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더 늦기전에! 1억으로 서울∙경기 투자하는 법
월부멘토, 권유디, 양파링, 프메퍼, 주우이

부동산 기초, 열기반, 실준반 그리고 서투기
하나씩 배워가는 이 과정이 어렵지만 재미 있다.
열기반에서 투자 원칙을 배우고
실준반에서 투자 순서 익히고
이번 서투기에서 비교 평가하는 방법과 결론 내려보기 경험
혼자 목표를 정해 본다
처음 이 강의를 시작했을 때 첫 앞마당 1개 갖기가 목표였는데….
강의와 업무를 하다 보니….이번에도 방법 익히기인가….
분임과 단임 조 활동에 참여하지 못하고….
이번 강의는 업무와 겹쳐 완강을 일요일에 겨우 마쳤다.
중간 중간 졸립기는 왜 이렇게 졸린지….하….이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작했으니 매일 매일 해보자 다시 마음 잡아본다.
잊기전에 기록하기
내 투자금으로 살 수 있는 ‘좋은 자산’을 사는 것
지금 서울 수도권 시장을 알고 전고점과 리스크 사이의 합리적인 선을 찾아
전고점을 넘지 않은 단지 중 가장 좋은 것을 사는 것
각 지역의 위상 알기 ( ← 내 생각 : 위상을 알기 위해 사전 준비와 임장 꼭 하자)
서울 경기 비교를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지역 - 성북구
( 왜 성북구인가 이해하게 되어 한 걸음 나아간 느낌 ^^)
크게 정리 : 급지가 왜 나왔는가? 평당 매매가격 과 랜드마크 아파트 가격을 알아야 하는 이유
세부 정리 : 생활권/ 연식별/ 평형별 가격감 잡기 ( 입지 덜 굿 신축/ 입지 굿 신축 / 입지 덜 굿 구축/ 입지 굿 구축)
투자와 더 직결되는 위상 정리는 다녀온 지역의 레이어를 쌓는 것
생활권별 / 연식별/ 평형별 가격감을 잡으면 비교평가 수월해짐 _
입지(직교학환공/ 생활권) - 가격(생활권별 가격 분석) - 투자관점에서 보기
비교평가 : 가치 / 가격 / 리스크
입지가치(땅의 가치) : 위치 , 접근성 + 환경, 학군
상품가치 : 연식, 세대수, 브랜드 - 장거리 출퇴근을 감수할 만큼 만족요인이 있어야 함 : 상품성 + @
선호도 : 비슷한 가치 사람들이 더 좋아하는 곳
비슷한 다른 지역과 비교해 볼까?
현재 시점에서 저평가 : 전고점을 넘지 않은 단지 중 가장 좋은 것을 사는 것이 지금 투자자가 해야 할 일
( 가치정리 + 가격정리 )
서울 수도권 투자의 경우 부대비용 미리 감안해야 함
가격과 리스크까지 포함되어야 “투자를 한다면” A단지와 B단지 중 더 나은 것이 무엇인지 비교평가 할 수 있는 것
꼭 적용하고 싶은 것
세부 정리 생활권 연식별 평형별 가격 감 잡는 연습하기
임장보고서 1개 와 비교평가를 통한 결론 내보기
댓글
땡스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