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프리아입니다.
월부학교 2강 ‘지금부터 3년 동안 시장이 주는 기회를 잡는 방법’ 강의 후기입니다.
지방투자실전반에서 튜터님 강의를 듣고 지방 투자에 대한 편견이 완벽히 부서졌던 경험이 있어서
더더욱 반갑고 기대되는 강의였습니다.
- 2025년 4월, 현재 부동산 시장 상황
가격 수준, 공급, 금리, 정책으로 하나씩 풀어보면서 현재 시장을 진단할 수 있었는데요, 특히 현재 시점과 비슷한 과거의 상황을 통해 과거에는 어떤 흐름이었는지 배울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의 시장상황이 과거와 비슷하게 갈지는 아무도 알 수 없지만 상황들을 세분화해서 어떤 방식으로 대응해야하는지 하나씩 알 수 있었습니다.
2. 향후 시장 상황 변화에 따른 대응 방향
- 많은 사람들이 하는 고민중에 하나인 3억으로 서울 한채를 살까? 아니면 지방에 다주택자 포지션으로 갈까? 인데요. 저역시 투자를 결심하겠다 생각을 했던 초기에 많은 고민을 했었습니다. 지방에 다주택자 포지션으로 하면 내가 더 관리도 편할꺼 같기도 하고 막연하게 머릿속에서 생각만 했었던 거 같습니다. 하지만 계속해서 강
- 좋은 것일 수록 살 수 있는 기회를 짧게 주고 시간이 지났을때 가격차이를 크게 벌린다. 이 점이 정말 중요한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특히 지금만큼 투자하기 좋은 시장이 드물다라는 말을 많이 듣는데 시간이 지나서 되돌아보면 이 가격으로 살 수 없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시세트래킹 vs 전수조사 : 기존에 저도 전수조사를 하는 사람 중 한명이었는데요, 정말 계속 가격을 담다보니 강의에서 말씀하신것 처럼 누더기가 되는 기분이 들어서 뭔가 방법을 바꿔봐야겠다 생각을 많이 했었습니다. 강의에서 말씀해주신것 처럼 시세트래킹으로 탐지하다가 투자할만게 있으면 집중해서 지역을 전수조사해봐야겠습니다. 전수조사 하지 않으면 내가 놓치는 것이 있을지 모른 다는 생각에 항상 전수조사로 했었는데 지금 시점에서 돌아보면 전혀 그렇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었을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내가 원하는 시나리오 대로 되지 않는다 : 예를 들어 지방을 먼저 투자하고 수익금으로 서울로 투자계획 하는경우 서울이 가만히 기다려줄까요? 서울이 가만히 있어준다면 너무 베스트이지만 시장 상황은 정말 아무도 알 수 없는 것이기에 항상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것을 한다는 마음으로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3. 자산을 쌓기 위해 해야하는 투자 의사결정
- 자산을 불리겠다는 것에 집중해서 의사결정을 하면 어떤 선택이라도 큰 차이는 없다는 점을 강조해주셨는데, 정말 와닿았습니다. 스스로 투자자라는 정체성을 지키며 투자생활을 이어나가다 보면 목표한 경제적 자유를 이룰 수 있겠다라는 생각을 다시한번 해볼 수 있었습니다.
- 상승장이 오면 자산을 갖고 있는 사람이어야 가격이 올랐어도 뒤를 도모해볼수 있다!
4. 월부학교에서 가장 많이 성장하는 법
- 이번학기에는 개인적 투자 목표와 더불어서 이를 실행하기 위해 옆에 있는 동료들에게 많이 배워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막연하게 몰입한다라는 단어보다 좀더 구체적으로 어떤 결과물을 낼 것인지에 초점을 맞추어서 남은 두달 계획을 세워봐야겠습니다.
- 2025년 봄학기가 영광의 시기였다고 기억될 시기로 만들어보겠습니다.
강의해주신 게리롱 튜터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