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실전31기 브롬톤 타고 부자기어 1단부터 6단까지 래고야] 4강 수강후기 - 험블, 인턴 튜터님

  • 25.05.29

 

 

안녕하세요, 

래고야 입니다. 

 

 

매물임장을 가기 위한

최고의 강의였습니다★

 

험블튜터님, 인턴튜터님의 강의를 들을 수 있다닛..!

이번 실전 강의 매우매우x500% 만족입니다. 

 

 

저에게 가장 필요한 내용인 

디테일한 매물임장과 앞마당 관리/임보결론 작성법에 대해서

낱낱이 파헤쳐 주셔서 정말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인상 깊었던 내용과

특별히 꼭 적용하고 싶은 점 위주로 남겨봅니다.

 

 

 

전임 전 디테일하게 매물 확인하기 

 

아무래도 시간이 여유롭지 않기 때문에

시세를 따든 매물임장 예약을 할 때에 저층 물건이나 세안고 물건은

대부분 지나치기 마련인데요. 

세안고 물건은 항상 부사님께 전임을 통해 

전월세 가격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만 매물을 파악했었습니다. 

 

이럴 때 생각지도 못했던 험블 튜터님의 꾸르팁 ! 

 

만료일자를 확인 한 후에

아실을 통해 이 매물의 지난 거래 내역을 확인합니다. 

25년 6월 만기인 경우 23년 6월 거래 내역을 확인해서

가격과 신규계약인지 갱신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무조건 갱신하겠네 라고 단언하기 보다는

부동산 사장님과의 전임을 통해 한번 더 확인하는 꼼꼼쓰한 액션..! 

 

또 저층 물건을 부사님과의 전임 전에 

확인할 수 있는 방법도 있는데요,

 

네이버부동산에서 매물의 보유세를 확인 후

동호수/공시가격으로 층을 가늠해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시간이 부족할 때는

빠르게 확인해볼 수 있어 매우 유용할 것 같습니다 

 

 

 

 

매물털기, 안털려도 최선을 다하는 법 

 

매물털기는 두려움의 영역..

워크인 매번 까여서 마상만 남겼는데요

 

튜터님의 강의를 듣고 나니 

그동안의 저의 문제점을 깨달았습니다.

 

이유는,

‘실패의 기억으로 마무리’가 되어서.

 

성공의 기억,

최선을 다한 기억으로 남겨보는 경험이 꼭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워크인, 매물털기도 준비가 필요합니다.

험블 튜터님의 추천 방법, 

부동산 리스트를 만들고 동선을 파악하기 위한 지도를 만듭니다. 

최적의 동선을 짠 다음에 부동산을 들리는데요, 

 

사징님께는 'ㅇㅇ동에 ㄷ단지 ㅇ억으로 나온 매물 보고 왔는데,

혹시 더 좋은 가격의 매물은 없나요?' 라고 여쭐 수 있고

‘그게 최저가에요~’ 라는 말을 듣는다면

보통은 여기서 네 그렇군요 하고 나왔었는데 말이죠..(머쓱)

 

여기서 포기하지 않고

그럼 혹시 더 좋은 매물이 나온다면 

제가 꼭 할 의향이 있으니 연락을 주세요! 라고 말씀 드리고

연락처를 남기거나 명함을 드리고 오는 방법이 있습니다. 

 

 

매물임장과 협상은 습관이 되어야 한다. 

대응의 영역이고 정답이 없지만, 반복하면 습관이 된다.

 

 

튜터님의 말씀처럼

반복을 하다 보니 어느새 익숙해지고

습관처럼 굳혀지는 것만이 오래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인 것 같습니다. 

 

습관이 될 수 있게

어려워도 반복 또 반복 해보겠습니다. 

 

 

 

 

 

 

앞마당 관리는 투자 기회를 잡는 것

 

저의 앞마당은 잡초 투성이 황무지입니다..

…ㅎ 어떻게 투자했죠?

 

시세트래킹도 하다가 안하고

지방가면 수도권은 놀고 있고..

임보를 쓰기위한 부랴부랴 행동하기

 

그렇게 2년을 버텨온 것 같습니다.

 

인턴 튜터님께서 이렇게까지 

모든 것을 나눠주셨는데 

귀찮다고, 어렵다고 안하면 정말…

그냥 투자하는 직장인이 될 수 밖에 없다는 생각으로,

내 비전보드에 적힌 숫자는 불가능하겠구나

그런 생각으로 꼭 다 해보려고 합니다. 

 

 

효과적인 앞마당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시세트래킹, 원페이지, 전수조사 3단계가 필요합니다.

 

지방에서 투자할 때는 도시별 전수조사를 했었는데,

항상 이렇게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이번에 튜터님이 나눠주신 자료를 활용해서

수도권의 틀이라도 제대로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시세트래킹은 항상 지역별 트래킹만 했었는데

가격대별 트래킹도 같이 해야 한다는 것을 처음 알았습니다. 

 

각 생활권별 주요단지를 뽑고

추가로 입주 단지와 입주 단지 주변 구축단지까지 추가해 볼 생각입니다. 

 

튜터님께서는 오전에 트래킹하면 당일 전임을, 

저녁에 트래킹하면 다음날 점심/퇴근 정도에 전임 하신다고 하셨는데

저는 밀리면 미루는 성격인지라

오전에 트래킹 > 퇴근하고 전임을 하는 루틴으로 해보겠습니다. 

트래킹 단지가 제대로 나와야

원페이지 장표도 정리가 되고 두고두고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튜터님의 말씀처럼 

지역별 시세트래킹과 원페이지 정리는 

최대 1시간 이내에 마무리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BM 뽀인트

 

다음달에는 반마당의 시세트래킹과

매임을 진행하는 것으로 계획도 세웠습니다.

 

 

 

 

투자의사결정과 인사이트를 쌓아가는 과정

 

임보 결론은 4단계를 밟습니다.

 

내 상황 확인 (했음)

임장지 확인 (단지 선호도 정리, 투자 후보 top3)

앞마당 전체 확인 (원페이지&투자후보리스트&투자그룹핑)

투자의사결정 (최종top3, 결론&한달복기) 

 

 

나의 투자 상활을 우선 명확히 한 다음에

현재 임장지에서의 투자 후보 단지를 3개로 추려서 뽑아보고

앞마당 전체에서 투자후보리스트를 만들어봅니다. 

순위를 매기기 보다는 그룹핑을 통해 묶어봅니다

(1호기 하나에만 집착했다고 좌절한 기억이..새록..)

 

 

투자후보 단지 리스트까지만 만들어보고

그룹핑은 해 본 적이 없는데

정말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아낌없이 나눠주신 인턴 튜터님께 감사드립니다. 

 

이번 결론에서는 

꼭 모의투자를 넣어보자는 다짐을 했었는데

모의투자와 항상 하는 복기를 통해서 

최종적인 임보를 완성해 보려고 합니다. 

 

정말 디테일하게 알려주시고

자료 나눔 퐉퐉 해주신 두 분 튜터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리고

 

역시 강의 실전반이구나…큽..

다음에도 꼭 듣고싶스므니다… ♡

 

간절한 염원을 남겨봅니다. 

 

 

 

 

 


댓글


험블creator badge
25. 05. 30. 00:09

래고야님 소중한 후기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하나씩 적용해나가다보면, 분명 래고야님의 습관이 될 거에요! 꼭 투자까지 이어나가실 래고야님 늘 응원드리겠습니다!