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흐름: 전세를 놓고 사는 겁니다. 전세금이 꾸준히 올라가면 가지고 있는 집들에서 전세금을 증액을 하면 거기서 현금흐름이 생긴다. 매도하지 않아도 나오는 돈, 매도하면 목돈이 나오지만 현금 흐름은 없어진다.

 

10년 동안 계약서만 200개를 작성>1년에 20장씩 쓴 것, 한달에 1~2개씩 쓴 것

그것도 직장생활하면서, 짬내서 투자, 임장하고 물건 매수해서 임대놓고 이 활동을 한 달에 두 개씩 계약서를 쓴 밀도

 

투자를 하기 위해서 돈도 모으고, 했던 여러가지 경험들 실제 적용할 수 있는 내용들

그대로 따라하면 똑같은 결과가 나오는 것들 위주로 강의한다고 하니

강의만 듣기만 하면 돈이 아깝다, 강의를 듣는 것에서 시작으로 더 나아가 진짜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과제를 잘 따라하자!

 

이 강의는 왜 태어났을까?

영상 1> 재테크: 종잣돈(1번)x수익률(2번) – 1번, 돈 버는게 힘들다는걸 먼저 인지해야 하는데

영상 2> 금융문맹(금융교육이 필요)

재테크는 남들 다 하니까 나도 하는게 아니라 “잘”해야 하는데 그걸 알려주는 곳은 어디에도 없다

그냥 하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잘해야 한다. 

즉, 잘 배워서 올바른 습관과 방향을 가지고 꾸준히 해내가야겠다는 생각이 필요

 

목적

  1. 돈과 자본주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2. 나의생활과 현실을 정확하게 인식한다
  3. 통장관리, 금융상품 구성을 최적화한다
  4. 내게 맞는 투자 대상과 방향을 설정하고 이해한다 > 주식? 부동산?

    조용한 숨은 부자로 가는 길의 첫번째 계단에 올라선다

 

1강 목차

나의 돈 관리 점수는?

  • 들어가기 전에 내 세전/세후 소득부터 알아보자
  • 사회생활 시작하고 처음 6년간 어떤 행동을 했느냐가 몇 십억의 차이를 만든다
  • 종잣돈의 크기를 불려야겠다, 지나간 건 옛날 일이고 이제부터 달라지면 된다!!

 

 

팍팍한 초년생이 조용한 숨은 부자가 되는 과정

  1. 많이 번다
  2. 덜 쓴다 (저축)
  3. 잘 굴린다 (투자)

    2단계와 3단계 중에 2단계가 더 유리하다

    굴리는 돈을 마련해야 하는 초년생은 번다와 모은다가 훨씬 중요하다

    어느정도 돈을 모았으면 반드시 굴린다(투자)를 잘 익히고 오래 해나가야 한다. 배워두면 오래 할수록 유리해진다

     

통장 최적화

*** 부동산 전세 투자(나의 실제 투자 현금 1억, 전세 2억 4천 = 집값 3억 4천)

 

일반인들의 투자: 저가에 사서 고가에 팔고~ 반복(돈을 벌려고 한다, 매도와 매수의 반복)

실전 투자: 저가에 투자 시작 꾸준히 증식(자산을 모아간다)

→투자의 기본: 일을 할 수 없을때 팔아서 돈이 될 자산을 일을 할 수 있을 때 꾸준히 모아나가는 것

투자의 본질은 사고 팔아서 돈을 버는게 아니라 꾸준히 시장 안에서 살아남을 종목을 사서 자산으로 갖고 가는 것

(일확천금을 노리지 않고 꾸준히 투자하는 것, 그럼 언제 파냐? 내가 일을 못할 때 파는 것)

 

알파투자: 시장 초과 수익률 추구

  • 개별종목/아파트 투자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테슬라

 

베타투자: 시장 지수 수익률을 추구 (초보자는 여기부터 시작)

  • ETF  고를 때 MDD(리스크)와 연평균 수익률(기대수익)을 같이 봐야 함
  • 너나위 부동산을 자산을 모아가는 개념으로 투자 하지만 주식은 투기로 함
  • 변동성(MDD)를 줄인 포트폴리오: 영구/올웨더 (5%이상의 수익률)
  • 연금저축은 최소 5~최대 60까지 꼭 해라
  • 퇴직연금IRP + 개인연금저축

 

재테크 상식 5가지

월급에서 줄일 수 있는 것은 소득세

종합소득공제/세액공제를 최대화하자

  • 소득공제: 인적공제, 체크카드 사용
  • 세액공제: 연금저축, 월세, 보장성 보험

 

갖다 버릴 돈에 대한 편견 6가지

  1. 재테크는 일할 수 있는 기간(30년)동안 일하지 못하는 시기(40년)을 미리 준비하는 것

투자는 사서 파는게 아니라 자산을 모아나가는 것, 재테크의 일부, 내가 일할 수 없을때 파는 것

 

2. 재테크는 돈을 다루는 역량(요행이나 사행이 아님)--주체적으로 내가 직접 해야 하는 것임

진짜 게임은 50대 후반에 끝난다(장기적 관점)

그러므로 미래를 준비하되 현명하게 현재를 즐겨야 한다(인식 변화 필수)

 

3. 물가가 오르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

구매력을 방어하기 위한 행동이 투자이므로 그 전에 1억을 모을 것

 

4. 자산을 살 때 쓰는 대출이 잘된 대출

좋은 자산을 사는 일이 아니라면 돈을 빌려선 안 된다

좋은 자산이란 가치있고 싼 것을 말한다(저평가 우량주, 하락한 서울 아파트)

 

5. 중요한 일은 당연히 가족들과 상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나를 사랑하는 사람이 올바른 판단을 한다는 보장은 없다

스스로 판단하겠다는 목표를 세워야 한다>> 조언을 받는다하면 가중치와 신뢰도를 따져야 한다

 

자본주의에서 돈 버는 사람은 리스크를 감수하는 사람이다

많이 일하고 열심히 한다고 돈을 더 가져가는 게 아니다

자본주의의 자본은 리스크를 의미함

리스크를 줄이면서 기대수익을 키우는 활동을 해내가는 것이 투자

 

PIR 소득 대비 집값비율

내가 현실에 맞게 변화하는게 쉽다

 

내게 맞는 투자는?

>좀 더 고려해야 할 부분


댓글


타오미밍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