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내집마련 중급반 - 내 예산으로 더 오를 집 고르는 법
자음과모음, 너나위, 용용맘맘맘

용용맘맘맘님의 강의 정말 좋았다.
어쩜 이렇게 말씀을 잘하시는지…반했..❤︎❤︎❤︎
4차시 강의가 전부 귀에 쏙쏙 박히고 그동안 헷갈렸던 많은 부분들이 해소되었다.
수도권 & 지방에 따라 각각 비교평가 할 때 중요하게 봐야하는 요소를
나눠서 설명해주시는 부분도 너무 좋았고
많은 사람들이 가장 헷갈려하는
임지가 좀 더 좋은 20평대 vs 입지는 조금 더 떨어지지만 더 넓은 30평대 등
예시를 통해 알려주셔서 굉장히 와닿았다.
*단지 가치에 대한 파악
*단지 가격에 대한 파악
단지 가치를 실제 적용하는 법을 차근차근 알려주셔서 스스로 비교평가 할 수 있는
힘을 만들어주신 거 같아 매우 만족스러웠다.
입지가치 + 상품가치 =가격
입지가치(땅, 직장, 교통, 학군, 환경)
상품가치 (연식, 세대수, 브랜드)
단지별로 입지가 더 중요할 수도 있고 상품이 더 중요할 수도 있고 둘다 중요할 수도 있다.
그러나 왜 이단지가 이 가격인지를 알려면 입지가치, 상품가치를 촘촘하게
잘 따진 후 비교할 수 있어야한다
[입지가치-땅]
수도권 입지가치는 땅, 교통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고
지방에서의 입지가치는 환경과 학군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쉽게말해 수도권에서의 땅의 가치는 강남접근성이 고려가 가장 중요하다
강남까지의 거리가 얼마나 되는가?
지하철 이용 시 환승은 몇번을 해야하는가? 로 구체적으로 따져볼 수 있고
지방에서의 땅은
선호도가 압도적인가?
남, 녀 노소가 왜 이곳에 계속 거주하고 싶은가?를 알아야한다.
[입지가치-직장]
종사자수 뿐만 아니라 좋은 직장이 몰려있는 곳을 주목해야한다
수도권에서 직장을 볼 때는
1.주요 직장이 가까운가?
2.대기업들이 많이 모여있는가?를 봐야한다
(월급을 많이 받는 사람들이 지나다닐수록 비싸기 때문에)
지방은 대부분 산업단지로 구성되어있다. (대기업 생산공장)
그렇기 때문에 균질성 있는 곳을 좋아한다
직주근접인 단지보다는 살기 좋은 균질성 좋은 단지를 더 선호
(지방에서는 직장이라는 입지요소가 크게 중요하지 않음)
[입지가치-교통]
수도권
1.얼마나 빨리 가는가? (시간)
2.편리한가?(노선, 환승여부)
2호선>9호선>3호선=7호선>신분당>수인분당>5호선
수도권에서는 단지별로 교통을 반드시 따져봐야 한다
(강남, 시청, 여의도)
지방
지방에서는 보통 업무지구와 집에서 1시간 걸리면 이사를 간다
지방에서의 교통은 큰 의미가 없다
오히려 환경과 학군이 더 중요
[입지가치-학군]
초등학교, 중학교까지 안정적인 장기 거주를 희망
*집값 상승의 힘이 강하고, 전세 수요도 강함
면학 분위기가 좋은가 체크 (학업성취도, 학원, 초등학교)
초등학교 접근성 & 학년별 학생수 증가 체크
1.어떤 초등학교를 가나?
2. 학교당 학생구가 많나?
3.고학년 학생수가 많나?
학군의 선호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촘촘하게 따져봐야함
학군이 유의미한 지역은 지하철 접근성 넘어섬
지방에서의 학군은 장기 거주는 의미
지방에서는 신축이 선호하는 요소이지만, 학군지가 굉장히 유의미한 단지라면 반드시 고려
[입지가치-환경]
수도권 & 지방 환경은 살고싶은가? 와 연결
>>유해 시설이 없고, 편의시설 여부 확인
실거주 vs 거주분리
둘중 어떤게 최선인지를 보고 방향 설정
전세레버리지와 내집마련을 비교했을 때
내집마련이 더 좋은 단지를 살 수 있다며 실거주 하는 방법으로 선택하는 것이 유리
갈아타기 사례
같은 구에서 비슷한 입지가치를 가지고 있다면
내집마련 하고자 하는 단지 주변의 단지들 시세 체크
비교평가 하는 법을 구체적으로 배워 나에게 맞는 단지들을
추려나갈 수 있을 거 같다.
또한 그중에 가장 좋은 선택법에 대해서 친철하고 자세한 설명덕에
스스로 잘 선정해봐야 할 거 같다.
앞으로 내가 해야할 일
1.정확한 상황 인지
2.나에게 맞는 후보 단지 찾기 (예산금액 +1억)
3.후보물건 가치 판단
4.후보물건 가격 판단
댓글
새벽조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