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바나님의 1강을 들으며 인상깊이 인상적이었던 내용과 적용해보고 싶은 점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인상적이었던 내용>
- 순자산 20억까지는 '숲'보다 '나무'가 더 중요하다. (숲 : 세계정세 등 거시경제)
- 근로저축 소득만으로는 노후대비가 어렵다.
-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근로소득'으로 인한 부가가치 창출은 점점 한계를 나타낼 것이다. 또한 '노동'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은 끝이 있기 마련이다. (은퇴)
- 부자일수록 자신 비중에서 '재산 소득'의 비중이 높아진다.
- 부자의 주요 소득원은 '사업'과 '부동산'이다.
- 너바나님과 같은 전문가도 한 물건을 매수시 최소 10년을 안고 간다. (부동산 매수시 어느정도의 장기적 인내심을 가져야 하는지 깨닫게 되었습니다.)
- 너바나님의 분당 매물은 매수 후 6년동안이나 매매가가 오르지 않았지만, 그 이후에 올랐다. ('인내심'과 '핵심'에 대한 통찰을 할 수 있었습니다. 부동산 투자에서 요구하는 인내의 기간은 내 생각보다 길고, 부동산 매수의 핵심은 오를 물건 매수이다.)
- 부동산 매수시 매매가가 오르지 않더라도 전세가가 오르면 추가 매수를 위한 투자금 확보가 가능하다.
- 1년에 한 채 매수를 목표로 하여 월급쟁이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 월급쟁이의 노후대비 방법 : L E D (은퇴가 늦어야 필요 노후자금 감소, 일찍 시작해야 수익 정도 상승, 저축 연 최소 2500 안되면 맞벌이로)
<적용해보고 싶은 부분>
- 1년에 한 채 매수를 목표로 하여 월급쟁이 시스템 갖추기
- 필요 노후자금을 계산하여 그에 맞는 필요수익률과 투자기간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