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5.04.15)
안녕하세요 등어입니다 :)
많은 사람들이
부동산 거래를 할 때
얼마나 깎을 수 있는지
전세를 놓으면 얼마인지
수리는 어느정도 해야할지 등
엄청 꼼꼼히 따져보고
거래를 하게 됩니다
그런데 계약서에 사인하고
등기까지 마친 어느날
이런 문자를 받아볼 수도 있는데요
갑작스럽게 날아온
재산세 통지서
어떤 기준으로
부과가 되는 것인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재산세의 의미
2. 재산세 부과 기준
3. 재산세 관점으로 유리한 매수/매도 시점
재산세는
토지, 건축물, 주택, 선박 등
소유하고있는 사람에게
매년 부과되는 세금
주택을 소유하고 있다면
매년 납부해야하는데요
재산세 계산을 위해선
'시가표준액'
'공정시장가액비율'
을 알고 있어야합니다
주택의 경우
시가표준액은
개별주택가격 또는
공동주택가격을 따르고
토지는 개별 공시지가
건물은 건물시가표준액을
보시면 됩니다
재산세율 과세표준은
기본적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 |
6,000만원 이하 | 0.1% | |
6,000만원 ~ 1.5억원 이하 | 0.15% | 3만원 |
1.5억원 ~ 3억원 이하 | 0.25% | 18만원 |
3억원 초과 | 0.4% | 63만원 |
별장 | 4% |
제일 궁금하셨을
제산세 부과 기준은
'6월 1일 게임'입니다
그 해 6월 1일에
집을 가진 사람에게
1년치의 세금을
부과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6월 2일에 팔 경우
매도자가 재산세 납부
(명의가 넘어가지 않아서)
반대로 매수자가
명의를 6월 2일 이후에
넘겨받았다면
재산세를 납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매수자의 입장에서는
6월 1일 이후 사는게 이득
매도자 입장에서는
6월 1일까지 매도하는게 이득
실제로 거래가 이루어질때는
거래날짜, 등기날짜
실제 잔금날짜 등이
다 다르기 때문에
잘 조율하는것이
필요할 것 같아요!
만약에 재산세를
50%씩 나눠서
부담하기로 했다면
계약서상에
특약조건을
반드시 넣어두는것이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재산세 부과되는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6월1일을
기억하면서
매수/매도의
과정을 준비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부동산 계약에 대해서
좀 더 궁금하신분은
아래 강의를 들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댓글
오 날짜 중요하게 생각해야겠네요!!! 재산세 기준 잡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부동산 재산세 날짜 꼭 명심해야겠어요!!! 감사합니다!!
오 부동산 재산세 완전정리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