자본주의속에서 살아가면서 저의 신념과 상반되는 현상을 어떻게 극복해 나가야 할지 고민입니다.

책을 읽으며 사실 한편으로는 조금 얻어맞은 기분이 들기도 했습니다...ㅎ

이런 경험이 있으신분이 있으시다면 좀 더 공유해보고싶습니다.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김승호 선생님의 '돈의 속성'


자본주의의 가치에 대해 처음으로 느끼고 감명 받음.



댓글


ajs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