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재테크기초반 7기 49조 minzili] 1강 강의 후기

  • 25.05.06

돈이 알아서 굴러가는 시스템으로 1억 모으는 법 - 재테크 기초반

연말정산 어디까지 이해하나요? 본인의 세전 세후 소득은 얼마인지 아나요?

 

너나위님이 질문을 던지는 것마다 답을 하지 못하는 절 보고 이 강의를 택하길 잘했다고 생각했습니다.

일년에 한번 연말정산 때만되면 반성만하고 행동이 바뀌지 않은 저에게 

연말정산은 무엇이고 잘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려주는 곳은 여기가 처음이였습니다.

항상 세금을 내지 않고 돌려받으면 그만이였다고 생각했던거 같습니다.

그래서 인지 나이는 들어가지만 순자산이 늘어난다는 생각보다는 모이는 거 없이 그냥 새어나가는 것만 

느끼고 바뀌는 점은 없었던거 같습니다.

 

제일 좋았던 점 잘 이해하고 돈을 모으세요. 하고 끝나는게 아니라 그 방법을 알려주신다는 점이 너무 좋았습니다!

우선, 6개 요소로 지출을 구분하고 저는 그렇게 할 수 없지만,, 저축은 55%에 나머지는 45%로 나눠서 보내고 

매주 금요일마다!! 통장 잔액을 확인해보고 정비해주는 것, 왜? 주말의 나의 잠재되어 있는 소비요정을 잠재우기 위해서

말이죠,, 언제 어떻게 무엇을 해야할지 알려주는 곳이 어디있을까 싶습니다.

 

급여 발생 – 급여통장(100%) - 생활비(10%) - 집 안에서 쓰는 돈(식비, 생필품, 공과금 등)

                                            - 활동비(10%) - 집 밖에서 쓴 돈(용돈), 식비, 운동(테니스) 등

                                            - 주거비(10%) - 전월세 비용(이자 만큼)

                                            - 교육비(10%) - 자기개발(책 구입), 대학원 등록금 등

                                            - 비정기(5%) - 축의금, 명절, 가족 선물, 세금 등

                                           - 자산 통장(55%) - 투자 대상

 

위의 방법대로 최대한 내 상황에 맞춰 지출을 구분해주고, 연말정산에서 내가 다룰 수 있는 부분

종합소득공제, 세액공제 부분을 활용해서 소비에 최적화된 내 소비 지출 현황을 이제 정확하게 알아볼 수 있게 

프로세스를 만들어보는게 목표가 되었고, 이를 적용해서 재테크 기초반 수강이 끝나고 달라질 제 상황이 

힘들 수도 있고, 또 한편으로 뿌듯해할 수 도 있지만, 현재도 중요하지 앞으로 10년, 20년 후에 나를 생각해서 

힘내보겠습니다!!

 

또한, 너의 가장 큰 적은 너 자신이야!! 라고 눈이 번쩍 떠지게 콕 집어 말씀해주셔서 고맙습니다.

그리고 미래를 준비하되 현명하게 현재를 즐겨야 하고, 감정과 사실을 구분하여 판단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며,

경험이 없는 분야라면 겸손한 마음을 가지고, 해야할 것들이 정리되었다면 먼저 시작하고 이후 경험하며 진짜를

접해가면서 배워야한다는 말씀들 잘 세겨두겠습니다. 


댓글


minzili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