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투기 2만하면 등기 7때도 됐자나? 아파트 4고 또4조 멈추지말고달려] - 시세지도 올려보자!!

인상깊었던 점 

위치를 보는 이유

도시의 특징을 이해하고 이 지역을 분석할때 주안점을 파악

 

지형적으로 단절된 모습 (산, 바다) - 생활권별 특정, 선호요소 파악 → 내 투자에 적용

넓은 땅, 많은 인구 - 어디까지 투자할지 투자범위 설정

대규모 산단 - 직장 접근성이 거주민에게 선호요소인지 파악 

 

총인구, 세대당 인구 수치를 확인하여 완성형 가족이 많다는걸 파악 하며, 그런곳이 거주비율이 높아 선호주거지 가능성이 높다라는걸 캐치해보기 

Tip → 동별 세대당 인구수가 2.5명 이상이면 아이를 키우고 사는 가정이 많은것! 

 

사람을 보는 이유

사람들이 어디에 모여사는지, 살고 싶어 하는곳은 어딘지 파악 

총인구, 세대당 인구수가 많은 메인 주거지 파악 

경제활동 인구 많은 젊은 도시 20~50대 많이 거주하는곳 파악 

 

직장 분석에서 꼭 확인해야 하는 점

  1. 주요 일자리는 어디에 있는가
  2. 양질의 일자리가 많고 소득도 좋가?
  3. 구매력 있는 고소득자들은 어디에 살고 싶어할까?

 

학군 분석에서 꼭 확인해야 하는 점

  1. 다른 지역과 비교했을 때 학군수준이 우수한가?
  2. 학군지 역할을 하는 곳은 어디인가?
  3. 학군지를 어느정도 비중으로 봐야하는가? 

 

학군지의 정의 = 입시컨설팅, 수리논술, 과학전문 등등 (공부방, 태권도, 미술, 영어 이런거 X)

 

환경 분석에서 꼭 확인해야 하는 점

  1. 상권 및 편의시설 : 주요 상권은 어디인가?
  2. 거주환경 : 쾌적한 거주환경을 갖춘 생활권이 어디인가?
  3.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환경요소는 무엇인가? 

 

공급 분석에서 꼭 확인해야 하는 점

  1. 인근 공급상황과 추세는 어떤가?
  2. 언제 어디에 몇 세대가 들어오고, 그 공급이 향후 입지순위를 바꿀 정도인가?
  3. 투자했을 때 리스크가 있을까? (역전세) 

 

교통 분석에서 꼭 확인해야 하는 점

  1. 지하철이 없는 중소도시에서는 어떻게 [교통] 입지를 분석해야 하는가?

    (주요 직장까지의 자동차 출퇴근 소요시간 체크) 

  2. 거주지를 선택할 때 어떤 부분에서 [교통이 편리하다]고 느끼는가? 

 

투자해야할 아파트

입지 좋은 신축 : 입지 좋은 신축 밀집지역 핵심지

입지 좋은 구축  : 입지 + 학군 + 커뮤니티까지 갖춘 소수의 구축

입지 양호한 신축 / 입지 양호한 준신축 : 아파트가 모여 있고 산단 20~30분내 / 출퇴근 가능한 시내권 단지 

(단지가 모여있는곳 > 개별단지 상품성이 좋은곳) 

 

지방 임장의 특징

  1. 시간이 제한적이다 - 그래서 보물찾기하듯 띄엄띄엄 보는게 아니라 한 번 갔을 때 제대로 보고 와야 한다.
  2. 도시별 개별성이 강하다 - oo시의 선호 요소가 ☆☆시에서는 덜 중요할 수 있다. 해당 지역 사람들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알아야 한다.
  3. 생활권과 단지의 선호도가 다를 수 있다 - 1등 생활권이라고 모든 단지가 좋지 않으며, 후순위 생활권이라도 사람들이 좋아할 수 있기에 단지별 선호도 가 중요하다.

 

특출난 상품성을 가진 단지

  • 1군 브랜드 초신축, 조경, 커뮤니티센터, 차량

 

거주선호도가 떨어지는 약점을 가진 단지

  • 비선호 / 유흥요소, 기찻길, 너무 큰도로

 

적용해야할 점

가격대별로 표가 정리되었을 때 그룹핑을 해서 각 단지별 키워드 찾아보면 좋을듯!! 

  • 신축 밀집 지역, 학군지, 커뮤니티 형성된곳, 부촌 등등 키워드 정리해보기 

 

생활권별로 대장 아파트 가격 비교하기 

 

생활권 내 단지간 가격 비교

 

시세를 지도에 올리기 (학군도 반영하기)


댓글


멈추지말고달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