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애몽이 입니다.
잔잔하게 따박따박 그러나 핵심을 콕콕 찔려주신
잔쟈니 튜터님 강의 너무 너무 좋았습니다.
정리도 너무 잘 해주셔서 귀에 쏙쏙 들어왔습니다~
물론 이 좋은 것을 내 것으로 만드는 건 제 몫이긴 하지만
강의를 듣다보니 뭔가 안개가 걷히고 뭔가 명확해진 느낌이 들었습니다.
1)잊기 전에 기록하기
창원
-수요가 있는 단지들도 3년째 가격이 그대로다.
-중소도시중 최초로 전고점 10억인 곳
25년4월 입주한 단지의 물량소진시 공급급감.(올해1,내년2개단지 입주후 공급제로)
-가치와 가격이 뒤죽박죽인 시장(지역을 제대로 분석하면 옥석을 가려내 더 버는 투자를 할수 있다)
-창원은 특이하게 기차역이 3곳이나 된다.산을 넘어야해서…..
-제조업 기반 도시,도시 중심부 주요직장(중심부 대규모산단)이 있다.통합창원→넓은땅,많은인구
-각 권역별로 상권 밀집지역이 있다.
-성산구 인구,세대당인구 높다. 동별 세대당인구의 기준은 분당 2.44명 성산구2.5명 많은 거다.
(세대당 인구수를 보면 그 지역 살고 싶어 하는 곳이 어디인지 알 수 있다)
-경제활동 인구비율이 높다 (10명중6명) 젊은 도시 창원!!!(Tip인근에 있는 광역시등과 비교해 볼것)
-창원 일자리는 질+양 모두 많다(대기업의 숫자가 많은 편)
4분의1(울산 3분의1)제조업(전체종사자48만중 성산구 창원국가산단에 12만명이 근무,500인이상대기업 성산구집중)
대전10%가까이 전문직,창원은고도의 과학기술전문직은 아니다.
-학군지의 정의=우수한학교+양,질(입시컨설팅,수리논술,과학전문)적인 학원가+부자,커뮤니티
-그지역 90%몇개 있냐,많냐적냐를 알아보는것은 그 지역에서 학군이 영향력이 있냐없냐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창원90%이상1개-학군지가 강력하지 않다는것과 이 1개의 학교에 보내고 싶어하는 수요가 많겠구나정도파악
학군지좁다.학군지가 있긴하지만 신축을 뛰어넘진 못하다.대구서울은 입지좋은 구축이 더 비쌀것이다.)
-공급을 볼때 많다는 단편적보다는 공급이 좋은 곳에 있냐 안좋은 곳에 있냐 꼭 따져봐야 한다.(경남권모두공급부족)
-지방은 전세가가 중요하다.전세=실수요자 지방은 인구가 적어서 가수요자층(매매)이 얇다.
지방 집값을 올리려면 전세가 올라야 한다.
-교통(직주근접이 가장 중요한요소,종사자4분의1이일하는 창원산단까지의 접근성이 창원에서 가장중요해서
원이/창이/315대로 가까우면 또는 터널다리로 산업단지까지 이동시간 단축되면 교통이 좋다고 여긴다.)
댓글
애몽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