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소액으로 돈 되는 지방 1등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지기27기
1도 망설이지 말고 수성구 2ㅁ장하조
듬스코입니다.
저는 처음 잔쟈니 튜터님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처음 강의로 만난 튜터님을 통해 처음 배우거나, 내가 놓치고 있던 것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1. 어떤 데이터에 대한 확신을 가지려면 '거점 도시'와 비교해라.
지역분석 단계에서 인구, 학군에 대한 분석들에 공이 많이 들어가는데
이 데이터를 더 효과적으로 이해하려면! 우리가 잘 아는 핵심 도시의 데이터와 비교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2. 입지분석을 할 때는 '사람들이 어디에 살고 싶지?'의 관점으로
입지분석 장표들을 막 써 내려가다보면,
그래서 중요한게 뭔데? 사람들이 어디 좋아해?
를 남기지 않고 그냥 무의미하게 끝나는 때도 있었습니다.
입지분석할 때 항상 어디를 제일 좋아하고 이 지역 사람들이 무슨 이유로 주거를 선택하는지!
집중하며 봐야겠습니다.
3. 학군이 중요한거야 연식이 중요한거야?
이런 판단을 내릴 때는 궁금한 주제에 맞는 단지들을 찾아서
지도위에 올리고 가격을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해봐야겠습니다.
4. 지방 상권의 특징 ; 모이는 곳에 모인다.
아주 큰 도시에 가면 좋은 학원가들이 전혀 유해상권과 섞이지 않고 질 좋게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대치, 광장, 평촌이 그랬습니다.
그런데 둔산동이나 옥동에는 학원가와 술마시는 식음 상권들이 혼재되어 있어서
이게 좋은건지 마는건지 어려웠는데
이게 지방이라는 곳의 특징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5. 공급그래프와 대표단지 그래프 나란히 보기!
전에 동료에게 배운 공급그래프를 임보마다 공들여 그리지만
이번에 튜터님이 보여주신 방법을 통해
지역의 공급에 대한 성격을 파악하고
더 공급을 리얼하게 단지에 적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6. 지금은 좁게 나중에는 넓게
시장 상황에 따라 우선순위가 좁아지고 넓어지는데
왜 그런지 알 수 있었습니다.
7. 시세그룹핑에서 뽑아야 할 것
시세그룹핑으로 내가 생활권 선호도를 제대로 봤는지도 봐야 하지만
사람들이 어떤 이유로 주거지를 선택하는지를 뽑아내야한다는 걸 배웠습니다.
8. 지역의 투자전략 ; 핵심 키워드 뽑기.
그 지역에서 그게 중요한걸 어떻게 뽑아낼까?
저는 어렴풋하게는 입지와 각겨을 동시에 한 판에 올려서
사람들이 이 지역에서 선호하는 요소를 파악하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강의를 통해
그 핵심 요소를, 내 앞마당의 킬링한줄을 어떻게 도출하는지
보게 되었습니다.
꼭 앞으로는 좀 더 뾰족하게 이 킬링한줄을 뽑고
이걸 갖고 생활권 우선순위, 단지 우선순위를 판단해야겠습니다.
9. 분임 ; 단지 앞으로 가지 마라.
저는 분임 때 사람들을 더 보고 싶어서
큰도로 + 이면도로 + 주요상권, 업무지구 + 백화점 들어가는데
거기다가 단지 앞을 스치면서 지나갑니다.
그런데 튜터님이 단지는 단임 때 가까이 가고,
분임 때는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곳을 지나가라고 하셨습니다.
늘 너무 길어서 고생스러웠던 분임 루트를 제대로 짜야겠습니다.
10. 시세지도에서 남겨야 할 것.
생활권 우선순위 + 가격 결정 요소
많은걸 새로 배우고
다시 점검할 수 있었던
잔쟈니 튜터님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튜터님!
댓글
저는 가는 길에 잠잘잤니 될 것 같습니다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