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1억 더 오를 아파트 임장, 임장보고서로 찾는 법
월부멘토, 너나위, 권유디,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단호한음악입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 분임과 임보에 대해 한 걸음 더 나아가게 되는 강의였습니다.
월부활동을 먼저 시작하신 동료분들로 부터 전해 들어오던 임장과 임보를 제대로 맛보게 되는 시간이었습니다.
임장과 임보를 하는 것은 결국 투자를 하기 위한 좋은 물건을 찾아 나아가는 방법이라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막연히 지도를 보고 주위에 뭐가 있으니 좋겠지, 신축이니 좋겠지, 부동산사장님이 좋다니 좋겠지, 지인이 좋다니 좋겠지라는 막연하게 결정되는 투자가 아닌 객곽적인 정보와 그 지역을 보며 느낀 생각들을 정리해 논리정연한 보고서로 만들어 투자를 결정한다는 것이 매력적이었습니다.
‘가치를 알고 우선순위를 정해 내 투자금에서 가장 좋은 것을 사자’라는 것이 유디님의 궁극적으로 말씀하려고 한 바가 아닌가 싶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해야하는 행동은 임장과 임보라는 걸요. 이에 바탕으로 깔려야하는 것이 실행으로 옮겨야 한다는 것입니다. “앉켠쓴” 꾸준함이 중요하다는 걸 다시 한번 느끼게 됩니다.
먼저 그 지역을 가기전 사전 정보를 다양한 지도의 형식과 부동산 플랫봄을 통해 얻어갑니다. 그 지역의 위상, 지형, 지역 내 위치별 용도, 법정/행정구역
여기서 그 지역의 가치, 그 지역 내의 법정/행정구역의 가치 선호도를 결정시켜줄 직장,교통,학군,환경을 살펴보며 우선순위를 정하다는 걸 염두해야 합니다.
사전 정보들을 임보에 담아놓고 임장을 가서 직접 눈으로 현장의 모습을 느끼며 그 안에 사는 사람들과 환경을 본 뒤 이를 바탕으로 동별 우선순위를 정하고 이에 대한 근거나 생각을 정리해봅니다.
더 좋고 덜 좋은 생활권을 나눠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이는 그 지역의 선호도를 정하는 것이며 투자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행위입니다.(지방의 경우는 안 좋은 곳도 투자해선 안되는 곳이라는 판단도 필요합니다.)
결국 돈을 벌기 위한 행위이므로 아파트의 가격과도 연결을 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한 작업이 시세조사입니다.
다른 물건과 비교해 더 좋은 가치를 갖고 있지만 싼 물건을 찾기 위해 그 지역의 모든 아파트의 가격 정보를 파악하여 투자로 이어질 수 있게 합니다.
새롭게 알게 된 점
그 지역의 인구수는 곧 그 지역의 수요를 나타낼 수 있으며 연령별 인구, 인구간의 전출과 전입, 소득수준을 파악해 지역의 가치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을 새롭게 알게 되었습니다.
학군지는 학업성취도률만 보는 것이 아닌 학원 수과 학업성취도률이 함께 봐야한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적용할 점
임장과 임보 모두 투자를 위해 하는 행동들이다. 의식적으로 수요와 연결시켜 사람들을 끌어올 수 있는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해보려고 노력해보자.
투자는 감정이 아닌 기준으로 하는 것임을 명심하자.
동선 구상 시 내가 지나왔던 길을 뒤돌아 볼 수 있는 게 세팅해보자.(현장에서 다시 복습할 수 있는 효과를 누릴 수 있음)
임장 후 아무리 힘들어도 복기하고 기록하여 정리하도록 하자.
댓글
단호한음악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