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서투25기3조 2기세로 5래오래 투자할 3조 원과장] 꿩 대신 꿩 투자하기! (2강 후기)

  • 25.05.18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이번 양파링님의 강의를 수강하면서

‘서울/수도권 지역의 비교평가는 이렇게 하는 구나’를 알 수 있었습니다.

 

단순히 가치판단을 하는 비교평가가 아니라

가치 / 가격 / 리스크를 종합적으로 보는

평가 방법을 배운 시간이었습니다.

 

강의에서 A지역의 가치와 시세를 분석하는 방법을 활용해서

제 앞마당 지역에도 적용하여 같은 방식으로 분석해봐야지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강의에서 인상 깊었던 점]

 

1. ‘꿩 대신 꿩’ 최선의 투자를 하자

  저도 월부 안에서 투자 공부를 하면서

  제 투자금으로 할 수 있는 서울/수도권 지역을 찾을 떄

  점점 급지를 낮춰서 찾는 ‘꿩 대신 닭’(차선)의 관점을 갖고 있더라구요.

  그런데 양파링님이 딱 꼬집으시면서

  지역별 위상을 제대로 알고 내 투자금으로 할 수 있는

  ‘최선’의 투자인 ‘꿩 대신 꿩’ 투자를 이어나야 한다는 말씀에

  지금과는 다른 관점으로 지역을 봐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2. ‘퉁 쳐서’ 보지 말자

  매매 평단가와 랜드마크 가격으로 지역의 위상을 먼저 ‘크게’ 보고

  레이어*를 쌓듯 생활권별/연식별/평형별 가격을 비교해봐야 한다.

   *레이어란? : 입지 좋은 신축 / 입지 덜좋은 신축 / 입지 좋은 구축 / 입지 덜좋은 구축

 

3. 비교평가 3단계 프로세스!

  가치 / 가격 / 리스크 로 비교평가하기

  그 중 ‘가치’에 대해서는

  입지가치인 땅의 가치가 떨어질수록

  사람들은 상품가치(연식/단지규모/구조/브랜드)를 선호하겠지? 라는

  접근 방식을 알게되었습니다.

  이 와중에도 역시 상품가치에 매몰되어 입지가치를 잘못 보면 안된다는 디테일까지!

 

 

[나에게 적용해보고 싶은 점]

 

1. 비교평가 프로세스대로 앞마당에 적용해보기

  수원시 영통구의 단지별

  비교평가할 때 적용을 해봐야겠습니다.

 

  1) 서울/수도권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와 접근성 확인

  2) 강남에서 25km 떨어진 지역이기 때문에, 상품성이라는 +@도 따져보고

  3) 선호도 파악을 위해, ‘콤파스’로 원을 그리듯

      원의 중심에 가까운 곳이 어디인지, 가격은 어떤지 비교해보기

  4) 현재 시장에서 전고점 대비 하락률이 큰 곳이 아니라

      전고점에 미치지 않는 곳 중 좋은 자산에 투자하는 것

  5) 내 투자금 기준으로 뽑은 단지와

      아실에서 투자금 기준으로 다른 지역도 크로스체크 해보기

  6) 전세 놓는 리스크도 확인하기(주변 공급)

 

 

 


댓글


원과장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