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매 강의가 중복, 반복… 복습의 효과가 있는것 같다
처음 들었을때, ???? 물음표만 가득했다면
강의 차수가 늘어날수록 아~~~~하고
바보 도 트이는 소리가 들리는 듯 하다
월부 들어오고 6개월차!!!!
모르는 채로 계속 듣는게 맞나? 하고 늘주변에 물었다
돌아오는 답은
“경험상 힘들어서 쉬어보니 계속 듣는게 맞습디다!!!!” 한다 ㅡㅡ;;;;;;
믿고 따랐다
힘들어도, 쉬고 싶어도, 진도가 안나가도, 포기하고 싶어도,
제자리도 아니고 퇴보하는 느낌이 들어도 계속 들었다
지금와서 보니 왜 선배들이 힘들어도 계속 나아가는게 맞다고 하는지 알 것 같다
조금씩 조금씩 나아지는게 느껴진다
다른 사람들이 보면 늘 그자리로 보이겠지만
나는 알겠다 아주 조금씩 쌓이고 있다는 것을,,,
투자를 못할 강남을 왜 가봐야하는지
투자를 안할 선호도 떨어지는
구축을 왜 가봐야하는지
학급당 학생수는 왜 보는건지
백화점 전국 순위는 또 왜 보는건지
인구연령은 왜 비교하는건지
사실 왜 해야하나 생각했다(반성함돠~)
매 강의 과제로 썼던 임보인데 (임보라 말하기 부끄릅드아~~)
그냥 숙제하기 바빴고 짜맞추기 급급했다
내 생각은 없이(사실 생각이 나지도 않고 쓰려고 하면 부끄럽기도 했다)
시키는대로 완료했다는 것에 만족하는 나날이었다
이번달은 내 생각이 반영된 임보를 완료하는게 목표다
이번 강의에서 무엇보다 중요하게 와 닿았던게 시세지도였다
단임을 다녀오고 시세 따면서
서울은 직장과 교통이 중요입지요소라 하면 광역시는 학군과 환경이 더 중요하다고 배워서
학군, 환경만 중점적으로 봤다
그런데 강의에서 창원은 학군보다 환경(연식,커뮤니티)이 더 우위에 있을수 있다는 말씀에 뭉텅그리지말고 좀 더 뾰족하게 분석을 해야하는구나 생각했다
같은 생활권에서 학교를 중심으로
시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상권을 중심으로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대형평형이 있고 없고는 어떠한지
내 생각은 보태어 시세지도를 그려보자
잘하려고 하지 않겠다
무식하지만 내 수준에 맞게 구식이든 수기든
일단 하는거다
고민할 시간에 그냥해!!!! 제바알~~~~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