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집마련 시작부터 끝까지~ 2강 강의 후기 [내집마련 기초반 56기 9조 고고]

'나에게 특히 인상깊었던 점'과 '꼭 적용해보고 싶은 점'

  • 서울/수도권은 물론 지방까지 각 지역별 특징으로 내집마련 고르는 기준을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좋은 집은 = 입지가 좋은 주택

  • 입지는 = 양질의 일자리 / 중심 업무지구로(특히 강남) 빠르게 이동이 가능한지 / 공부잘하는 학생들이 많은 동네이고 학원가가 있는지 / 백화점, 마트, 병원등 편의 시설이 주변이 있는지 와 아파트들이 몰려 있는 위치인지 / 호재가 있는지.. 를 보는것

  • 내집마련을 잘하는것이란? = 익숙한 곳을 고르는것이 아닌 가치있는 아파트를 구입 하는것

  • 내집마련의 우선순위

    ㄴ 서울/수도권 : 직장&교통 > 학군 > 환경

    ㄴ 지방 : 학군 + 환경(년식, 택지, 브랜드)

  • 저 좋은 가지를 알려면?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더 선호하는 곳이 어떤곳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1) 서울/수도권

    ㄴ 1급지 : 원조부자동네  > 한강뷰 > 학군 > 쾌적한 환경

    ㄴ 2급지 : 1급지인접위치 > 한강뷰,숲뷰 > 교통,연식 > 학교

    ㄴ 3급지 : 쾌적한환경(택지, 뉴타운) 교통9호선(강남,여의도) > 5호선(광화문,여의도) > 2호선

    ㄴ 4급지 : 교통(업무지구 접근성) > 아파트 밀집 > 이왕이면 평지

    ㄴ 5급지 : 교통(강남,광화문 접근성), 연식, 환경

     2) 부산 : 부산 진구 기준으로 동부산권 내집마련 우선

     3) 대구 : 달서구 기준으로 수성구, 중구 내집마련 우선

     4) 대전 : 서구 둔산동 제외 구축 내집마련은 보수적으로 볼것 (현재 공급이 많음)

     5) 울산 : 남구 신정동 급지정도 내집마련

     6) 광주 : 남구 봉선동 급지정도 구축 내집마련, 물론 신축이 우선

  • 거주용 vs 투자용 내집마련 : 나의 상황에 맞게 선택
  • 매수 : 협상 → 가계약 → 계약 → 잔금

    ㄴ 가계약전 필요한 항목을 정하고 가계약금을 전달할것!

      


댓글


고고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