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내마기 56기 달리9 6억벌조 부돈산] 1주차 강의후기

  • 25.04.08

내집마련 방향성

  1. 부동산을 정확하게 알고 언제 사야하는지 배운다
  2. 내집마련 계획을 세운다 - 상황별 목표 설정(투자/징검다리/최종목표)
  3. 나는 어떤 걸 사야하는지 배운다 - 타겟특정

 

 

1-1. 시장 지식

  • (시기) PIR 12 이하 /  전세가율 60% 이상이면 전체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저렴하다 판단

    “ 서울 쌀 때 산다라는 건 없음. 현재에서 최대한 싸게 사겠다(O) ”

  • (범위) 인구 분석 / 강남 1시간 이내, 지방 신축아파트

 

1-2. 시장 상황(원인 3가지, 결과 1가지)

  • 금리 : 인하기 - 화폐량 증가 / 매매 시, 은행돈 비중이 큰만큼(유동화) 부동산가격 결정 시 금리의 영향이 큼
  • 공급 : 빙하기 - 전세가 증가 - 매매가 증가(하락방어)
  • 정책 : 토허제 원복, 대출 규제
  • 가격 : 서울(봄, 비싸지 않음), 지방(늦겨울, 쌈)

 

2. 전략수립

<지인 D의 전략>

  • 좋은시기에 / 덜 중요한 것 포기, 중요한 것만(교통) 집중하여 / 상황(수입, 지출, 저축액)에 맞는 집 매매 후 / 지속적인 관심과 공부, 저축을 실행하며 / 적극적으로 갈아탐
  • 우리의 전략 

 내 상황(종잣돈과 저축구조)에 맞춰 강남, 한강에 가까운 아파트를 매매한 후 계속해서 더 안으로 들어간다.

 

3. 타겟특정 (내집마련 판독기로)

 

<KEY POINT>

  • 우리는 콩나물 하나도 가격 비교해서 사면서, 내집마련은 좁은 시야로 아무거나 삼
  • 단기적으로 집 값을 예상할 순 없지만, 장기적으로는 필수재, 투자재 성격으로 인해 반드시 우상향
  • 절대적진리 : 전세가가 빠지면, 매매가도 무조건 멈추거나 떨어진다 / 이때가 무조건 기회!
  • 금리원리 : 1. 물가안정(한은 목표 물가 2%) 2. 경기부양 

    경기가 안좋아지더라도 첫번째 우선순위는 물가안정, 물가가 오르면 금리를 올려서 화폐가치를 높임 → 경기침체 일어남 → 경기부양 위해 금리를 낮춤

  • 갈아탈집(징검다리) 시기 재지마라 “ 그냥 하는거다 ” (소탐대실)
  • 집은 집으로 사는거다 (현금X)
  • 내집마련이란, 내 명의로 된 집을 마련하는 것 (투자용이든, 실거주용이든) ‘ 투자냐? 내집마련이냐? 고민하게 머쓱 ’  

댓글


부돈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