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길] 월부챌린지 121회 진행중 : 5월 12일차

출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17/0001077719

요약

1. 오는 7월부터 3단계 스트레스 DSR이 시행을 앞두고 최근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이 3조원 넘게 급증하였음. 금융당국은 오는 20일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방안을 발표하는 가운데 대출막차를 타기 위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2. 19일에 발표한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45조9827억원으로 지난달 말보다 2조8979억원 늘었음. 지금같은 추세면 전체 증가액은 5조8000억원이 될 것으로 추산됨. 지난달 증가액을 훌쩍 뛰어넘는 수준임.

3. 주담대는 전월 대비 1조7378억원이 불었으며 신용대출은 1조939억원 늘었음. 7월부터 시행되는 3단계 스트레스 DSR 도입을 앞두고 미리 대출을 받으려는 수요도 증가세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됨.

4. 스트레스 DSR이란 DSR 산정 시 향후 금리가 올라갈 가능성을 고려해 스트레스 금리(가산금리)를 더해 계산하는 내용의 규제임. 금리가 올라갈수록 DSR이 높게 잡혀 대출 한도가 줄어듬. 작년 9월 도입된 2단계에서는 스트레스 금리가 0.75~1.2%p 적용되었음.

5. 3단계 스트레스 DSR이 도입되면 수도권 주담대 한도가 축소될 것으로 전망됨. 금융당국은 7월 1일부터 수도권에 예정대로 스트레스 금리 1.5%p를 적용하겠다고 밝힘.

6. 예를들면, 연 소득 6000만원인 차주가 30년 만기 변동금리(금리 연 4.0% 원리금 균등 상환)로 주담대를 받으면 기존엔 3억6400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했지만, 7월부터는 한도가 약 3억5200만원으로 축소됨. 대출 가능 금액이 1200만원가량 줄어드는 셈임.

7. 금융당국은 20일 가계부채 점검 회의를 열고 3단계 스트레스 DSR의 구체적인 시행 방안을 발표할 예정임. 부동산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비수도권에 대해선 수도권보다 낮은 스트레스 금리가 적용될 것이란 관측이 나옴.

8. 전셋값 상승도 매매 가격 상승, 대출 수요를 키우는 요인으로 지목됨. 토허구역 확대에 따라 오는 9월까지 강남 3구와 용산구에서는 갭투자(전세 끼고 매매)가 불가능한 만큼 전세 물량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

9. 금융권 관계자는 “시장금리가 내려가는 상황에 규제지역 추가 지정 이전에 서둘러 내 집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며 “강남 3구와 용산구의 전세 수요가 마포, 성동, 강동, 광진구 등 인접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전셋값이 상승하고 갭투자 확산으로 대출이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하였음.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


댓글


골목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