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서투기24기 1년만에 5직 서울투자 불사를조 레홍] 2강 후기

  • 25.05.18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얼마나 알고 있느냐에 따라 그리고 어떤 마음으로

듣느냐에 따라 흡수하고 이해하는게 참으로 달라진다라는걸 느끼는 시간이였습니다.

 

달라진 만큼 철저히 나의 관점으로 후기 작성해 보았습니다. 

 

 '이유를 댈 수 없다면 주식을 사지 말아야 한다.' 

투자도 인생도 버핏처럼에서

 

지역에 대한 특강인 만큼 그 지역의 입지와 가격을 결정하는 요소를 서울 25개구에서 OOO지역의

클 틀에서 차지하는 입지요소,  생활권별  가격결정요소를 세분화 하며 거미줄처럼 전반적으로

머릿속에 정리가 된 다음, 그 입지요소 기반 단지별 장단점을 바탕으로 최종 투자를 결정을 하게 되는

그런 일련의 과정을 집요하게 파고들고 내가 이 단지를 왜 투자하는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서울 25개구 각각 부동산의 가치요소는 명확하게 구별은 되지만, 

누구나 다 아는 1급지에서도 다소 애매한 세곡동, 내곡동이

있는 반면 4급지에서 가장 선호되는 생활권내 누구나 다 알만한 랜드마크 

단지가 있는 곳 중 어디가 더 나은지에 대한

선명한 답을 할 수 있느냐가 앞으로 후회없이 보유하고 

있을때도 흔들림없는 투자자가 되고자 한다.

 

BM 포인트 : 각 생활권별 가격결정 요소를 선명하게 드러내고 입지가치 순서정하기

 

질문에 대한 튜터님의 답과 90% 이상 동일하다면 하산해도 된다.

by 새벽보기님

 

갑자기 좀 생뚱맞은 것일 수 있으나 강의중 누구나 

한번쯤 질문의 지옥고리에 빠지는 경우를 경험할 것이다.

그중에서 선택에 대한 질문은 답하기도 애매하고 그렇다고 정답지를 

전고점으로만 이야기 하기 어려운 그런 질문을 예시로 넣어주셔서 

나도 한번 답해보려고 한다. 

물론 튜터님이 이미 답을 주셨지만 

그건 정답지로 두고 진솔하게 내 생각을 적어 보겠다.

 

통은 좋지만 환경은 균질성이 떨어지는 지역 vs 교통은 불편하지만 환경이 좋은 지역에 대한 투자 우선 순위

 

. 레홍) 선호요소가 절대적이지 않은 상황에서는 단지별 비교하고 

매물 중 좀 더 깎이고 전세를 쉽게 놓기 좋은 그런 단지를 선택하는게 중요하다.

즉, 장기보유해도 잃지 않을 뚜렸한 가치요소를 가진 1, 2급지 이외는 

3급지부터는 단 한가지라도 또렷한 단지기준으로 투자하는게 맞을 듯 하다.

균질성 떨어지는 곳에 교통이 좋다면 역세권 단지도 경쟁력 있고 

환경이 좋다면 환경안에서 선호되는 단지를 선택하면 둘다 잃지 않을 것 같다.

 

다만 선정된 단지 중 년식이 더 좋아 투자금이 덜 들거나 

투자금을 빨리 회수가 되거나 좀더 더 저렴하게 살수 있는 사연있는

 급매여부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것 같다.

 

튜터님) 어중간한 생활권을 놓고 러프하게 비교하다보면 가치 지옥에 빠지게 된다. 

각 생활권별 선호요소를 기준으로 선호단지 순대로 놓고 

나의 투자금으로 가장 좋은 곳을 선택하면 된다. 

하지만 같은 투자금으로 여기 안에서 선택하려고 하지말고

 크게 보고 더 좋은 선택지가 있는지 고민한다. 그리고 가장 

나의 상황에 맞는 단지를 최종 투자단지로 선택한다.

 

BM 포인트 : 어중간한 생활권 중 어떤것이 더 나은지를 생각하기 보다 

생활권별 선호요소에 따른 단지 선호도를 결정하고 거기서 

나의 투자금과 상황에 적합한 가장 좋은 단지를 선택한다.

 하지만 선택된 단지도 우열을 가리기 어려울 때 있다. 그

랬을때 내 앞마당에서 가장 최선의 투자인지 재검검한다.


댓글


레홍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