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투자경험

1000만원을 지킬 수 있었던, 매도를 해야한다면 꼭 알아야하는 4가지

  • 25.05.26

안녕하세요 갱지지입니다.

 

지난 4월에

지방물건을 매도했습니다.

 

 

 

저도 매도를 위해서

'매도' 키워드로 되는 글들을 보면서

어떻게하면 내 물건이 팔릴 수 있을까

고민하는 시기를 보냈었는데요.

 

매도의 과정들을 복기해보니

처음에는 저도 

조급하고 불안했던 매도자 포지션이었지만 

매수자에게 끌려다니지 않고 

매도 가격을 지키는 매도를 했더라구요. 

 

매도를 하고계신 분,

매도를 앞두고 계신 분들께

제 경험담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매도를 위한 4가지 체크리스트

 

매도를 결심했다면,

이제 매도를 해야합니다.

 

팔고자하는 나의 염원을 담아!

매물을 내놓았다면

이제 사주는 것은 매수자의 몫이죠

 

결국에 내 물건을 사줄

한명의 매수자를 찾으면 되는

게임이기때문에

나의 매수자가 어디에 있는지

확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위와 같이 매도를 위해서

제가 한 행동들은 4가지입니다.

한개씩 살펴볼게요

 

나의 매수자를 찾으러

같이 가보실까요!

 

image.png

 


 

1. 시장참여자 Check

 

내 집을 사줄 사람

즉, 현재 시장에서

어떤 매수자들이 도는지를 봐야합니다.

 

매수자는 크게 2분류로 나뉘죠

실거주 / 투자자

image.png

 

 

📌 제가 매도한 시장은

이런시장이었습니다.

 

실거주자들이 급매 위주로

매수를 속속히 하고있는 시장이었구요

 

투자자들도 진입을 하고는 있지만,

활발하진 않았습니다.

image.png

 

전세가율이 높은 시장이었기때문에

지역 안에서 선호도가 높은 단지들도

투자금이 적게들다보니

좋은 단지들, 좋은 평형위주로 검토를 하곤했고

우선순위가 떨어지는 제 단지까지는 눈길이 오지않았어요.

 

ogq_56b01c7f0a563-36

 

시장참여자를 체크해보니

지금 시장 매수 주최들은

실입주들에게도 매력적임에 동시에

(급매이거나, 상태가 좋거나, 실거주가 좋아하는 남향이거나,,)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단지

(가지고싶은 단지 or 투자금이 적게들거나)

내 물건을 만들어야 매도를 할 수 있겠다 판단했습니다.

 


 

2. 세입자와의 조건 정리

 

위에서 1번에서 시장 참여자를 체크해보니

제 물건을 어떤 상태로 만들어야

가능하겠다라는 전략이 세워졌습니다.

 

실입주가 가능하도록

임차인의 퇴거가 가능하게 하는 것

 

그리고 투자자들에게도

우선적으로 검토하는 단지는 아니더라도

투자금을 줄일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야겠다.

 

 

이렇게 정리하고나니

제가 해야할 행동은 명확해졌습니다.

만기가 25년 12월이었던 세입자분께

퇴거를 요청드리는 것이

나의 매도를 확률을 높이는 키였습니다.

 

그래서 임차인과 협의를 통해서

매도가 되면 퇴거하시는 방향으로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3. 경쟁물건 Check

 

어떤 매수자를 잡아야하는지를 알고

나의 물건을 그렇게 만들었다면

이제 주변 물건들과 함께 보면서

나의 경쟁력을 파악해야하는 단계입니다.

ogq_56b01c7f0a563-11

제 물건은 24년11월에 매도를 내놨지만

한동안 매수 문의가 오지않았습니다.

 

 

📌회사의 보유분이 싼 가격에

물량이 풀리기시작했는데요.

 

 

제 물건보다 층이 낮고

가치가 떨어지던 회사보유분이지만

시장에는 실거주가 많았기에

저렴한 회사 보유분이 더 우선적으로

거래가 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그 물건들이 팔리고 나니

이제 저의 물건이 1등이 되었습니다.

아, 물론 실거주한테만요

 

투자자들에게는

제 물건은 경쟁력이 없었습니다.

제 물건보다 평형이 더 큰 물건들이

적은 투자금으로 세안고 할 수 있는 물건이 많았거든요

 

그래서 저는 이제 조금 더 타겟을

실거주로 잡고

그들을 위한 홍보를 하기시작했습니다.


 

4. 매도 홍보

 

매도 물건을

일잘하시는 사장님들께 내놨습니다.

 

근데 매수할 때 느꼈던 일 잘하시는 사장님과

매도를 잘하시는 사장님은 조금은 다르더라구요

 

매수할 때는 더 좋은 물건, 협상을 위해서

투자자에게 적극적이고 물건 상황을 잘 아시는 사장님들이

최고라고 생각했는데..

매도는 기본적으로 사장님들의 적극성이

많이 떨어진다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번 매도에서

매수자를 많이 데려와주시고,

주인의식을 가지고 적극적인 사장님이

매도할때는 제일 좋다라고 느꼈습니다.

 

 

그리고 매수를 하는 사람들이

어디서 이사오시는지를 파악했습니다.

대부분의 매수자분들이

생활권이 더 낮거나, 주변 구축에서 넘어오시는

수요가 대부분이더라구요

 

그래서 매도 홍보를

그쪽에 더 적극적으로 했습니다.

 


 

사실 처음에는 되게 조급하기도했습니다.

왜 매도를 내놨는데

문의가 하나도 안오지?

 

ogq_56b01c7f0a563-17

 

제 가격은 거래가 안된다며

손사래 치는 사장님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지지씨, 그 가격에 안돼

더 낮춰야 팔릴꺼야!

 

그런데요.

조급하지않게 제가 할 수 있는 것들을

묵묵하게 하고있으니

 

시장에 어떤 사람들이 매수를 하고있고

그들이 어떤 물건을 원하고있고

내 물건의 경쟁력이 어떻다라는 것이

하나씩 체득이 되더라구요.

 

그러다보니

5개월만에 천만원을 네고하며

사겠다는 매수자가 나타났지만

거절할 수 있었습니다.

 

"아니요.. 사장님

저 그거보단 더 받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이 이야기는

다음편에 풀어보도록하겠습니다.

갈아타기에 중요한 부분도 함께요!

 

 

 

"지피지기 백전불태"

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않다.

 

매도를 앞두고 계신 분이라면

제 경험담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여러분들의 매도를 응원할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글은 월부카페에서도 확인 가능하십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팔로우 해주시면

더 좋은 글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누르시면 링크로 넘어갑니다♡)

 

 

 

 


댓글


모도링user-level-chip
25. 05. 26. 18:13

크 매도 너무 축하드립니다🩷 조급해지기보다 할 수 있는걸 해라 명심하겠습니다!!!

함께하는가치user-level-chip
25. 05. 26. 18:14

대박!! 다음편도 넘 기대돼요🤍

떠라링user-level-chip
25. 05. 26. 18:17

와 갱부님 매도 넘 축하드려요!! 5개월만에 매도 의사를 밝힌 분이 나타나면 조급해져서 깎아줄 수도 있었을텐데 매도의 기준을 잘 지킨 갱부님 대단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