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닉네임입니다.
임장을 하고 임보를 쓰다보면
자연스레 연결 된 것이 아니라
임장은 임장대로 임보는 임보대로
따로 가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되는데요
그래서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는
최대한 연결지어 보려고 노력했지만 쉽지 않았습니다
이번 2강은 어려웠던 임장과 임보를 구조화하여
투자와 연결할 수 있도록 설명해주시는 강의였습니다.
선호도 있는 단지 고르는 임장/임보
지방은 수요가 한정적이라서
사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생각하며
지역 사람들의 수요를 이해하려고 하기 보다는
말씀 그대로 러프하게 생각했었던 것 같습니다.
조금 더 거주민 입장에서 생각하려고 하기보다는
선호요소가 이거니까.. 선호도 있겠지..
하면서 두루뭉술 했었고,
가설검증까지는 해봤지만
선호요소 파악을 명확히 해보기
위해서만 했고, 현재 시장에 적용할 부분은
이번 강의를 듣고 적용해봐야겠습니다.
나의 투자 후보 단지를 찾는다는 목표를
생각하고, 매물을 보는 방향으로 잡아야겠습니다.
투자 사례 적용
시간에 쫓기다 보면
원페이지도 빨리빨리
시세트레킹도 빨리빨리 했기도 하고
그러면서 앞마당이 다시 선명해지기 보다는
하는 것에 의미를 두었습니다.
앞마당 복습하면서 숙성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계속 들여다 봐야 수요의 변화
흐름도 알 수 있으니 더 선명해질 수
있도록 관리해보겠습니다.
튜터님의 경험담을 들으면서
나는 투자 후보 단지가 넓지 않았구나
생각해 볼 수 있었고 " 많이 부족했지만
그나마 내 생각대로 흘러갈 수 있었던 건
시장 상황 때문이었구나 "를 복기해 볼 수 있었습니다.
이제 저에게도 투자를 못하는 시기가 왔는데
투자 못할 때 어떻게 보내는 지가 중요한 만큼
기존의 잘못된 부분을 수정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닉네임님~ 강의 수강 고생많으셨어요^^ 배운내용 되로 그동안 하지 않았거나 놓쳤던 내용들을 하나씩 적용하셔서 성장하기길 응원할게요 :) 화이팅입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